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968 추천 수 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처녀들께서는 부끄럼 타지 말고 '총각김치'를 드셔요

  국어에서는 남녀를 나타내는 말이 무척 다양하게 발달되어 있습니다. 그 중에서 혼인할  나이가 된 성인 남녀를 지칭할 때에는 '처녀' '총각'이란 한자어를 사용합니다. 그 중에서 '처녀'는 그 단어 속에 '여'가 들어 있어서 그 뜻을 어렴풋이 짐작할 수 있지만, 아마도 '총각'은 그 어원을 전혀 짐작하지 못하실 것입니다.

  한자인 '총'은 지금은 '다 총' 등으로 '모두'라는 뜻을 나타내고 있지만, 원래는 '꿰맬 총', '상투짤 총' 등으로 쓰이던 것입니다. '각'은 물론 '뿔 각'이고요.  중국에서나 우리나라에서 아이들이  머리를 양쪽으로 갈라 뿔 모양으로 동여맨 머리를 '총각'이라고 했었습니다. 이런 머리를 한 사람은 대개가 장가가기 전의 남자였습니다. 그래서 그러한  머리를 한 사람을  '총각'이라고 한 것이지요. 옛날에는 어린 소년들에게도 '총각!'하고 불렀습니다.  이것을 마치 어린  소년을 높여서 부르는 것처럼 생각한 분은 안계신지요?

  여기에서 '더벅머리 총각'이라는  말도 생겼지요. 어떤 사람은 '떡거머리 총각'이라는 말도 쓰는데, 이때의 '떡거머리'가 무엇을 나타내는 말인지는 알 수 없습니다. 어느 사전에도 '떡거머리'란 단어는 보이지 않습니다.  여기에 연유해서  생긴 단어가 또 있습니다. 그것은 '총각김치'란 말입니다. '총각김치'는 여러분들이 잘 아시듯, 손가락 굵기만한 어린 무우를 무우청째로 여러 얌념에 버무려 담은 김치를 말하는데,  그 어린 무우가 마치 '총각'의 머리와 같은 모습을 닮아서 생긴 단어입니다. 그런데  처녀들은 그 '총각김치'란 단어 자체나 또는 실제의 김치를 기피하곤 했었습니다. 그 총각김치가 마치 총각의 생식기를 형상하는 것에서 생긴 것으로 착각했던 것이지요.  그러나 그런 것이 절대 아니니, 처녀들은 이제 아무런 부끄러움 없이 총각김치를 드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1. 황지와 태백산 - 밝은 뫼에서 솟는 시원의 샘

    Date2008.08.19 By바람의종 Views4063
    Read More
  2. 혼사용어 - 풀보기, 자리보기, 댕기풀이

    Date2008.03.20 By바람의종 Views4265
    Read More
  3. 형벌 관련 욕설 - 오라질 년과 경칠 놈

    Date2008.05.11 By바람의종 Views4286
    Read More
  4. 허망한 언사들 2 - 구호가 없는 사회

    Date2008.05.03 By바람의종 Views4197
    Read More
  5. 허망한 언사들 1 - 별 볼일 있는 말

    Date2008.05.01 By바람의종 Views4312
    Read More
  6. 해남과 두륜산 - 종착지가 아닌 시발지

    Date2008.09.25 By바람의종 Views3967
    Read More
  7. 탄천과 동방삭 - 수청과 탄천

    Date2008.08.04 By바람의종 Views3955
    Read More
  8. 춘천과 의암 - 맥국의 맥이 흐르는 쇠머리골

    Date2008.08.03 By바람의종 Views4968
    Read More
  9. 철원과 한탄강 - 큰 여울 줄기 따라 한탄의 전설이

    Date2008.07.31 By바람의종 Views4835
    Read More
  10. 처녀들께서는 부끄럼 타지 말고 '총각김치'를 드셔요

    Date2006.12.08 By風磬 Views4968
    Read More
  11. 질병용어 - 든 병, 난 병, 걸린 병

    Date2008.03.22 By바람의종 Views4262
    Read More
  12. 진안과 마이산 - 난달래골에 내려온 신선 부부

    Date2008.09.03 By바람의종 Views4411
    Read More
  13. 지명어의 작명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Date2008.06.02 By바람의종 Views3719
    Read More
  14. 지명 속담 - 보은 아가씨 추석비에 운다

    Date2008.05.29 By바람의종 Views3837
    Read More
  15. 지리산과 섬진강 - 노고단 밑으로 달래강이 흐르고

    Date2008.09.20 By바람의종 Views3858
    Read More
  16. 주술적 용어 3 - "고시"는 가까이, 잡귀는 물러가라

    Date2008.04.13 By바람의종 Views4357
    Read More
  17. 주술적 용어 2 - 고마워하고 비는 기원의 말

    Date2008.04.10 By바람의종 Views4277
    Read More
  18. 주술적 용어 1 - 끼, 그 가능성의 유전자

    Date2008.04.09 By바람의종 Views4152
    Read More
  19. 제주와 한라산 - 한라산 철쭉은 왜 붉은가

    Date2008.09.26 By바람의종 Views4078
    Read More
  20. 전철역의 이름 - 향토색 짙은 서울 역명

    Date2008.06.24 By바람의종 Views4077
    Read More
  21. 전북에서는 '생강'을 '시앙/새앙'이라고 말합니다.

    Date2006.11.08 By風磬 Views3973
    Read More
  22. 전북 지방에서는 씀바귀를 '씸바구, 씸바구리'라고도 합니다.

    Date2006.09.07 By風磬 Views5480
    Read More
  23. 잃어버린 지명 - 아름다운 이름, 보은단, 고운담

    Date2008.06.03 By바람의종 Views3367
    Read More
  24. 인명의 작명 - 이름을 불러 주는 의미

    Date2008.07.18 By바람의종 Views3144
    Read More
  25. 음식 이름 - 족발, 주물럭, 닭도리탕

    Date2008.05.06 By바람의종 Views3576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