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5133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고주망태'의 '고주'는 원래 토박이말...그 뜻은?

  사람이 술을 많이 마셔서 정신을 차릴 수 없는 상태가 되었을 때 '고주망태'라는 말을 흔히 씁니다.  '고주망태가 되도록 퍼마셨다'고 말하지요.   고주망태는 어디에서 온 말일까요? '고주'를 '고주'(쓸고, 술 주)라고 해석하는 분도 있지요. 그러나 '고주'는 '쓴 술, 또는 독한 술'이란 뜻을 가진 한자어가 아닙니다.  '고주'는 고유어 입니다.  원래는 '고자(아래 아)'이지요.  '고자(아래 아)'란 '고조'라고도 썼는데, 그 뜻은 누룩이 섞인 술을 뜨는 그릇을 말합니다. '망태'는 '망태기'와 같은 것으로, 무엇을 담는 그릇을 말하기도 하고, 전혀 쓸모없이 되어버린  상태를 말하기도합니다.  그래서 '고주망태'란  술통을 통째로 마신 것처럼 술에 곤드레만드레 취하여 정신을 못차리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 되었습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6 '곰'과 '팡이'의 어원을 아셔요? 風磬 2006.10.21 4072
245 '곧다'와 '굳다'에서 나온 '꼿꼿하다'와 '꿋꿋하다' 風磬 2006.10.22 4780
244 동사는 사라지고 명사만 남은 '기침'의 어원 風磬 2006.10.23 4639
243 '값이 싸다'는 원래 '값이 적당하다'는 뜻 風磬 2006.10.24 3884
242 "구실을 삼다"와 "사람 구실을 못한다"에서 風磬 2006.10.25 4556
241 '아깝다'와 '아끼다'는 연관된 단어 風磬 2006.10.26 4374
240 생식기 근처에 난 털을 뭐라고 하는지 아셔요? 風磬 2006.10.27 4316
239 '지붕'은 '집'의 '위'란 뜻 風磬 2006.10.28 4471
238 '낮다'의 어간 '낮'에 '-브다'가 붙어 생긴말 --> 나쁘다 風磬 2006.10.30 3670
237 '장아찌'의 어원이 무엇인지 아십니까? 風磬 2006.10.31 4755
236 '찌개'는 '디히개 > 디이개> 지이개 > 지개 > 찌개'로 변화한 말 風磬 2006.11.01 3912
235 '사냥'의 어원에 대한 부연설명 風磬 2006.11.02 3959
234 "영낙없이 지 애비 탁했네" -> "영낙없이 지 애비 닮았네" 風磬 2006.11.03 4477
233 라면은 살짝 끓여서 물을 버리고 다시 삶아 먹는 것이 좋다는군요. 風磬 2006.11.04 3821
232 '베개'를 전북지방에서는 '비개' '벼개'라고도 합니다. 風磬 2006.11.05 4231
231 '멀국/말국'은 전라도 방언...'국물'이 표준어 風磬 2006.11.06 4172
230 '대리다' '대리미'는 전북 지방의 방언입니다. 風磬 2006.11.07 4659
229 전북에서는 '생강'을 '시앙/새앙'이라고 말합니다. 風磬 2006.11.08 3901
228 '알타리무'의 표준어는 '총각무' 風磬 2006.11.09 3927
227 '학독'이란 단어의 뜻을 아십니까? 風磬 2006.11.10 4518
226 '새'는 '동쪽'의 의미...'샛별'은 동쪽에 제일 먼저 뜨는 별 風磬 2006.11.11 4510
225 '지렁이'란 단어를 분석하면... 風磬 2006.11.13 3717
224 '사냥'은 원래 한자어 風磬 2006.11.14 3290
223 아기들이 차는 '기저귀'의 어원은 무엇일까요? 風磬 2006.11.15 4482
222 '다니다'는 원래 '달려 간다'는 뜻 風磬 2006.11.16 402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