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177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박쥐'의 '박'은 '눈이 밝다'의 '밝-'

  '박쥐'는 사람들에게  그리 좋은 인상을 주지 못하는 짐승이지요. 우선 징그럽다고 하고, 또 밤에만  나돌아 다녀서 그런지, '남몰래 밤에만 음흉하게 일을 하는 사람'을 욕할 때, '박쥐 같은 놈'이라고 하지요. 이 '박쥐'에서 '쥐'는 그 뜻을 금방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여기에 왜 '박'이 붙었으며, 또 그 '박'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아시는 분은 그리 많지 않을 것입니다.

  '박쥐'는 원래  '밝쥐'였지요. 아마도 '눈이 밝다'는 뜻으로 '밝-'이 쓰인 것 같습니다. 박쥐가 초음파를 발사하여 그 반사음을  포착하여 방향을 조정해서 야간활동을 한다는 사실을 안 것은 훨씬 후대의 일이니까, 그 전에는 '눈이 밝은 쥐'로 이해할 만도 하겠지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6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바람의종 2009.05.02 3203
195 우리말의 상상력 1 - 1. 언어적 상상력의 바탕 (2/2) 바람의종 2009.05.01 3542
194 우리말의 상상력 1 - 1. 언어적 상상력의 바탕 (1/2) 바람의종 2009.04.14 3167
193 제주와 한라산 - 한라산 철쭉은 왜 붉은가 바람의종 2008.09.26 4064
192 해남과 두륜산 - 종착지가 아닌 시발지 바람의종 2008.09.25 3960
191 동래와 영도 - 새울이뫼에서 고마뫼로 바람의종 2008.09.24 3301
190 마산과 무학산 - 가고파의 바다가 보이는 마잿골 바람의종 2008.09.23 3343
189 지리산과 섬진강 - 노고단 밑으로 달래강이 흐르고 바람의종 2008.09.20 3858
188 영암과 월출산 - 달래골에서 만나는 두 성인 바람의종 2008.09.19 3986
187 목포와 몽탄강 - 유달산과 삼학도의 노래 바람의종 2008.09.18 3285
186 남원과 춘향 - 여성의 절개, 남성의 절개 바람의종 2008.09.18 3385
185 경주와 남산 - 서라벌의 탄생 신화 바람의종 2008.09.09 3278
184 영일과 호미동 - 호랑이꼬리에서의 해맞이 바람의종 2008.09.07 3504
183 선산과 금오산 - 복사골에서 솟는 불도의 샘 바람의종 2008.09.06 3546
182 안동과 하회 마을 - 제비연에서 물도리동까지 바람의종 2008.09.04 3361
181 진안과 마이산 - 난달래골에 내려온 신선 부부 바람의종 2008.09.03 4403
180 보은과 속리산 - 속세가 산을 떠나 있네 바람의종 2008.09.02 3427
179 공주와 금강 - 곰나루와 백마강 전설 바람의종 2008.08.28 3508
178 황지와 태백산 - 밝은 뫼에서 솟는 시원의 샘 바람의종 2008.08.19 4052
177 수원고 화산 - 아버지를 그리는 효심의 물골 바람의종 2008.08.08 3563
176 탄천과 동방삭 - 수청과 탄천 바람의종 2008.08.04 3949
175 춘천과 의암 - 맥국의 맥이 흐르는 쇠머리골 바람의종 2008.08.03 4964
174 철원과 한탄강 - 큰 여울 줄기 따라 한탄의 전설이 바람의종 2008.07.31 4835
173 김포와 휴전선 - 애기봉에 울려퍼지는 어울림의 합창 바람의종 2008.07.29 3497
172 강화와 마리산 - 반도 한가운데 솟은 머리산 바람의종 2008.07.28 323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