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260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마누라'는 원래 '임금이나 왕후를 일컫는 극존칭'

  우리나라 말에는 남성이나 여성을 지칭하는 말이 여럿 있습니다. 남성과 여성을 지칭하는 말도 그 사람이 혼인을 했는지의 여부에 따라, 그리고 그 사람이 어떠한 벼슬을 했는지에 따라, 그리고 누가 부르는지에 따라 각각 다르게 지칭되었습니다.  예를 들면 남자를 지칭할 때, '남정네, 남진, 남편, 사나이, 총각' 등이 있고, 여자를 지칭할 때에는 '아내, 여편네, 마누라,  집사람,  계집, 부인, 처녀' 등 꽤나 많습니다.  이들이 어떻게 쓰인 것인지는 대개 알려져 있지만, 그 어원들을  아시는 분이 많지  않으실 것으로 생각되어 여기 몇 가지를 소개해 드립니다.

  '아내'는 지금은 그 표기법도 달라져서 그 뜻을 알 수 없게 되었지만 옛날에는 '안해'였지요. '안'은 '밖'의 반의어이고, '-해'는 '사람이나 물건을 말할 때 쓰이던 접미사'입니다.  그래서 그 뜻이 '안 사람'이란 뜻입니다. 그래서 지금도 '안사람'이란 말을 쓰고 있지 않던가요? 거기에 비해서 남자는 '바깥 사람, 바깥분, 바깥양반' 등으로 쓰이고요. '부부''를 '내외'라고 하는 것이 그것을 증명해 주지요.

  '여편네'는 한자어이지요. '여편'에다가 '집단'을 뜻하는 접미사 '-네'를 붙인 것이지요. 어느 목사님께서 혹시 남편의 '옆'에 있어서 '여편네'가 아니냐고 물으신 적이 있습니다.  즉 '옆편네'가 '여편네'가 된 것이 아니냐는 것이었습니다.  다른 목사님의 설교에서  그렇게 들으셨다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남자를 뜻하는 '남편'은 도저히 그 뜻을 해석할 수 없지요.  '여편네'와 '남편'은 서로 대립되는 말입니다.

  '마누라'는 무슨 뜻일까요? 지금은 남편이 다른 사람에게(그것도 같은 지위나 연령에 있는 사람에게) 자신의아내를 지칭할  때나 또는 아내를 '여보! 마누라' 하고 부를 때나, 다른 사람의 아내를 낮추어 지칭할 때(예를 들면 '주인 마누라' 등) 쓰이고 있습니다.  원래 '마누라'는 '마노라'로 쓰이었는데, '노비가 상전을 부르는 칭호'로, 또는 '임금이나  왕후에게 대한 가장 높이는 칭호'로 사용되었던 것입니다. 그러니까 극존칭으로서, 높일 사람이 남자든 여자든 상관 없이, 그리고 부르는 사람이  남자든 여자든 상관 없이 부르던 것이었습니다.  오늘날 지위가 낮은 사람이 그 웃사람을 '마누라'라고 부르거나 대통령이나 그 부인을 '마누라'라고 부르면 어떻게 될까요?  큰 싸움이 나거나 국가원수 모독죄로 붙잡혀 갈 일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왜 이것이  아내의 호칭으로 변화하였는지는 아직 명확히 알 수 없습니다만, 남편을 '영감'이라고 한 것을 생각하면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원래 '영감'은 '정삼품 이상 종이품 이하의 관원'을 말하는 것이었습니다. 오늘날 판사나 검사를  특히 '영감님'으로 부른다고 하는데, 이것은  옛날 그 관원의 등급과 유사하여서 부르는 것입니다.  옛날에도 남편보다도 아내를 더 높여서 불렀던 모양이지요? 남자는 기껏해야  '정삼품'으로 생각했는데,  아내는 '왕이나 왕비'로  생각했으니까요. 이렇게 해서 '마누라'와 '영감'은 대립어가 된  것입니다.

  왜 늙지도  않은  남편을 '영감'이라고 불렀을까를 의심하셨던 분은 이제 그 의문이 풀리셨 을 것입니다. 지난 날의 유행가 중에  '여보! 마누라, 왜 불러?' '영감, 왜 불러?' 하는 가사가 기억이 납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1 황지와 태백산 - 밝은 뫼에서 솟는 시원의 샘 바람의종 2008.08.19 4033
270 혼사용어 - 풀보기, 자리보기, 댕기풀이 바람의종 2008.03.20 4234
269 형벌 관련 욕설 - 오라질 년과 경칠 놈 바람의종 2008.05.11 4264
268 허망한 언사들 2 - 구호가 없는 사회 바람의종 2008.05.03 4162
267 허망한 언사들 1 - 별 볼일 있는 말 바람의종 2008.05.01 4279
266 해남과 두륜산 - 종착지가 아닌 시발지 바람의종 2008.09.25 3921
265 탄천과 동방삭 - 수청과 탄천 바람의종 2008.08.04 3897
264 춘천과 의암 - 맥국의 맥이 흐르는 쇠머리골 바람의종 2008.08.03 4936
263 철원과 한탄강 - 큰 여울 줄기 따라 한탄의 전설이 바람의종 2008.07.31 4771
262 처녀들께서는 부끄럼 타지 말고 '총각김치'를 드셔요 風磬 2006.12.08 4935
261 질병용어 - 든 병, 난 병, 걸린 병 바람의종 2008.03.22 4249
260 진안과 마이산 - 난달래골에 내려온 신선 부부 바람의종 2008.09.03 4353
259 지명어의 작명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바람의종 2008.06.02 3682
258 지명 속담 - 보은 아가씨 추석비에 운다 바람의종 2008.05.29 3817
257 지리산과 섬진강 - 노고단 밑으로 달래강이 흐르고 바람의종 2008.09.20 3827
256 주술적 용어 3 - "고시"는 가까이, 잡귀는 물러가라 바람의종 2008.04.13 4327
255 주술적 용어 2 - 고마워하고 비는 기원의 말 바람의종 2008.04.10 4253
254 주술적 용어 1 - 끼, 그 가능성의 유전자 바람의종 2008.04.09 4111
253 제주와 한라산 - 한라산 철쭉은 왜 붉은가 바람의종 2008.09.26 4035
252 전철역의 이름 - 향토색 짙은 서울 역명 바람의종 2008.06.24 4045
251 전북에서는 '생강'을 '시앙/새앙'이라고 말합니다. 風磬 2006.11.08 3924
250 전북 지방에서는 씀바귀를 '씸바구, 씸바구리'라고도 합니다. 風磬 2006.09.07 5420
249 잃어버린 지명 - 아름다운 이름, 보은단, 고운담 바람의종 2008.06.03 3350
248 인명의 작명 - 이름을 불러 주는 의미 바람의종 2008.07.18 3099
247 음식 이름 - 족발, 주물럭,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05.06 351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