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610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꿩 먹고 알 먹고'가 '일석이조'란 의미로 쓰이는 까닭은?

  꿩 먹고  알 먹고'란 말은 '일석이조'란  의미로 자주 쓰이는 말이지요. 왜 그러한 말이 나왔을까요?  꿩처럼 주위의 소리에 민감한 동물도 드물 것입니다. 사람이 가까이 가는 소리만 들으면 금방 튀어 날라가 버리지요. 그런데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습니다. 그것은 알을 품고 있을 경우입니다. 알에 대한 모성애가 강합니다. 꿩을 기르고 있는 곳이 있으면 한 번쯤 시험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래서 알을 품고 있는 꿩을 발견하면, 꿩도 잡고 알도 구할 수 있습니다.  이래서 '꿩 먹고 알 먹고'란 말이 나온 것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1 '시냇물'은 '실'+'내'+'물'이 합쳐서 생긴 말 風磬 2007.01.02 3468
220 '씨름'은 옛말 '힐후다'에서 나온 말 風磬 2006.09.07 4833
219 '아깝다'와 '아끼다'는 연관된 단어 風磬 2006.10.26 4513
218 '알타리무'의 표준어는 '총각무' 風磬 2006.11.09 4016
217 '양말'의 ‘말’은 한자의 '버선 말'자...여기에 '서양 양'이 붙은 것입니다. 風磬 2006.12.11 4322
216 '양치질'은 양지(버드나무 가지)에 접미사 '질'이 붙은 것 風磬 2006.12.10 4901
215 '얼우-'+'는'(성교하다) --> '얼운'...'어른'은 혼인한 사람 風磬 2007.01.21 6569
214 '여자무당' -> '임금의 선생님' -> '스승'으로 의미 변화 風磬 2007.01.03 3833
213 '옛날 옛적 고리짝에'는 '옛날 옛적 고려 적에'의 뜻 風磬 2006.12.13 4682
212 '우두머리'는 옛날에는 비칭이 아니라 평칭이었습니다. 風磬 2006.12.05 4313
211 '우물'은 '움물'에서 나온 말. 곧 '움'에서 나오는 '물' 風磬 2006.12.19 3691
210 '원숭이'를 '잔나비'라고 하는 까닭을 아셔요? 風磬 2006.12.20 3648
209 '자유'는 일본어에서 온 말이 아니라 중국의 '백화문'에서 온 말 風磬 2006.09.07 4887
208 '장아찌'의 어원이 무엇인지 아십니까? 風磬 2006.10.31 4885
207 '지렁이'란 단어를 분석하면... 風磬 2006.11.13 3830
206 '지붕'은 '집'의 '위'란 뜻 風磬 2006.10.28 4673
205 '지아비' '지어미'의 '지'는 '집'...곧 '집아비, 집어미'의 뜻 風磬 2007.01.20 4785
204 '지치다'는 원래 '설사하다'라는 의미 바람의종 2007.01.23 4460
203 '집사람'은 본래 '가족'이란 뜻 風磬 2006.11.19 4715
202 '찌개'는 '디히개 > 디이개> 지이개 > 지개 > 찌개'로 변화한 말 風磬 2006.11.01 3983
201 '참꽃'은 사람이 먹을 수 있는 진달래꽃 風磬 2006.11.21 4511
200 '클랙션'(경적)도 상표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風磬 2006.12.26 3560
199 '학독'은 원래 '확독' 風磬 2006.11.26 7741
198 '학독'이란 단어의 뜻을 아십니까? 風磬 2006.11.10 4650
197 '한 살'의 '살'과 '설날'의 '설'은 어떤 관계일까요? 風磬 2006.12.04 37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