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098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마누라'는 원래 '임금이나 왕후를 일컫는 극존칭'

  우리나라 말에는 남성이나 여성을 지칭하는 말이 여럿 있습니다. 남성과 여성을 지칭하는 말도 그 사람이 혼인을 했는지의 여부에 따라, 그리고 그 사람이 어떠한 벼슬을 했는지에 따라, 그리고 누가 부르는지에 따라 각각 다르게 지칭되었습니다.  예를 들면 남자를 지칭할 때, '남정네, 남진, 남편, 사나이, 총각' 등이 있고, 여자를 지칭할 때에는 '아내, 여편네, 마누라,  집사람,  계집, 부인, 처녀' 등 꽤나 많습니다.  이들이 어떻게 쓰인 것인지는 대개 알려져 있지만, 그 어원들을  아시는 분이 많지  않으실 것으로 생각되어 여기 몇 가지를 소개해 드립니다.

  '아내'는 지금은 그 표기법도 달라져서 그 뜻을 알 수 없게 되었지만 옛날에는 '안해'였지요. '안'은 '밖'의 반의어이고, '-해'는 '사람이나 물건을 말할 때 쓰이던 접미사'입니다.  그래서 그 뜻이 '안 사람'이란 뜻입니다. 그래서 지금도 '안사람'이란 말을 쓰고 있지 않던가요? 거기에 비해서 남자는 '바깥 사람, 바깥분, 바깥양반' 등으로 쓰이고요. '부부''를 '내외'라고 하는 것이 그것을 증명해 주지요.

  '여편네'는 한자어이지요. '여편'에다가 '집단'을 뜻하는 접미사 '-네'를 붙인 것이지요. 어느 목사님께서 혹시 남편의 '옆'에 있어서 '여편네'가 아니냐고 물으신 적이 있습니다.  즉 '옆편네'가 '여편네'가 된 것이 아니냐는 것이었습니다.  다른 목사님의 설교에서  그렇게 들으셨다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남자를 뜻하는 '남편'은 도저히 그 뜻을 해석할 수 없지요.  '여편네'와 '남편'은 서로 대립되는 말입니다.

  '마누라'는 무슨 뜻일까요? 지금은 남편이 다른 사람에게(그것도 같은 지위나 연령에 있는 사람에게) 자신의아내를 지칭할  때나 또는 아내를 '여보! 마누라' 하고 부를 때나, 다른 사람의 아내를 낮추어 지칭할 때(예를 들면 '주인 마누라' 등) 쓰이고 있습니다.  원래 '마누라'는 '마노라'로 쓰이었는데, '노비가 상전을 부르는 칭호'로, 또는 '임금이나  왕후에게 대한 가장 높이는 칭호'로 사용되었던 것입니다. 그러니까 극존칭으로서, 높일 사람이 남자든 여자든 상관 없이, 그리고 부르는 사람이  남자든 여자든 상관 없이 부르던 것이었습니다.  오늘날 지위가 낮은 사람이 그 웃사람을 '마누라'라고 부르거나 대통령이나 그 부인을 '마누라'라고 부르면 어떻게 될까요?  큰 싸움이 나거나 국가원수 모독죄로 붙잡혀 갈 일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왜 이것이  아내의 호칭으로 변화하였는지는 아직 명확히 알 수 없습니다만, 남편을 '영감'이라고 한 것을 생각하면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원래 '영감'은 '정삼품 이상 종이품 이하의 관원'을 말하는 것이었습니다. 오늘날 판사나 검사를  특히 '영감님'으로 부른다고 하는데, 이것은  옛날 그 관원의 등급과 유사하여서 부르는 것입니다.  옛날에도 남편보다도 아내를 더 높여서 불렀던 모양이지요? 남자는 기껏해야  '정삼품'으로 생각했는데,  아내는 '왕이나 왕비'로  생각했으니까요. 이렇게 해서 '마누라'와 '영감'은 대립어가 된  것입니다.

  왜 늙지도  않은  남편을 '영감'이라고 불렀을까를 의심하셨던 분은 이제 그 의문이 풀리셨 을 것입니다. 지난 날의 유행가 중에  '여보! 마누라, 왜 불러?' '영감, 왜 불러?' 하는 가사가 기억이 납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 우리말의 상상력- 3. 옷이 날개인가 / 겨레와 한 몸 되기 바람의종 2010.02.15 3367
45 우리말의 상상력- 3. 울 안의 복숭아나무, 기다림의 미학(美學) 바람의종 2010.02.23 4431
44 우리말의 상상력- 3. 집과 수풀 바람의종 2010.02.21 5084
43 우리말의 상상력- 4. 금란굴과 지모신(地母神) 바람의종 2010.02.28 10201
42 우리말의 상상력- 4. 원망(怨望)의 노래와 잣나무 바람의종 2010.03.08 9753
41 우리말의 상상력- 4. 원왕생(願往生)의 그리움 바람의종 2010.03.03 10350
40 우리말의 상상력2 - 4. 경덕왕과 찬기파랑가 바람의종 2010.03.06 9297
39 우리말의 상상력2 - 4. 고리모양의 어우름, 한라산 바람의종 2010.03.10 9842
38 우리말의 상상력2 - 4. 길 쓸 별의 노래 바람의종 2010.03.04 8537
37 우리말의 상상력2 - 4. 도솔가의 뒤안 바람의종 2010.03.05 9015
36 우리말의 상상력2 - 4. 돌아 간 누이를 위한 노래, 제망매가 바람의종 2010.03.07 8952
35 우리말의 상상력2 - 4. 마음의 귀, 처용의 노래 바람의종 2010.03.02 9650
34 우리말의 상상력2 - 4. 먼 눈 뜨기와 천수관음(千手觀音) 바람의종 2010.03.09 8953
33 우리말의 속살 - 요람기의 용어 어화둥둥 금자둥아, 얼싸둥둥 은자둥아 바람의종 2008.03.16 4924
32 우리말의 속살 - 유아의 언어 습득 말문은 저절로 트인다 바람의종 2008.03.18 3906
31 우리말의 속살 - 임신, 출산 용어 삼신 할머니는 노여움을 푸소서 바람의종 2008.03.16 4588
30 우리말의 애매성 - 너무나 인간적인 언어 바람의종 2008.04.30 3170
29 우리의 미의식 1 - 작은 것, 아름다운 것 바람의종 2008.04.17 3320
28 우리의 미의식 2 - "안 미인"과 "못 미인" 바람의종 2008.04.19 3510
27 음료수 용어 1 - 꽃 꺽어 산 놓으며 드사이다. 바람의종 2008.03.30 3088
26 음료수 용어 2 - 차 한잔의 여유와 향기 바람의종 2008.03.31 3125
25 음식 이름 - 족발, 주물럭,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05.06 3322
24 인명의 작명 - 이름을 불러 주는 의미 바람의종 2008.07.18 2866
23 잃어버린 지명 - 아름다운 이름, 보은단, 고운담 바람의종 2008.06.03 3153
22 전북 지방에서는 씀바귀를 '씸바구, 씸바구리'라고도 합니다. 風磬 2006.09.07 51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