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639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 살'의 '살'과 '설날'의 '설'은 어떤 관계일까요?

  우리 나라에서는 태어난 지 이틀밖에 안된 아기가 나이로는 '두 살'이 될 수 있습니다. 우리 나라에서는 한 해가 지나면 자연히 한 '살'을  먹게 되니까요. 음력 섣달 그믐날에 태어난 아기가  그 다음 날, 그러니까 '설날'만  되면 비록 태어난 지 이틀밖에 안된 아기지만 금방 두 살이나 됩니다. 서양에서는 아직 한 살도 되지 않은 아이를 두 살이라고 하는 사실에 대해서 의아해 하는 분도 많지만,  그 생각은 서양식 교육의 영향인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의 나이 계산  방법에 의하면 그 아기는 분명히 두 살입니다. 왜냐구요?

  우리 나라에서는 태어나면 곧 한 살이  되고, 다시 한 '설'을 지나면 한 '살'을 더 먹기 때문입니다. 우리 나라에서는 엄마 뱃속에 있을 때에도 하나의 생명체로 생각해서, 태어나자 마자 한 살이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사람마다 한 살씩 더 먹는 날을, 서양처럼 각자 생일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정하지 않고 모두 '설날'로 정한 것이지요. 이러한 생각이 서양사람들의 사고에 비해 얼마나 인간적이고 합리적인가요?

  그래서 한 '살'을 더  먹기 위해서는 한 '설'을 지나야 합니다. 옛날에는  '한 살,  두 살 다.  이렇게 국어의 단어는 만들어졌습니다. 매우 경제적인 방법입니다. 새로운 뜻을 가진 사물이나 현상이 생기면, 이것에 전혀 생소한 단어를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전에 있었던 단어들의 자음이나 모음을 바꾸어 가면서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  갑니다. 이것을 보통 '단어의 파생'이라고 합니다.  우리 국어에서는 이와 같이 모음만 바꾸어서 그 뜻을 조금씩 바꾸어 간  것이 무척 많습니다.몇 가지 예를 들어 볼까요?

 (1) '머리'와 '마리' '머리'가 하나이면 '한 '마리'지요. 그래서 옛날(훈민정음 창제 당시)에는      사람의  '머리'도 '마리'라고 했습니다. 그렇다고 한 사람을 '한 마리'라고 하지 않습니다.
 (2) '남다'와  '넘다' : '남으면' '넘치지요'? 아니면 '넘으면' '남는' 게 되지요.
 (3) '낡다'와 '늙다' : 사람이 '낡으면' '늙는' 것이라고 할 수 있지요? 물론 '낡다'는 옛날에       는 '다'는 다른 사물에만 쓰는 단어입니다.
 (4) '맛'과 '멋' : '맛'이 있어야 '멋'이 있지 않겠습니까? 이 이외에도 이른바 의성 의태어        는 모음을 달리해서 그 조그마한 뜻을 바꾸는 일이 너무 많지요. 다음에 드는 예문에        속한 사람이 어떠한 사람인지는 상상만해 보세요.
       그 사람은 (뚱뚱하다,  똥똥하다, 땅땅하다,땡땡하다, 띵띵하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1 모주 바람의종 2008.05.03 4081
120 노름 용어 - 고스톱 왕국은 피바가지 바람의종 2008.05.05 3004
119 문래 바람의종 2008.05.05 3151
118 음식 이름 - 족발, 주물럭,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05.06 3385
117 가족 호칭어 - 며느리와 새아기 바람의종 2008.05.08 3723
116 보은단 바람의종 2008.05.08 2995
115 된소리 현상 - 꿍따리 싸바라 빠빠빠 바람의종 2008.05.10 3369
114 형벌 관련 욕설 - 오라질 년과 경칠 놈 바람의종 2008.05.11 4164
113 망나니 호칭 - 지존이 무상하다 바람의종 2008.05.12 3894
112 막가파 용어 - 전쟁과 파괴의 시대 바람의종 2008.05.23 3292
111 지명 속담 - 보은 아가씨 추석비에 운다 바람의종 2008.05.29 3664
110 지명어의 작명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바람의종 2008.06.02 3580
109 잃어버린 지명 - 아름다운 이름, 보은단, 고운담 바람의종 2008.06.03 3204
108 신도시의 이름 - 일산과 김정숙군 바람의종 2008.06.22 3572
107 전철역의 이름 - 향토색 짙은 서울 역명 바람의종 2008.06.24 3919
106 서울과 한강 - "아리수"가의 새마을 바람의종 2008.07.12 2935
105 인명의 작명 - 이름을 불러 주는 의미 바람의종 2008.07.18 2961
104 고유어 인명 - 돌쇠면 어떻고 개똥이면 어떤가 바람의종 2008.07.19 4100
103 여성의 이름 - 언년이, 영자, 정숙, 한송이 바람의종 2008.07.21 3451
102 어느 여인의 이름 - 최초로 이 땅에 시집 온 여인 바람의종 2008.07.24 3648
101 백령도와 심청 - 흰 새가 일러 준 기다림의 섬 바람의종 2008.07.26 3081
100 강화와 마리산 - 반도 한가운데 솟은 머리산 바람의종 2008.07.28 3070
99 김포와 휴전선 - 애기봉에 울려퍼지는 어울림의 합창 바람의종 2008.07.29 3278
98 철원과 한탄강 - 큰 여울 줄기 따라 한탄의 전설이 바람의종 2008.07.31 4629
97 춘천과 의암 - 맥국의 맥이 흐르는 쇠머리골 바람의종 2008.08.03 48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