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538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눈 위에서 달리는 말'이 '썰매'의 어원

  겨울이 되면 썰매를 타고 놀곤 하던 생각이 나는 분이 계실 것입니다. 지금은 시골의  깊은 산 촌에나 가야 어쩌다 발견하는 것이어서 젊은 사람들 중에는 이 '썰매'를 구경도 못한 사람이 꽤나 있을 것입니다.  최근에 어느 텔레비젼에서 초등학교 학생에게 '인두'를 보이며 이것이 무엇에 썼던 것인 것 같으냐고 물으니까, 한참 들여다 보다가 '화살촉'이 아니냐고 되묻는 광경을 본 적이 있습니다.  그 어린이들에게 '썰매'를 보이면, '나무깔판'이 아니냐고 되물을 것 같습니다.

  '썰매'는 엉뚱하게도 한자어입니다.  즉 '설마'(눈 설, 말 마)의 음이 변화한 것입니다. 그러니까 '눈위에서 달리는 말'이란  뜻이지요. 어떻습니까? 그럴 듯하게 이름을 붙였지요? 이렇게 우리 선조들은 슬기롭게 이름을 붙였었습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1 '장아찌'의 어원이 무엇인지 아십니까? 風磬 2006.10.31 4900
220 '자유'는 일본어에서 온 말이 아니라 중국의 '백화문'에서 온 말 風磬 2006.09.07 4888
219 몸짓 언어 3 - 입으로 하는 또다른 말 바람의종 2008.04.16 4885
218 16. '무지개'는 '물'로 된 '문'이라는 뜻 風磬 2006.10.05 4857
217 우리말의 속살 - 임신, 출산 용어 삼신 할머니는 노여움을 푸소서 바람의종 2008.03.16 4855
216 '씨름'은 옛말 '힐후다'에서 나온 말 風磬 2006.09.07 4854
215 낭떠러지, 벼랑 & 칭송, 칭찬 風磬 2006.09.14 4835
214 '대리다' '대리미'는 전북 지방의 방언입니다. 風磬 2006.11.07 4819
213 '가물치'는 '검은 고기'라는 뜻 風磬 2007.01.11 4800
212 동사는 사라지고 명사만 남은 '기침'의 어원 風磬 2006.10.23 4799
211 우리말의 상상력- 3. 울 안의 복숭아나무, 기다림의 미학(美學) 바람의종 2010.02.23 4797
210 17. '닭의알'-->'닭이알'-->'달걀'......'달걀'은 토박이말 風磬 2006.10.06 4793
209 "구실을 삼다"와 "사람 구실을 못한다"에서 風磬 2006.10.25 4792
208 '지아비' '지어미'의 '지'는 '집'...곧 '집아비, 집어미'의 뜻 風磬 2007.01.20 4790
207 '수저'는 '숫가락'과 '젓가락'이 쳐진 말 風磬 2006.09.07 4771
206 엄마, 아빠에서 "어이 어이"까지 바람의종 2008.03.19 4738
205 '노들강변'은 '노량진 나루터'를 말하는 고유명사 ...버드나무와 상관없어 風磬 2007.01.18 4734
204 '집사람'은 본래 '가족'이란 뜻 風磬 2006.11.19 4730
203 '옛날 옛적 고리짝에'는 '옛날 옛적 고려 적에'의 뜻 風磬 2006.12.13 4706
202 우리말의 상상력 1 - 11. 고움과 원형(圓形) 바람의종 2009.06.30 4706
201 '지붕'은 '집'의 '위'란 뜻 風磬 2006.10.28 4676
200 "영낙없이 지 애비 탁했네" -> "영낙없이 지 애비 닮았네" 風磬 2006.11.03 4667
199 '새'는 '동쪽'의 의미...'샛별'은 동쪽에 제일 먼저 뜨는 별 風磬 2006.11.11 4663
198 '학독'이란 단어의 뜻을 아십니까? 風磬 2006.11.10 4656
197 아기들이 차는 '기저귀'의 어원은 무엇일까요? 風磬 2006.11.15 464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