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933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양치질'은 양지(버드나무 가지)에 접미사 '질'이 붙은 것

  여러분은 매일 아침 저녁으로 '양치질'을 하시지요? 이 '양치질'의  어원을  아시나요?  언뜻 보아서 한자어인 줄은 짐작하시겠지요?  그러나 혹시 '양치질'의 '양치'를 '양치'(기를양, 이 치)나 '양치'(어질 양, 이 치)로 알고 계시지는 않은지요?  (간혹'양치질'의 '치'를 '치'( 이 치)로 써 놓은 사전도  보입니다만, 이 사전은 잘못된 것입니다)

  그러나'양치질'의'양치'는 엉뚱하게도 '양지질' 즉 '양지'(버드나무가지)에 접미사인 '질'이 붙어서 이루어진 단어라고 한다면 믿으시겠습니까? 그러나 실제로 그렇습니다. 고려 시대의 문헌(예컨대{계림유사})에도 '양지'(버들 양, 가지 지)로  나타나고 그 이후의 한글 문헌에서도 '양지질'로 나타나고 있으니까요.

  '양지' 즉 '버드나무 가지'로 '이'를  청소하는 것이 옛날에 '이'를 청소하는 방법이었습니다. 오늘날 '이쑤시개'를 쓰듯이, 소독이 된다고 하는 버드나무 가지를  잘게 잘라 사용했던 것입니다.  그래서 '이'를 청소하는 것을 '양지질'이라고 했던 것인데, 이에 대한 어원의식이 점차로 희박해져 가면서 이것을 '이'의 한자인 '치'에  연결시켜서 '양치'로 해석하여 '양치질'로 변한것입니다. 19세기에 와서 이러한 변화를 겪었습니다. 이 '양지'는 일본으로 넘어가서 일본음인 '요지'로 변했습니다.

  '이쑤시개'를 일본어로  '요지'라고 하지 않던가요? 아직도 우리나라 사람들  중 '이쑤시개'를  '요지'라고 하는 분들이 있지 않던가요? '양지질'이 비록 '이쑤시개'와 같은 의미로부 터 나온 것이지만,  양지질'과 '이쑤시개'는 원래 다른 뜻으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두 단어 모두가 오늘날의 뜻과 동일한 것이지요. '양지질'에 쓰는 치약으로 는 보통 '소금'이나 '초'를 사용하여 왔습니다. 이렇게  '양지질'이 '양치질'로 변화하는 현상을 언어학에서는 보통  '민간어원설'이라고 합니다. 즉 민간에서 어원을 마음대로 해석해서 원래의 단어를 해석하거나, 그 해석된 대로 그 단어를 고쳐 나가곤 합니다. 이렇게 민간에서 잘못 해석한 단어는 무척 많습니다.  여러 분들이  잘 아시는 '행주치마'가 그렇지요. 원래 '행주'는 '삼' 등으로 된 것으로서 물기를 잘 빨아들이는 천을 일컫는 단어인데, 이것을 권율 장군의 '행주산성'  대첩과 연관시켜서, 부녀자들이 '치마'로 돌을 날랐기 때문에 그 치마를 '행주치마'라고 한다는 설이 있지만, 그것은 민간에서 만들어낸 것입니다. 그러면 오늘날 부엌에서  그릇 을 닦는데  사용하는 걸레인 '행주'는 어떻게 해석할까요?  걸레의  하나인 '행주'와 '행주치마'의 '행주'는 같은 단어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1 우리말의 상상력 2 - 4. 새와 산, 태양 숭배의 고리 바람의종 2010.04.03 14784
270 우리말의 상상력 2 - 죽음의 소리 보람 1 바람의종 2010.03.23 13391
269 우리말의 상상력 2 - 4. 바람의 노래 - 풍요(風謠) 바람의종 2010.04.02 12902
268 우리말의 상상력 2 - 굴살이와 굿 바람의종 2010.03.22 12203
267 우리말의 상상력 2 - 4. 나라 사랑의 꽃, 무궁화여 바람의종 2010.03.30 11827
266 우리말의 상상력 2 - 들온 말 쓰기와 말글 한 누리 바람의종 2010.03.12 11314
265 우리말의 상상력 2 - 술과 푸닥거리, 꽃 이바지 바람의종 2010.03.16 10977
264 우리말의 상상력- 4. 원왕생(願往生)의 그리움 바람의종 2010.03.03 10772
263 우리말의 상상력- 4. 금란굴과 지모신(地母神) 바람의종 2010.02.28 10668
262 우리말의 상상력- 3. 고향의 봄은 어디에 바람의종 2010.02.25 10551
261 우리말의 상상력2 - 4. 고리모양의 어우름, 한라산 바람의종 2010.03.10 10259
260 우리말의 상상력- 4. 원망(怨望)의 노래와 잣나무 바람의종 2010.03.08 10194
259 우리말의 상상력2 - 4. 마음의 귀, 처용의 노래 바람의종 2010.03.02 9969
258 우리말의 상상력2 - 4. 경덕왕과 찬기파랑가 바람의종 2010.03.06 9678
257 우리말의 상상력 2 - 웃으면 젊어진다고 바람의종 2010.03.15 9576
256 우리말의 상상력2 - 4. 도솔가의 뒤안 바람의종 2010.03.05 9419
255 우리말의 상상력2 - 4. 돌아 간 누이를 위한 노래, 제망매가 바람의종 2010.03.07 9359
254 우리말의 상상력2 - 4. 먼 눈 뜨기와 천수관음(千手觀音) 바람의종 2010.03.09 9358
253 우리말의 상상력 2 - 빌면 무쇠도 녹는다, 믿음의 소리갈 바람의종 2010.03.19 9342
252 우리말의 상상력2 - 4. 길 쓸 별의 노래 바람의종 2010.03.04 8962
251 '학독'은 원래 '확독' 風磬 2006.11.26 7767
250 '얼우-'+'는'(성교하다) --> '얼운'...'어른'은 혼인한 사람 風磬 2007.01.21 6607
249 '성가시다'는 원래 '파리하다, 초췌하다'는 뜻 風磬 2007.01.12 6161
248 18. '뚜렷하다' '또렷하다'는 원래 '둥글다'는 뜻 風磬 2006.10.07 5706
247 '고독'이란 말을 함부로 말씀하지 마셔요. 風磬 2006.12.21 570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