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761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양치질'은 양지(버드나무 가지)에 접미사 '질'이 붙은 것

  여러분은 매일 아침 저녁으로 '양치질'을 하시지요? 이 '양치질'의  어원을  아시나요?  언뜻 보아서 한자어인 줄은 짐작하시겠지요?  그러나 혹시 '양치질'의 '양치'를 '양치'(기를양, 이 치)나 '양치'(어질 양, 이 치)로 알고 계시지는 않은지요?  (간혹'양치질'의 '치'를 '치'( 이 치)로 써 놓은 사전도  보입니다만, 이 사전은 잘못된 것입니다)

  그러나'양치질'의'양치'는 엉뚱하게도 '양지질' 즉 '양지'(버드나무가지)에 접미사인 '질'이 붙어서 이루어진 단어라고 한다면 믿으시겠습니까? 그러나 실제로 그렇습니다. 고려 시대의 문헌(예컨대{계림유사})에도 '양지'(버들 양, 가지 지)로  나타나고 그 이후의 한글 문헌에서도 '양지질'로 나타나고 있으니까요.

  '양지' 즉 '버드나무 가지'로 '이'를  청소하는 것이 옛날에 '이'를 청소하는 방법이었습니다. 오늘날 '이쑤시개'를 쓰듯이, 소독이 된다고 하는 버드나무 가지를  잘게 잘라 사용했던 것입니다.  그래서 '이'를 청소하는 것을 '양지질'이라고 했던 것인데, 이에 대한 어원의식이 점차로 희박해져 가면서 이것을 '이'의 한자인 '치'에  연결시켜서 '양치'로 해석하여 '양치질'로 변한것입니다. 19세기에 와서 이러한 변화를 겪었습니다. 이 '양지'는 일본으로 넘어가서 일본음인 '요지'로 변했습니다.

  '이쑤시개'를 일본어로  '요지'라고 하지 않던가요? 아직도 우리나라 사람들  중 '이쑤시개'를  '요지'라고 하는 분들이 있지 않던가요? '양지질'이 비록 '이쑤시개'와 같은 의미로부 터 나온 것이지만,  양지질'과 '이쑤시개'는 원래 다른 뜻으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두 단어 모두가 오늘날의 뜻과 동일한 것이지요. '양지질'에 쓰는 치약으로 는 보통 '소금'이나 '초'를 사용하여 왔습니다. 이렇게  '양지질'이 '양치질'로 변화하는 현상을 언어학에서는 보통  '민간어원설'이라고 합니다. 즉 민간에서 어원을 마음대로 해석해서 원래의 단어를 해석하거나, 그 해석된 대로 그 단어를 고쳐 나가곤 합니다. 이렇게 민간에서 잘못 해석한 단어는 무척 많습니다.  여러 분들이  잘 아시는 '행주치마'가 그렇지요. 원래 '행주'는 '삼' 등으로 된 것으로서 물기를 잘 빨아들이는 천을 일컫는 단어인데, 이것을 권율 장군의 '행주산성'  대첩과 연관시켜서, 부녀자들이 '치마'로 돌을 날랐기 때문에 그 치마를 '행주치마'라고 한다는 설이 있지만, 그것은 민간에서 만들어낸 것입니다. 그러면 오늘날 부엌에서  그릇 을 닦는데  사용하는 걸레인 '행주'는 어떻게 해석할까요?  걸레의  하나인 '행주'와 '행주치마'의 '행주'는 같은 단어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1. '참꽃'은 사람이 먹을 수 있는 진달래꽃

    Date2006.11.21 By風磬 Views4403
    Read More
  2. '찌개'는 '디히개 > 디이개> 지이개 > 지개 > 찌개'로 변화한 말

    Date2006.11.01 By風磬 Views3893
    Read More
  3. '집사람'은 본래 '가족'이란 뜻

    Date2006.11.19 By風磬 Views4609
    Read More
  4. '지치다'는 원래 '설사하다'라는 의미

    Date2007.01.23 By바람의종 Views4294
    Read More
  5. '지아비' '지어미'의 '지'는 '집'...곧 '집아비, 집어미'의 뜻

    Date2007.01.20 By風磬 Views4625
    Read More
  6. '지붕'은 '집'의 '위'란 뜻

    Date2006.10.28 By風磬 Views4468
    Read More
  7. '지렁이'란 단어를 분석하면...

    Date2006.11.13 By風磬 Views3702
    Read More
  8. '장아찌'의 어원이 무엇인지 아십니까?

    Date2006.10.31 By風磬 Views4742
    Read More
  9. '자유'는 일본어에서 온 말이 아니라 중국의 '백화문'에서 온 말

    Date2006.09.07 By風磬 Views4668
    Read More
  10. '원숭이'를 '잔나비'라고 하는 까닭을 아셔요?

    Date2006.12.20 By風磬 Views3461
    Read More
  11. '우물'은 '움물'에서 나온 말. 곧 '움'에서 나오는 '물'

    Date2006.12.19 By風磬 Views3578
    Read More
  12. '우두머리'는 옛날에는 비칭이 아니라 평칭이었습니다.

    Date2006.12.05 By風磬 Views4182
    Read More
  13. '옛날 옛적 고리짝에'는 '옛날 옛적 고려 적에'의 뜻

    Date2006.12.13 By風磬 Views4541
    Read More
  14. '여자무당' -> '임금의 선생님' -> '스승'으로 의미 변화

    Date2007.01.03 By風磬 Views3722
    Read More
  15. '얼우-'+'는'(성교하다) --> '얼운'...'어른'은 혼인한 사람

    Date2007.01.21 By風磬 Views6428
    Read More
  16. '양치질'은 양지(버드나무 가지)에 접미사 '질'이 붙은 것

    Date2006.12.10 By風磬 Views4761
    Read More
  17. '양말'의 ‘말’은 한자의 '버선 말'자...여기에 '서양 양'이 붙은 것입니다.

    Date2006.12.11 By風磬 Views4167
    Read More
  18. '알타리무'의 표준어는 '총각무'

    Date2006.11.09 By風磬 Views3915
    Read More
  19. '아깝다'와 '아끼다'는 연관된 단어

    Date2006.10.26 By風磬 Views4370
    Read More
  20. '씨름'은 옛말 '힐후다'에서 나온 말

    Date2006.09.07 By風磬 Views4694
    Read More
  21. '시냇물'은 '실'+'내'+'물'이 합쳐서 생긴 말

    Date2007.01.02 By風磬 Views3343
    Read More
  22. '숨바꼭질'의 '숨'은 '숨 쉬다'의 '숨'...'숨 + 바꿈 + 질'

    Date2006.12.27 By風磬 Views3796
    Read More
  23. '수저'는 '숫가락'과 '젓가락'이 쳐진 말

    Date2006.09.07 By風磬 Views4607
    Read More
  24. '성냥'은 원래 한자어...'석뉴황'이 음운변화를 겪은 것

    Date2007.01.17 By風磬 Views3617
    Read More
  25. '새'는 '동쪽'의 의미...'샛별'은 동쪽에 제일 먼저 뜨는 별

    Date2006.11.11 By風磬 Views4489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