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396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눈 위에서 달리는 말'이 '썰매'의 어원

  겨울이 되면 썰매를 타고 놀곤 하던 생각이 나는 분이 계실 것입니다. 지금은 시골의  깊은 산 촌에나 가야 어쩌다 발견하는 것이어서 젊은 사람들 중에는 이 '썰매'를 구경도 못한 사람이 꽤나 있을 것입니다.  최근에 어느 텔레비젼에서 초등학교 학생에게 '인두'를 보이며 이것이 무엇에 썼던 것인 것 같으냐고 물으니까, 한참 들여다 보다가 '화살촉'이 아니냐고 되묻는 광경을 본 적이 있습니다.  그 어린이들에게 '썰매'를 보이면, '나무깔판'이 아니냐고 되물을 것 같습니다.

  '썰매'는 엉뚱하게도 한자어입니다.  즉 '설마'(눈 설, 말 마)의 음이 변화한 것입니다. 그러니까 '눈위에서 달리는 말'이란  뜻이지요. 어떻습니까? 그럴 듯하게 이름을 붙였지요? 이렇게 우리 선조들은 슬기롭게 이름을 붙였었습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1 황지와 태백산 - 밝은 뫼에서 솟는 시원의 샘 바람의종 2008.08.19 4038
270 혼사용어 - 풀보기, 자리보기, 댕기풀이 바람의종 2008.03.20 4242
269 형벌 관련 욕설 - 오라질 년과 경칠 놈 바람의종 2008.05.11 4273
268 허망한 언사들 2 - 구호가 없는 사회 바람의종 2008.05.03 4173
267 허망한 언사들 1 - 별 볼일 있는 말 바람의종 2008.05.01 4286
266 해남과 두륜산 - 종착지가 아닌 시발지 바람의종 2008.09.25 3923
265 탄천과 동방삭 - 수청과 탄천 바람의종 2008.08.04 3904
264 춘천과 의암 - 맥국의 맥이 흐르는 쇠머리골 바람의종 2008.08.03 4942
263 철원과 한탄강 - 큰 여울 줄기 따라 한탄의 전설이 바람의종 2008.07.31 4782
262 처녀들께서는 부끄럼 타지 말고 '총각김치'를 드셔요 風磬 2006.12.08 4937
261 질병용어 - 든 병, 난 병, 걸린 병 바람의종 2008.03.22 4253
260 진안과 마이산 - 난달래골에 내려온 신선 부부 바람의종 2008.09.03 4380
259 지명어의 작명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바람의종 2008.06.02 3687
258 지명 속담 - 보은 아가씨 추석비에 운다 바람의종 2008.05.29 3821
257 지리산과 섬진강 - 노고단 밑으로 달래강이 흐르고 바람의종 2008.09.20 3833
256 주술적 용어 3 - "고시"는 가까이, 잡귀는 물러가라 바람의종 2008.04.13 4327
255 주술적 용어 2 - 고마워하고 비는 기원의 말 바람의종 2008.04.10 4253
254 주술적 용어 1 - 끼, 그 가능성의 유전자 바람의종 2008.04.09 4111
253 제주와 한라산 - 한라산 철쭉은 왜 붉은가 바람의종 2008.09.26 4039
252 전철역의 이름 - 향토색 짙은 서울 역명 바람의종 2008.06.24 4045
251 전북에서는 '생강'을 '시앙/새앙'이라고 말합니다. 風磬 2006.11.08 3925
250 전북 지방에서는 씀바귀를 '씸바구, 씸바구리'라고도 합니다. 風磬 2006.09.07 5431
249 잃어버린 지명 - 아름다운 이름, 보은단, 고운담 바람의종 2008.06.03 3362
248 인명의 작명 - 이름을 불러 주는 의미 바람의종 2008.07.18 3111
247 음식 이름 - 족발, 주물럭,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05.06 35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