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768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 살'의 '살'과 '설날'의 '설'은 어떤 관계일까요?

  우리 나라에서는 태어난 지 이틀밖에 안된 아기가 나이로는 '두 살'이 될 수 있습니다. 우리 나라에서는 한 해가 지나면 자연히 한 '살'을  먹게 되니까요. 음력 섣달 그믐날에 태어난 아기가  그 다음 날, 그러니까 '설날'만  되면 비록 태어난 지 이틀밖에 안된 아기지만 금방 두 살이나 됩니다. 서양에서는 아직 한 살도 되지 않은 아이를 두 살이라고 하는 사실에 대해서 의아해 하는 분도 많지만,  그 생각은 서양식 교육의 영향인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의 나이 계산  방법에 의하면 그 아기는 분명히 두 살입니다. 왜냐구요?

  우리 나라에서는 태어나면 곧 한 살이  되고, 다시 한 '설'을 지나면 한 '살'을 더 먹기 때문입니다. 우리 나라에서는 엄마 뱃속에 있을 때에도 하나의 생명체로 생각해서, 태어나자 마자 한 살이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사람마다 한 살씩 더 먹는 날을, 서양처럼 각자 생일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정하지 않고 모두 '설날'로 정한 것이지요. 이러한 생각이 서양사람들의 사고에 비해 얼마나 인간적이고 합리적인가요?

  그래서 한 '살'을 더  먹기 위해서는 한 '설'을 지나야 합니다. 옛날에는  '한 살,  두 살 다.  이렇게 국어의 단어는 만들어졌습니다. 매우 경제적인 방법입니다. 새로운 뜻을 가진 사물이나 현상이 생기면, 이것에 전혀 생소한 단어를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전에 있었던 단어들의 자음이나 모음을 바꾸어 가면서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  갑니다. 이것을 보통 '단어의 파생'이라고 합니다.  우리 국어에서는 이와 같이 모음만 바꾸어서 그 뜻을 조금씩 바꾸어 간  것이 무척 많습니다.몇 가지 예를 들어 볼까요?

 (1) '머리'와 '마리' '머리'가 하나이면 '한 '마리'지요. 그래서 옛날(훈민정음 창제 당시)에는      사람의  '머리'도 '마리'라고 했습니다. 그렇다고 한 사람을 '한 마리'라고 하지 않습니다.
 (2) '남다'와  '넘다' : '남으면' '넘치지요'? 아니면 '넘으면' '남는' 게 되지요.
 (3) '낡다'와 '늙다' : 사람이 '낡으면' '늙는' 것이라고 할 수 있지요? 물론 '낡다'는 옛날에       는 '다'는 다른 사물에만 쓰는 단어입니다.
 (4) '맛'과 '멋' : '맛'이 있어야 '멋'이 있지 않겠습니까? 이 이외에도 이른바 의성 의태어        는 모음을 달리해서 그 조그마한 뜻을 바꾸는 일이 너무 많지요. 다음에 드는 예문에        속한 사람이 어떠한 사람인지는 상상만해 보세요.
       그 사람은 (뚱뚱하다,  똥똥하다, 땅땅하다,땡땡하다, 띵띵하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1. 지명 속담 - 보은 아가씨 추석비에 운다

    Date2008.05.29 By바람의종 Views3853
    Read More
  2. 우리말의 상상력 1 - 5. 물의 순환 (1/2)

    Date2009.05.25 By바람의종 Views3841
    Read More
  3. 명절, 절후 용어 1 - 어정 칠월 동동 팔월

    Date2008.04.03 By바람의종 Views3840
    Read More
  4. '곶감'은 꼬챙이에 꽂아서 말린 감

    Date2006.12.29 By風磬 Views3830
    Read More
  5. 우리말 사랑 1 - 손때의 의미

    Date2008.04.26 By바람의종 Views3810
    Read More
  6. 우리말 사랑 3 - 개화와 세계화

    Date2008.04.28 By바람의종 Views3810
    Read More
  7. '여자무당' -> '임금의 선생님' -> '스승'으로 의미 변화

    Date2007.01.03 By風磬 Views3807
    Read More
  8. 식사 후 "양이 찼느냐?"에서 '양'은 '위장'의 '위'에 해당하는 토박이말

    Date2007.01.01 By風磬 Views3800
    Read More
  9. 우리말의 상상력 1 - 3. 풀과 목숨 (2/2)

    Date2009.05.15 By바람의종 Views3800
    Read More
  10. '지렁이'란 단어를 분석하면...

    Date2006.11.13 By風磬 Views3797
    Read More
  11. '낮다'의 어간 '낮'에 '-브다'가 붙어 생긴말 --> 나쁘다

    Date2006.10.30 By風磬 Views3790
    Read More
  12. '결혼하다'와 '혼인하다'는 본래 다른 뜻이었습니다

    Date2006.12.31 By風磬 Views3788
    Read More
  13.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어머니와 곰신앙

    Date2009.10.06 By바람의종 Views3787
    Read More
  14. 여성용 의상어 - 아얌과 배꼽티

    Date2008.03.27 By바람의종 Views3784
    Read More
  15. 어느 여인의 이름 - 최초로 이 땅에 시집 온 여인

    Date2008.07.24 By바람의종 Views3775
    Read More
  16. 생사용어 - 삶과 죽음의 언어

    Date2008.03.24 By바람의종 Views3770
    Read More
  17. '한 살'의 '살'과 '설날'의 '설'은 어떤 관계일까요?

    Date2006.12.04 By風磬 Views3768
    Read More
  18. 우리말의 상상력 2 - 1. 가장 크고 좋은 강, 한강(韓江)

    Date2009.07.14 By바람의종 Views3765
    Read More
  19. 우리말 사랑 2 - 부끄러움이 자랑스러움으로

    Date2008.04.27 By바람의종 Views3737
    Read More
  20. 지명어의 작명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Date2008.06.02 By바람의종 Views3730
    Read More
  21. '성냥'은 원래 한자어...'석뉴황'이 음운변화를 겪은 것

    Date2007.01.17 By風磬 Views3729
    Read More
  22. 우리의 미의식 2 - "안 미인"과 "못 미인"

    Date2008.04.19 By바람의종 Views3716
    Read More
  23. 우리말의 상상력 2 - 2. 달홀(達忽)과 가라홀(加羅忽)의 어우름

    Date2010.01.26 By바람의종 Views3712
    Read More
  24.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조선의 소리 보람

    Date2009.11.08 By바람의종 Views3704
    Read More
  25. 신도시의 이름 - 일산과 김정숙군

    Date2008.06.22 By바람의종 Views3700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