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273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박쥐'의 '박'은 '눈이 밝다'의 '밝-'

  '박쥐'는 사람들에게  그리 좋은 인상을 주지 못하는 짐승이지요. 우선 징그럽다고 하고, 또 밤에만  나돌아 다녀서 그런지, '남몰래 밤에만 음흉하게 일을 하는 사람'을 욕할 때, '박쥐 같은 놈'이라고 하지요. 이 '박쥐'에서 '쥐'는 그 뜻을 금방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여기에 왜 '박'이 붙었으며, 또 그 '박'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아시는 분은 그리 많지 않을 것입니다.

  '박쥐'는 원래  '밝쥐'였지요. 아마도 '눈이 밝다'는 뜻으로 '밝-'이 쓰인 것 같습니다. 박쥐가 초음파를 발사하여 그 반사음을  포착하여 방향을 조정해서 야간활동을 한다는 사실을 안 것은 훨씬 후대의 일이니까, 그 전에는 '눈이 밝은 쥐'로 이해할 만도 하겠지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1 '장아찌'의 어원이 무엇인지 아십니까? 風磬 2006.10.31 4888
220 '자유'는 일본어에서 온 말이 아니라 중국의 '백화문'에서 온 말 風磬 2006.09.07 4887
219 몸짓 언어 3 - 입으로 하는 또다른 말 바람의종 2008.04.16 4868
218 '씨름'은 옛말 '힐후다'에서 나온 말 風磬 2006.09.07 4847
217 우리말의 속살 - 임신, 출산 용어 삼신 할머니는 노여움을 푸소서 바람의종 2008.03.16 4837
216 16. '무지개'는 '물'로 된 '문'이라는 뜻 風磬 2006.10.05 4826
215 낭떠러지, 벼랑 & 칭송, 칭찬 風磬 2006.09.14 4825
214 '대리다' '대리미'는 전북 지방의 방언입니다. 風磬 2006.11.07 4814
213 동사는 사라지고 명사만 남은 '기침'의 어원 風磬 2006.10.23 4791
212 '가물치'는 '검은 고기'라는 뜻 風磬 2007.01.11 4786
211 '지아비' '지어미'의 '지'는 '집'...곧 '집아비, 집어미'의 뜻 風磬 2007.01.20 4785
210 "구실을 삼다"와 "사람 구실을 못한다"에서 風磬 2006.10.25 4781
209 17. '닭의알'-->'닭이알'-->'달걀'......'달걀'은 토박이말 風磬 2006.10.06 4776
208 우리말의 상상력- 3. 울 안의 복숭아나무, 기다림의 미학(美學) 바람의종 2010.02.23 4772
207 '수저'는 '숫가락'과 '젓가락'이 쳐진 말 風磬 2006.09.07 4749
206 엄마, 아빠에서 "어이 어이"까지 바람의종 2008.03.19 4729
205 '집사람'은 본래 '가족'이란 뜻 風磬 2006.11.19 4720
204 '노들강변'은 '노량진 나루터'를 말하는 고유명사 ...버드나무와 상관없어 風磬 2007.01.18 4719
203 우리말의 상상력 1 - 11. 고움과 원형(圓形) 바람의종 2009.06.30 4698
202 '옛날 옛적 고리짝에'는 '옛날 옛적 고려 적에'의 뜻 風磬 2006.12.13 4687
201 '지붕'은 '집'의 '위'란 뜻 風磬 2006.10.28 4673
200 "영낙없이 지 애비 탁했네" -> "영낙없이 지 애비 닮았네" 風磬 2006.11.03 4663
199 '새'는 '동쪽'의 의미...'샛별'은 동쪽에 제일 먼저 뜨는 별 風磬 2006.11.11 4655
198 '학독'이란 단어의 뜻을 아십니까? 風磬 2006.11.10 4652
197 아기들이 차는 '기저귀'의 어원은 무엇일까요? 風磬 2006.11.15 46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