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139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박쥐'의 '박'은 '눈이 밝다'의 '밝-'

  '박쥐'는 사람들에게  그리 좋은 인상을 주지 못하는 짐승이지요. 우선 징그럽다고 하고, 또 밤에만  나돌아 다녀서 그런지, '남몰래 밤에만 음흉하게 일을 하는 사람'을 욕할 때, '박쥐 같은 놈'이라고 하지요. 이 '박쥐'에서 '쥐'는 그 뜻을 금방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여기에 왜 '박'이 붙었으며, 또 그 '박'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아시는 분은 그리 많지 않을 것입니다.

  '박쥐'는 원래  '밝쥐'였지요. 아마도 '눈이 밝다'는 뜻으로 '밝-'이 쓰인 것 같습니다. 박쥐가 초음파를 발사하여 그 반사음을  포착하여 방향을 조정해서 야간활동을 한다는 사실을 안 것은 훨씬 후대의 일이니까, 그 전에는 '눈이 밝은 쥐'로 이해할 만도 하겠지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1 모어에 대한 인식 3 - 언어와 민족, 그리고 문화 바람의종 2008.04.25 3972
120 모어에 대한 인식 2 - 낮은 목소리, 짧은 표현 바람의종 2008.04.24 3311
119 모어에 대한 인식 1 - 말 속에 담긴 것 바람의종 2008.04.23 3242
118 명절, 절후 용어 3 - 외래 명절과 고유 명절 바람의종 2008.04.05 3295
117 명절, 절후 용어 2 - 한가위, 수릿날 아으 동동다리 바람의종 2008.04.04 3517
116 명절, 절후 용어 1 - 어정 칠월 동동 팔월 바람의종 2008.04.03 3825
115 망나니 호칭 - 지존이 무상하다 바람의종 2008.05.12 3994
114 말의 어원 - "말"이라는 말의 뿌리 바람의종 2008.04.21 3673
113 막가파 용어 - 전쟁과 파괴의 시대 바람의종 2008.05.23 3402
112 마산과 무학산 - 가고파의 바다가 보이는 마잿골 바람의종 2008.09.23 3333
111 라면은 살짝 끓여서 물을 버리고 다시 삶아 먹는 것이 좋다는군요. 風磬 2006.11.04 3858
110 된소리 현상 - 꿍따리 싸바라 빠빠빠 바람의종 2008.05.10 3527
109 동사는 사라지고 명사만 남은 '기침'의 어원 風磬 2006.10.23 4683
108 동래와 영도 - 새울이뫼에서 고마뫼로 바람의종 2008.09.24 3263
107 다방의 '레지'는 영어의 'register'에서 온 말 風磬 2006.12.01 5221
106 농경 생활 용어 3 - 사계의 고유 이름 바람의종 2008.04.08 3280
105 농경 생활 용어 2 - 바람의 고유 이름 바람의종 2008.04.07 3376
104 농경 생활 용어 1 - 북돋워 주고 헹가래치고 바람의종 2008.04.06 3307
103 노름 용어 - 고스톱 왕국은 피바가지 바람의종 2008.05.05 3128
102 낭떠러지, 벼랑 & 칭송, 칭찬 風磬 2006.09.14 4724
101 남원과 춘향 - 여성의 절개, 남성의 절개 바람의종 2008.09.18 3378
100 김포와 휴전선 - 애기봉에 울려퍼지는 어울림의 합창 바람의종 2008.07.29 3455
99 글의 어원 - "긋다"에서 그리움까지 바람의종 2008.04.22 3247
98 과메기 바람의종 2008.03.22 3384
97 공주와 금강 - 곰나루와 백마강 전설 바람의종 2008.08.28 349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