본문 바로가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양말'의 ‘말’은 한자의 '버선 말'자...여기에 '서양 양'이 붙은 것입니다.

  여러분이 신고 다니는 '양말'이 한자에서 온 말이라고 하면 깜짝 놀라시겠지요. 그런데 유감스럽게도 한자어입니다. 원래 버선을 한자로 '말'이라고 했습니다. '버선 말'자이지요. 그런데 서양에서 이 버선과 비슷한 것이 들어 오니까 버선을 뜻하는 '말'에 '양' 자를 붙여서 '양말'이라고 했습니다.  버선하고 양말이 이렇게 해서 달라졌던 것입니다.  이렇게 서양에서 들어 왔다고 해서 '양' 자를 붙이거나 '서양'을 붙여 만든 단어들이 꽤나 있습니다. 그 예가 무척 많음에 놀라실 것입니다.  그래서 이제는 그 뜻도 잘 모르게 변한 것들도 많습니다.  몇 가지를 예를 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1.'양철'(또는 '생철')
  양철도 '철'에 '양'  자가 붙어서 된  말입니다. 쇠는 쇠인데, 원래 우리가 쓰던  쇠와는 다른 것이 들어 오니까 '철'에 '양'자만 붙인 것이지요. 더 재미있는  것은 이 '철'에 '서양'이 붙어서 '서양철'이 되고, 이것이 다시 변화되어서 오늘날에는 그냥 '생철'이라고도 하는 것입니다.

  2. 양동이
  국어에 '동이'라고 하는 것은 물긷는 데 쓰이는 질그릇의 하나인데, 서양에서 비슷한 것이 들어 오니까 여기에 '양'자를 붙여 '양동이'라는 단어를  만든 것입니다.

  3. 양순대
  지금은 거의 쓰이지 않는 말인데, 서양에서 '소시지'가 들어 오니까 '순대'에다가 '양'자를 붙여 '양순대'라고 했는데, 이것을 쓰지 않고 '소시지'라고 하고 있습니다. 오늘날 되살려 쓰고 싶은 단어입니다. 중국의 우리 동포는  이  '소시지'를 '고기순대'라고 하더군요. 너무 잘 지은 이름이 아닌가요?

  4. 양은
  양은은 '구리, 아연, 니켈을 합금하여 만든 쇠'인데, 그색깔이 '은'과 유사하니까 '은'에 '양'자를 붙여 '양은'이라고 한 것입니다.

  5. 양재기
 '양재기'는 원래 '서양 도자기'라는 뜻입니다. 즉 '자기'에 '양'자가 붙어서 '양자기'가  된 것인데, 여기에 '아비'를 '애비'라고 하듯 '이' 모음 역행동화가 이루어져 '양재기'가 된 것입니다.

  6. 양회
  이 말도 앞의 '양순대'와 같이 거의 쓰이지 않는 말입니다만, 제가 어렸을 때만 해도 '세멘트'를 '양회'라고 했습니다.  '회'는 회인데 서양에서 들여 온 회라는 뜻이지요. 이 말도 다시 썼으면 하는 생각이 듭니다.

  7. 양행
  이 말도 오늘날에는 쓰이지 않는 말이지요. 서양에 다닌다는 뜻으로 '다닐 행'자를 붙인 것인데,  이것이 무역회사를  말하는 것입니다. 오늘날 '유한양행'이라는 회사가 그렇게 해서 생긴 것이지요.

  이 이외에 '양'자가 붙어서 만든 단어들을 몇 가지 더 들어 보겠습니다. 양복, 양장, 양궁, 양단, 양담배, 양란, 양배추, 양버들, 양식, 양옥, 양장, 양잿물, 양주, 양초, 양코, 양파, 양화점 등.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1 지명 속담 - 보은 아가씨 추석비에 운다 바람의종 2008.05.29 3891
120 우리말의 상상력 1 - 5. 물의 순환 (1/2) 바람의종 2009.05.25 3886
119 명절, 절후 용어 1 - 어정 칠월 동동 팔월 바람의종 2008.04.03 3869
118 '곶감'은 꼬챙이에 꽂아서 말린 감 風磬 2006.12.29 3863
117 우리말 사랑 3 - 개화와 세계화 바람의종 2008.04.28 3850
116 우리말의 상상력 1 - 3. 풀과 목숨 (2/2) 바람의종 2009.05.15 3850
115 우리말 사랑 1 - 손때의 의미 바람의종 2008.04.26 3848
114 '여자무당' -> '임금의 선생님' -> '스승'으로 의미 변화 風磬 2007.01.03 3832
113 '지렁이'란 단어를 분석하면... 風磬 2006.11.13 3830
112 식사 후 "양이 찼느냐?"에서 '양'은 '위장'의 '위'에 해당하는 토박이말 風磬 2007.01.01 3826
111 '결혼하다'와 '혼인하다'는 본래 다른 뜻이었습니다 風磬 2006.12.31 3824
110 '낮다'의 어간 '낮'에 '-브다'가 붙어 생긴말 --> 나쁘다 風磬 2006.10.30 3821
109 우리말의 상상력 2 - 1. 가장 크고 좋은 강, 한강(韓江) 바람의종 2009.07.14 3817
108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어머니와 곰신앙 바람의종 2009.10.06 3812
107 여성용 의상어 - 아얌과 배꼽티 바람의종 2008.03.27 3808
106 어느 여인의 이름 - 최초로 이 땅에 시집 온 여인 바람의종 2008.07.24 3807
105 생사용어 - 삶과 죽음의 언어 바람의종 2008.03.24 3800
104 '한 살'의 '살'과 '설날'의 '설'은 어떤 관계일까요? 風磬 2006.12.04 3793
103 지명어의 작명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바람의종 2008.06.02 3764
102 '성냥'은 원래 한자어...'석뉴황'이 음운변화를 겪은 것 風磬 2007.01.17 3763
101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조선의 소리 보람 바람의종 2009.11.08 3754
100 우리의 미의식 2 - "안 미인"과 "못 미인" 바람의종 2008.04.19 3752
99 우리말의 상상력 1 - 12. 울림과 진실 (1/3) 바람의종 2009.07.06 3749
98 우리말 사랑 2 - 부끄러움이 자랑스러움으로 바람의종 2008.04.27 3747
97 우리말의 상상력 2 - 2. 달홀(達忽)과 가라홀(加羅忽)의 어우름 바람의종 2010.01.26 374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