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863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양치질'은 양지(버드나무 가지)에 접미사 '질'이 붙은 것

  여러분은 매일 아침 저녁으로 '양치질'을 하시지요? 이 '양치질'의  어원을  아시나요?  언뜻 보아서 한자어인 줄은 짐작하시겠지요?  그러나 혹시 '양치질'의 '양치'를 '양치'(기를양, 이 치)나 '양치'(어질 양, 이 치)로 알고 계시지는 않은지요?  (간혹'양치질'의 '치'를 '치'( 이 치)로 써 놓은 사전도  보입니다만, 이 사전은 잘못된 것입니다)

  그러나'양치질'의'양치'는 엉뚱하게도 '양지질' 즉 '양지'(버드나무가지)에 접미사인 '질'이 붙어서 이루어진 단어라고 한다면 믿으시겠습니까? 그러나 실제로 그렇습니다. 고려 시대의 문헌(예컨대{계림유사})에도 '양지'(버들 양, 가지 지)로  나타나고 그 이후의 한글 문헌에서도 '양지질'로 나타나고 있으니까요.

  '양지' 즉 '버드나무 가지'로 '이'를  청소하는 것이 옛날에 '이'를 청소하는 방법이었습니다. 오늘날 '이쑤시개'를 쓰듯이, 소독이 된다고 하는 버드나무 가지를  잘게 잘라 사용했던 것입니다.  그래서 '이'를 청소하는 것을 '양지질'이라고 했던 것인데, 이에 대한 어원의식이 점차로 희박해져 가면서 이것을 '이'의 한자인 '치'에  연결시켜서 '양치'로 해석하여 '양치질'로 변한것입니다. 19세기에 와서 이러한 변화를 겪었습니다. 이 '양지'는 일본으로 넘어가서 일본음인 '요지'로 변했습니다.

  '이쑤시개'를 일본어로  '요지'라고 하지 않던가요? 아직도 우리나라 사람들  중 '이쑤시개'를  '요지'라고 하는 분들이 있지 않던가요? '양지질'이 비록 '이쑤시개'와 같은 의미로부 터 나온 것이지만,  양지질'과 '이쑤시개'는 원래 다른 뜻으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두 단어 모두가 오늘날의 뜻과 동일한 것이지요. '양지질'에 쓰는 치약으로 는 보통 '소금'이나 '초'를 사용하여 왔습니다. 이렇게  '양지질'이 '양치질'로 변화하는 현상을 언어학에서는 보통  '민간어원설'이라고 합니다. 즉 민간에서 어원을 마음대로 해석해서 원래의 단어를 해석하거나, 그 해석된 대로 그 단어를 고쳐 나가곤 합니다. 이렇게 민간에서 잘못 해석한 단어는 무척 많습니다.  여러 분들이  잘 아시는 '행주치마'가 그렇지요. 원래 '행주'는 '삼' 등으로 된 것으로서 물기를 잘 빨아들이는 천을 일컫는 단어인데, 이것을 권율 장군의 '행주산성'  대첩과 연관시켜서, 부녀자들이 '치마'로 돌을 날랐기 때문에 그 치마를 '행주치마'라고 한다는 설이 있지만, 그것은 민간에서 만들어낸 것입니다. 그러면 오늘날 부엌에서  그릇 을 닦는데  사용하는 걸레인 '행주'는 어떻게 해석할까요?  걸레의  하나인 '행주'와 '행주치마'의 '행주'는 같은 단어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 보은과 속리산 - 속세가 산을 떠나 있네 바람의종 2008.09.02 3437
45 '시냇물'은 '실'+'내'+'물'이 합쳐서 생긴 말 風磬 2007.01.02 3433
44 농경 생활 용어 2 - 바람의 고유 이름 바람의종 2008.04.07 3428
43 우리말의 상상력 1 - 9. 겨레와 분화 (1/2) 바람의종 2009.06.15 3422
42 우리말의 상상력 1 - 10. 막다른 골목 (1/2) 바람의종 2009.06.17 3420
41 과메기 바람의종 2008.03.22 3418
40 '메리야스'(내의)는 어디에서 나온 말일까요? 風磬 2006.12.23 3414
39 안동과 하회 마을 - 제비연에서 물도리동까지 바람의종 2008.09.04 3407
38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소리란 무엇인가 바람의종 2010.01.22 3405
37 남원과 춘향 - 여성의 절개, 남성의 절개 바람의종 2008.09.18 3400
36 잃어버린 지명 - 아름다운 이름, 보은단, 고운담 바람의종 2008.06.03 3395
35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죽령(竹嶺)과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 바람의종 2010.01.19 3392
34 '사냥'은 원래 한자어 風磬 2006.11.14 3391
33 우리말의 상상력 2 - 2. 곰신앙과 땅이름 바람의종 2010.02.07 3385
32 음료수 용어 1 - 꽃 꺽어 산 놓으며 드사이다. 바람의종 2008.03.30 3382
31 음료수 용어 2 - 차 한잔의 여유와 향기 바람의종 2008.03.31 3378
30 마산과 무학산 - 가고파의 바다가 보이는 마잿골 바람의종 2008.09.23 3375
29 우리말의 상상력 1 - 6. 가루와 분절 바람의종 2009.05.28 3364
28 농경 생활 용어 1 - 북돋워 주고 헹가래치고 바람의종 2008.04.06 3362
27 우리말의 애매성 - 너무나 인간적인 언어 바람의종 2008.04.30 3362
26 상거래 용어 - 에누리와 디스카운트 바람의종 2008.04.02 3358
25 우리말 숫자관 - 닫히고 열리기가 골백번 바람의종 2008.04.01 3351
24 몸짓 언어 2 - 가슴으로 하는 말 바람의종 2008.04.15 3342
23 모어에 대한 인식 2 - 낮은 목소리, 짧은 표현 바람의종 2008.04.24 3341
22 명절, 절후 용어 3 - 외래 명절과 고유 명절 바람의종 2008.04.05 33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