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259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박쥐'의 '박'은 '눈이 밝다'의 '밝-'

  '박쥐'는 사람들에게  그리 좋은 인상을 주지 못하는 짐승이지요. 우선 징그럽다고 하고, 또 밤에만  나돌아 다녀서 그런지, '남몰래 밤에만 음흉하게 일을 하는 사람'을 욕할 때, '박쥐 같은 놈'이라고 하지요. 이 '박쥐'에서 '쥐'는 그 뜻을 금방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여기에 왜 '박'이 붙었으며, 또 그 '박'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아시는 분은 그리 많지 않을 것입니다.

  '박쥐'는 원래  '밝쥐'였지요. 아마도 '눈이 밝다'는 뜻으로 '밝-'이 쓰인 것 같습니다. 박쥐가 초음파를 발사하여 그 반사음을  포착하여 방향을 조정해서 야간활동을 한다는 사실을 안 것은 훨씬 후대의 일이니까, 그 전에는 '눈이 밝은 쥐'로 이해할 만도 하겠지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1 음료수 용어 2 - 차 한잔의 여유와 향기 바람의종 2008.03.31 3405
120 음료수 용어 1 - 꽃 꺽어 산 놓으며 드사이다. 바람의종 2008.03.30 3418
119 부위별 고기 명칭 - 아롱사태의 그 은밀한 맛 바람의종 2008.03.29 4060
118 식기 용어 - 뚝배기보다는 장맛 바람의종 2008.03.28 3645
117 여성용 의상어 - 아얌과 배꼽티 바람의종 2008.03.27 3809
116 바느질 용어 - 깁고, 박고, 호고, 공그르고 바람의종 2008.03.25 3622
115 생사용어 - 삶과 죽음의 언어 바람의종 2008.03.24 3805
114 과메기 바람의종 2008.03.22 3433
113 질병용어 - 든 병, 난 병, 걸린 병 바람의종 2008.03.22 4342
112 혼사용어 - 풀보기, 자리보기, 댕기풀이 바람의종 2008.03.20 4331
111 엄마, 아빠에서 "어이 어이"까지 바람의종 2008.03.19 4722
110 우리말의 속살 - 유아의 언어 습득 말문은 저절로 트인다 바람의종 2008.03.18 4143
109 우리말의 속살 - 요람기의 용어 어화둥둥 금자둥아, 얼싸둥둥 은자둥아 바람의종 2008.03.16 5247
108 우리말의 속살 - 임신, 출산 용어 삼신 할머니는 노여움을 푸소서 바람의종 2008.03.16 4833
107 소련식 기관단총에 '또아리' 같은 게 달려 '따발총'이라고 불렀답니다 바람의종 2007.01.26 4566
106 '곶감'은 꼬챙이에 꽂아서 말린 감 바람의종 2007.01.25 4279
105 '마땅하다'는 고유어에 한자어가 붙어서 생긴 말 바람의종 2007.01.24 3714
104 '지치다'는 원래 '설사하다'라는 의미 바람의종 2007.01.23 4460
103 '노래' '놀이' '노름'은 한 가지에서 나온 단어 바람의종 2007.01.22 3916
102 '얼우-'+'는'(성교하다) --> '얼운'...'어른'은 혼인한 사람 風磬 2007.01.21 6563
101 '지아비' '지어미'의 '지'는 '집'...곧 '집아비, 집어미'의 뜻 風磬 2007.01.20 4785
100 '먹거리'는 옳지 않은 말...그 까닭은? 風磬 2007.01.19 4609
99 '노들강변'은 '노량진 나루터'를 말하는 고유명사 ...버드나무와 상관없어 風磬 2007.01.18 4711
98 '성냥'은 원래 한자어...'석뉴황'이 음운변화를 겪은 것 風磬 2007.01.17 3767
97 애국가 가사 중의 '바람서리'는 '풍상'(바람 풍, 서리 상)이란 뜻 風磬 2007.01.16 438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