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527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눈 위에서 달리는 말'이 '썰매'의 어원

  겨울이 되면 썰매를 타고 놀곤 하던 생각이 나는 분이 계실 것입니다. 지금은 시골의  깊은 산 촌에나 가야 어쩌다 발견하는 것이어서 젊은 사람들 중에는 이 '썰매'를 구경도 못한 사람이 꽤나 있을 것입니다.  최근에 어느 텔레비젼에서 초등학교 학생에게 '인두'를 보이며 이것이 무엇에 썼던 것인 것 같으냐고 물으니까, 한참 들여다 보다가 '화살촉'이 아니냐고 되묻는 광경을 본 적이 있습니다.  그 어린이들에게 '썰매'를 보이면, '나무깔판'이 아니냐고 되물을 것 같습니다.

  '썰매'는 엉뚱하게도 한자어입니다.  즉 '설마'(눈 설, 말 마)의 음이 변화한 것입니다. 그러니까 '눈위에서 달리는 말'이란  뜻이지요. 어떻습니까? 그럴 듯하게 이름을 붙였지요? 이렇게 우리 선조들은 슬기롭게 이름을 붙였었습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1 '시냇물'은 '실'+'내'+'물'이 합쳐서 생긴 말 風磬 2007.01.02 3470
220 '씨름'은 옛말 '힐후다'에서 나온 말 風磬 2006.09.07 4845
219 '아깝다'와 '아끼다'는 연관된 단어 風磬 2006.10.26 4514
218 '알타리무'의 표준어는 '총각무' 風磬 2006.11.09 4028
217 '양말'의 ‘말’은 한자의 '버선 말'자...여기에 '서양 양'이 붙은 것입니다. 風磬 2006.12.11 4334
216 '양치질'은 양지(버드나무 가지)에 접미사 '질'이 붙은 것 風磬 2006.12.10 4901
215 '얼우-'+'는'(성교하다) --> '얼운'...'어른'은 혼인한 사람 風磬 2007.01.21 6569
214 '여자무당' -> '임금의 선생님' -> '스승'으로 의미 변화 風磬 2007.01.03 3833
213 '옛날 옛적 고리짝에'는 '옛날 옛적 고려 적에'의 뜻 風磬 2006.12.13 4687
212 '우두머리'는 옛날에는 비칭이 아니라 평칭이었습니다. 風磬 2006.12.05 4313
211 '우물'은 '움물'에서 나온 말. 곧 '움'에서 나오는 '물' 風磬 2006.12.19 3696
210 '원숭이'를 '잔나비'라고 하는 까닭을 아셔요? 風磬 2006.12.20 3648
209 '자유'는 일본어에서 온 말이 아니라 중국의 '백화문'에서 온 말 風磬 2006.09.07 4887
208 '장아찌'의 어원이 무엇인지 아십니까? 風磬 2006.10.31 4885
207 '지렁이'란 단어를 분석하면... 風磬 2006.11.13 3830
206 '지붕'은 '집'의 '위'란 뜻 風磬 2006.10.28 4673
205 '지아비' '지어미'의 '지'는 '집'...곧 '집아비, 집어미'의 뜻 風磬 2007.01.20 4785
204 '지치다'는 원래 '설사하다'라는 의미 바람의종 2007.01.23 4464
203 '집사람'은 본래 '가족'이란 뜻 風磬 2006.11.19 4715
202 '찌개'는 '디히개 > 디이개> 지이개 > 지개 > 찌개'로 변화한 말 風磬 2006.11.01 3983
201 '참꽃'은 사람이 먹을 수 있는 진달래꽃 風磬 2006.11.21 4511
200 '클랙션'(경적)도 상표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風磬 2006.12.26 3560
199 '학독'은 원래 '확독' 風磬 2006.11.26 7742
198 '학독'이란 단어의 뜻을 아십니까? 風磬 2006.11.10 4650
197 '한 살'의 '살'과 '설날'의 '설'은 어떤 관계일까요? 風磬 2006.12.04 37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