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529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참꽃'은 사람이 먹을 수 있는 진달래꽃

  '참꽃'은 사람이 먹을 수 있는 진달래꽃을 말하고, '개꽃'은 사람이 먹을 수 없는 '철쭉꽃'을 말합니다. 앞에서 말한 '먹을 수 있는  꽃'과 '먹을 수 없는 꽃'은 진달래를 말씀드리면서 드린 말씀입니다. 오해  없으시기 바랍니다.


  '개나리'와 '진달래'의 '개-'와  '진-'이 접두사임을 아시는 분은  그리 많지 않으실 것입니다. '개나리'는 '나리'에 접두사 '개-'가  붙은 것이고 '진달래'는 '달래'에 접두사 '진-'이  붙은 것입니다.   나리꽃은 나리꽃인데, 그보다도 작고  좋지 않은 꽃이라고 해서 '나리'에 '개-'를 붙인 것이고, 달래꽃은  달래꽃인데 그보다는 더 좋은 꽃이라고  해서 '진-'을 붙인 것입니다. 원래 '나리'꽃은 '백합'꽃을  일컫던 단어였습니다. '백합'꽃과 '개나리'꽃을 비교해 보세요. '나리'꽃과  '달래'꽃을 아시는 분은 아마도 고개를 끄덕이실 것입니다.

  이처럼 좋은 것에는 접두사 '진-'을, 좋지 않은 것에는 접두사 '개-'를  붙인 단어가 우리 국어에는 무척 많지요. 이러한 것의 전형적인 것을 들어 보일까요? '개꽃'과  '참꽃'을 아시는 분이 계신가요? 그렇다면, 그분은 아마도 대전과 군산을 잇는 경계선 아래에 고향을 두신 분입니다. 즉  이 단어는 영남과  호남의 일부지방에서만 사용되는 방언입니다. 그 북쪽이 고향이신 분은 전혀 이해하지  못하실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먹을 수 있는 꽃은 '참꽃'이고 먹을 수 없는 꽃은 '개꽃'이지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1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지리산과 파랑새 꿈 바람의종 2010.01.20 3519
220 우리말의 상상력 2 - 2. '해'의 소리 상징, 말하는 남생이 바람의종 2010.01.23 3519
219 우리의 미의식 1 - 작은 것, 아름다운 것 바람의종 2008.04.17 3545
218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4/4) 바람의종 2009.05.09 3546
217 우리말의 상상력 1 - 9. 겨레와 분화 (2/2) 바람의종 2009.06.16 3553
216 우리말의 상상력 1 - 3. 3-1. 싹과 사이 (1/2) 바람의종 2009.05.12 3557
215 우리말의 상상력 1 - 4. 돌과 원운동 (1/2) 바람의종 2009.05.17 3560
214 '바바리 코트'는 상표에서 나온 말 風磬 2006.12.22 3562
213 김포와 휴전선 - 애기봉에 울려퍼지는 어울림의 합창 바람의종 2008.07.29 3570
212 공주와 금강 - 곰나루와 백마강 전설 바람의종 2008.08.28 3573
211 '클랙션'(경적)도 상표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風磬 2006.12.26 3574
210 언어코드로 보는 '돼지'의 다양한 의미 風磬 2007.01.03 3576
209 영일과 호미동 - 호랑이꼬리에서의 해맞이 바람의종 2008.09.07 3585
208 된소리 현상 - 꿍따리 싸바라 빠빠빠 바람의종 2008.05.10 3586
207 우리말의 상상력 2 - 2. 팔공산은 믿음의 터 바람의종 2009.10.07 3602
206 우리말의 상상력 1 - 4. 돌과 원운동 (2/2) 바람의종 2009.05.20 3603
205 명절, 절후 용어 2 - 한가위, 수릿날 아으 동동다리 바람의종 2008.04.04 3615
204 우리말의 상상력 1 - 1. 언어적 상상력의 바탕 (2/2) 바람의종 2009.05.01 3622
203 선산과 금오산 - 복사골에서 솟는 불도의 샘 바람의종 2008.09.06 3628
202 우리말의 상상력 2 - 1. 영산강과 용, 섬진강과 두꺼비 바람의종 2009.09.01 3630
201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치악의 말미암음 바람의종 2009.12.14 3630
200 바느질 용어 - 깁고, 박고, 호고, 공그르고 바람의종 2008.03.25 3634
199 우리말의 상상력 1 - 7. 아이와 알 바람의종 2009.05.30 3634
198 수원고 화산 - 아버지를 그리는 효심의 물골 바람의종 2008.08.08 3637
197 음식 이름 - 족발, 주물럭,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05.06 36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