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799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양치질'은 양지(버드나무 가지)에 접미사 '질'이 붙은 것

  여러분은 매일 아침 저녁으로 '양치질'을 하시지요? 이 '양치질'의  어원을  아시나요?  언뜻 보아서 한자어인 줄은 짐작하시겠지요?  그러나 혹시 '양치질'의 '양치'를 '양치'(기를양, 이 치)나 '양치'(어질 양, 이 치)로 알고 계시지는 않은지요?  (간혹'양치질'의 '치'를 '치'( 이 치)로 써 놓은 사전도  보입니다만, 이 사전은 잘못된 것입니다)

  그러나'양치질'의'양치'는 엉뚱하게도 '양지질' 즉 '양지'(버드나무가지)에 접미사인 '질'이 붙어서 이루어진 단어라고 한다면 믿으시겠습니까? 그러나 실제로 그렇습니다. 고려 시대의 문헌(예컨대{계림유사})에도 '양지'(버들 양, 가지 지)로  나타나고 그 이후의 한글 문헌에서도 '양지질'로 나타나고 있으니까요.

  '양지' 즉 '버드나무 가지'로 '이'를  청소하는 것이 옛날에 '이'를 청소하는 방법이었습니다. 오늘날 '이쑤시개'를 쓰듯이, 소독이 된다고 하는 버드나무 가지를  잘게 잘라 사용했던 것입니다.  그래서 '이'를 청소하는 것을 '양지질'이라고 했던 것인데, 이에 대한 어원의식이 점차로 희박해져 가면서 이것을 '이'의 한자인 '치'에  연결시켜서 '양치'로 해석하여 '양치질'로 변한것입니다. 19세기에 와서 이러한 변화를 겪었습니다. 이 '양지'는 일본으로 넘어가서 일본음인 '요지'로 변했습니다.

  '이쑤시개'를 일본어로  '요지'라고 하지 않던가요? 아직도 우리나라 사람들  중 '이쑤시개'를  '요지'라고 하는 분들이 있지 않던가요? '양지질'이 비록 '이쑤시개'와 같은 의미로부 터 나온 것이지만,  양지질'과 '이쑤시개'는 원래 다른 뜻으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두 단어 모두가 오늘날의 뜻과 동일한 것이지요. '양지질'에 쓰는 치약으로 는 보통 '소금'이나 '초'를 사용하여 왔습니다. 이렇게  '양지질'이 '양치질'로 변화하는 현상을 언어학에서는 보통  '민간어원설'이라고 합니다. 즉 민간에서 어원을 마음대로 해석해서 원래의 단어를 해석하거나, 그 해석된 대로 그 단어를 고쳐 나가곤 합니다. 이렇게 민간에서 잘못 해석한 단어는 무척 많습니다.  여러 분들이  잘 아시는 '행주치마'가 그렇지요. 원래 '행주'는 '삼' 등으로 된 것으로서 물기를 잘 빨아들이는 천을 일컫는 단어인데, 이것을 권율 장군의 '행주산성'  대첩과 연관시켜서, 부녀자들이 '치마'로 돌을 날랐기 때문에 그 치마를 '행주치마'라고 한다는 설이 있지만, 그것은 민간에서 만들어낸 것입니다. 그러면 오늘날 부엌에서  그릇 을 닦는데  사용하는 걸레인 '행주'는 어떻게 해석할까요?  걸레의  하나인 '행주'와 '행주치마'의 '행주'는 같은 단어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1 '원숭이'를 '잔나비'라고 하는 까닭을 아셔요? 風磬 2006.12.20 3508
70 명절, 절후 용어 2 - 한가위, 수릿날 아으 동동다리 바람의종 2008.04.04 3508
69 된소리 현상 - 꿍따리 싸바라 빠빠빠 바람의종 2008.05.10 3506
68 음식 이름 - 족발, 주물럭,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05.06 3502
67 언어코드로 보는 '돼지'의 다양한 의미 風磬 2007.01.03 3501
66 수원고 화산 - 아버지를 그리는 효심의 물골 바람의종 2008.08.08 3496
65 우리말의 상상력 1 - 1. 언어적 상상력의 바탕 (2/2) 바람의종 2009.05.01 3495
64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치악의 말미암음 바람의종 2009.12.14 3494
63 '클랙션'(경적)도 상표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風磬 2006.12.26 3485
62 우리말의 상상력 2 - 2. 팔공산은 믿음의 터 바람의종 2009.10.07 3479
61 공주와 금강 - 곰나루와 백마강 전설 바람의종 2008.08.28 3472
60 우리말의 상상력 1 - 4. 돌과 원운동 (1/2) 바람의종 2009.05.17 3460
59 우리의 미의식 1 - 작은 것, 아름다운 것 바람의종 2008.04.17 3452
58 영일과 호미동 - 호랑이꼬리에서의 해맞이 바람의종 2008.09.07 3440
57 '바바리 코트'는 상표에서 나온 말 風磬 2006.12.22 3433
56 김포와 휴전선 - 애기봉에 울려퍼지는 어울림의 합창 바람의종 2008.07.29 3429
55 우리말의 상상력 2 - 2. '해'의 소리 상징, 말하는 남생이 바람의종 2010.01.23 3424
54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지리산과 파랑새 꿈 바람의종 2010.01.20 3423
53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4/4) 바람의종 2009.05.09 3418
52 우리말의 상상력 2 - 1. 두만강과 조선왕조, 대동강과 한겨레 바람의종 2009.07.16 3417
51 우리말의 상상력 1 - 3. 3-1. 싹과 사이 (1/2) 바람의종 2009.05.12 3402
50 우리말의 상상력 1 - 9. 겨레와 분화 (2/2) 바람의종 2009.06.16 3401
49 막가파 용어 - 전쟁과 파괴의 시대 바람의종 2008.05.23 3385
48 '메리야스'(내의)는 어디에서 나온 말일까요? 風磬 2006.12.23 3383
47 우리말의 상상력 1 - 8. 힘과 해 (2/2) 바람의종 2009.06.12 33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