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469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참꽃'은 사람이 먹을 수 있는 진달래꽃

  '참꽃'은 사람이 먹을 수 있는 진달래꽃을 말하고, '개꽃'은 사람이 먹을 수 없는 '철쭉꽃'을 말합니다. 앞에서 말한 '먹을 수 있는  꽃'과 '먹을 수 없는 꽃'은 진달래를 말씀드리면서 드린 말씀입니다. 오해  없으시기 바랍니다.


  '개나리'와 '진달래'의 '개-'와  '진-'이 접두사임을 아시는 분은  그리 많지 않으실 것입니다. '개나리'는 '나리'에 접두사 '개-'가  붙은 것이고 '진달래'는 '달래'에 접두사 '진-'이  붙은 것입니다.   나리꽃은 나리꽃인데, 그보다도 작고  좋지 않은 꽃이라고 해서 '나리'에 '개-'를 붙인 것이고, 달래꽃은  달래꽃인데 그보다는 더 좋은 꽃이라고  해서 '진-'을 붙인 것입니다. 원래 '나리'꽃은 '백합'꽃을  일컫던 단어였습니다. '백합'꽃과 '개나리'꽃을 비교해 보세요. '나리'꽃과  '달래'꽃을 아시는 분은 아마도 고개를 끄덕이실 것입니다.

  이처럼 좋은 것에는 접두사 '진-'을, 좋지 않은 것에는 접두사 '개-'를  붙인 단어가 우리 국어에는 무척 많지요. 이러한 것의 전형적인 것을 들어 보일까요? '개꽃'과  '참꽃'을 아시는 분이 계신가요? 그렇다면, 그분은 아마도 대전과 군산을 잇는 경계선 아래에 고향을 두신 분입니다. 즉  이 단어는 영남과  호남의 일부지방에서만 사용되는 방언입니다. 그 북쪽이 고향이신 분은 전혀 이해하지  못하실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먹을 수 있는 꽃은 '참꽃'이고 먹을 수 없는 꽃은 '개꽃'이지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1 우리말의 상상력 1 - 3. 풀과 목숨 (2/2) 바람의종 2009.05.15 3792
70 우리말의 상상력 1 - 4. 돌과 원운동 (1/2) 바람의종 2009.05.17 3520
69 우리말의 상상력 1 - 4. 돌과 원운동 (2/2) 바람의종 2009.05.20 3555
68 우리말의 상상력 1 - 5. 물의 순환 (1/2) 바람의종 2009.05.25 3826
67 우리말의 상상력 1 - 5. 물의 순환 (2/2) 바람의종 2009.05.26 3641
66 우리말의 상상력 1 - 6. 가루와 분절 바람의종 2009.05.28 3331
65 우리말의 상상력 1 - 7. 아이와 알 바람의종 2009.05.30 3579
64 우리말의 상상력 1 - 8. 힘과 해 (1/2) 바람의종 2009.05.31 3612
63 우리말의 상상력 1 - 8. 힘과 해 (2/2) 바람의종 2009.06.12 3445
62 우리말의 상상력 1 - 9. 겨레와 분화 (1/2) 바람의종 2009.06.15 3401
61 우리말의 상상력 1 - 9. 겨레와 분화 (2/2) 바람의종 2009.06.16 3493
60 우리말의 상상력 1 - 10. 막다른 골목 (1/2) 바람의종 2009.06.17 3399
59 우리말의 상상력 1 - 10. 막다른 골목 (2/2) 바람의종 2009.06.29 4179
58 우리말의 상상력 1 - 11. 고움과 원형(圓形) 바람의종 2009.06.30 4647
57 우리말의 상상력 1 - 12. 울림과 진실 (1/3) 바람의종 2009.07.06 3690
56 우리말의 상상력 1 - 12. 울림과 진실 (2/3) 바람의종 2009.07.07 4103
55 우리말의 상상력 1 - 12. 울림과 진실 (3/3) 바람의종 2009.07.08 3881
54 우리말의 상상력 2 - 1. 금강(錦江), 그 영원한 어머니 바람의종 2009.07.10 3628
53 우리말의 상상력 2 - 1. 압록강과 오리 바람의종 2009.07.12 4000
52 우리말의 상상력 2 - 1. 낙동강과 가야 바람의종 2009.07.13 3681
51 우리말의 상상력 2 - 1. 가장 크고 좋은 강, 한강(韓江) 바람의종 2009.07.14 3762
50 우리말의 상상력 2 - 1. 한강의 뿌리, 우통수(于筒水) 바람의종 2009.07.15 4200
49 우리말의 상상력 2 - 1. 두만강과 조선왕조, 대동강과 한겨레 바람의종 2009.07.16 3457
48 서울의 어원 바람의종 2009.08.01 3971
47 우리말의 상상력 2 - 1. 영산강과 용, 섬진강과 두꺼비 바람의종 2009.09.01 355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