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096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박쥐'의 '박'은 '눈이 밝다'의 '밝-'

  '박쥐'는 사람들에게  그리 좋은 인상을 주지 못하는 짐승이지요. 우선 징그럽다고 하고, 또 밤에만  나돌아 다녀서 그런지, '남몰래 밤에만 음흉하게 일을 하는 사람'을 욕할 때, '박쥐 같은 놈'이라고 하지요. 이 '박쥐'에서 '쥐'는 그 뜻을 금방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여기에 왜 '박'이 붙었으며, 또 그 '박'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아시는 분은 그리 많지 않을 것입니다.

  '박쥐'는 원래  '밝쥐'였지요. 아마도 '눈이 밝다'는 뜻으로 '밝-'이 쓰인 것 같습니다. 박쥐가 초음파를 발사하여 그 반사음을  포착하여 방향을 조정해서 야간활동을 한다는 사실을 안 것은 훨씬 후대의 일이니까, 그 전에는 '눈이 밝은 쥐'로 이해할 만도 하겠지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1 '학독'이란 단어의 뜻을 아십니까? 風磬 2006.11.10 4518
70 '옛날 옛적 고리짝에'는 '옛날 옛적 고려 적에'의 뜻 風磬 2006.12.13 4544
69 "구실을 삼다"와 "사람 구실을 못한다"에서 風磬 2006.10.25 4545
68 '노들강변'은 '노량진 나루터'를 말하는 고유명사 ...버드나무와 상관없어 風磬 2007.01.18 4546
67 엄마, 아빠에서 "어이 어이"까지 바람의종 2008.03.19 4586
66 우리말의 상상력- 3. 울 안의 복숭아나무, 기다림의 미학(美學) 바람의종 2010.02.23 4589
65 우리말의 상상력 1 - 11. 고움과 원형(圓形) 바람의종 2009.06.30 4593
64 '가물치'는 '검은 고기'라는 뜻 風磬 2007.01.11 4594
63 '수저'는 '숫가락'과 '젓가락'이 쳐진 말 風磬 2006.09.07 4612
62 '집사람'은 본래 '가족'이란 뜻 風磬 2006.11.19 4614
61 '지아비' '지어미'의 '지'는 '집'...곧 '집아비, 집어미'의 뜻 風磬 2007.01.20 4627
60 17. '닭의알'-->'닭이알'-->'달걀'......'달걀'은 토박이말 風磬 2006.10.06 4633
59 동사는 사라지고 명사만 남은 '기침'의 어원 風磬 2006.10.23 4635
58 '대리다' '대리미'는 전북 지방의 방언입니다. 風磬 2006.11.07 4658
57 낭떠러지, 벼랑 & 칭송, 칭찬 風磬 2006.09.14 4661
56 '자유'는 일본어에서 온 말이 아니라 중국의 '백화문'에서 온 말 風磬 2006.09.07 4673
55 16. '무지개'는 '물'로 된 '문'이라는 뜻 風磬 2006.10.05 4686
54 '씨름'은 옛말 '힐후다'에서 나온 말 風磬 2006.09.07 4694
53 우리말의 속살 - 임신, 출산 용어 삼신 할머니는 노여움을 푸소서 바람의종 2008.03.16 4704
52 철원과 한탄강 - 큰 여울 줄기 따라 한탄의 전설이 바람의종 2008.07.31 4716
51 '장아찌'의 어원이 무엇인지 아십니까? 風磬 2006.10.31 4745
50 8. '보배'의 '배'는 한자음으로 '패'...즉 '조개 패'를 말합니다 風磬 2006.09.27 4759
49 '양치질'은 양지(버드나무 가지)에 접미사 '질'이 붙은 것 風磬 2006.12.10 4764
48 몸짓 언어 3 - 입으로 하는 또다른 말 바람의종 2008.04.16 4764
47 21. '꽁치'의 어원에 관한 유력한 설이 있습니다 風磬 2006.10.10 476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