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307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똥뀐 녀석이 성낸다"는 말에 얽힌 재미있는 이야기

  어느 분이 방귀를 '꾸는' 것이 아니고 '뀌는' 것이 아니냐고 물으셨는데, 맞는 말입니다. 그런데, 이 '방귀'와 연관되어 생각나는 것이 있어서 몇자 적습니다.

  충북 영동군 황간면 용암리 마을에 방언조사를 갔을 때의 일입니다. 이 용암리는 자연부락의 이름이 '누룩방구'였습니다. 마치 누룩처럼 생긴 바위가 동네의 끝에 있어서 생긴 이름이었습니다. 그런데 이 지방에서는 '바위'를 '방구'라고 합니다. 그래서 사람이 뀌는 '방구'(방귀지만 실제 발음은 '방구')와 어떻게 구별하는지가 궁금해서 사람이 보리밥을 먹으면 뀌는 것이 무엇이냐고 물었습니다.  그랬더니 글쎄 '똥뀐다'고 하는 것이었습니다. 같이 조사를 하던 학생들이 한참 웃었지만,  저는 웃음이 나오지 않고, 오히려 그 말이 오래 전부터 쓰이었던 말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똥뀐 녀석이 성낸다"는 말의 뜻을 알게 되었습니다. 방귀를 뀌고서도 다른 사람이 방귀를 뀐 것인 양 남에게 돌려댄다는 뜻이겠지요.

  '바위'가 '방구'가  되는 것은 쉽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바위'는 고어로서는 '바회'였습니다. 소위  '히읗'이있지요. 이 '히읗'은 곧잘 '이응'으로도 변화를 겪었습니다. 예컨대 '죠희'가 '종이'가 되었던가 하는 것들이지요. 그리고 '히읗'이 '기역'으로도 변화를 겪습니다. 그래서'바위'와 '방귀'가 같은 음으로 발음되니까, 이것을 피하기 위하여 한 낱말을 다른 낱말로 바꾸어 버립니다.  이것을 우리는 '동음충돌 회피현상'이라고 합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1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지리산과 파랑새 꿈 바람의종 2010.01.20 3513
220 우리말의 상상력 2 - 2. '해'의 소리 상징, 말하는 남생이 바람의종 2010.01.23 3513
219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4/4) 바람의종 2009.05.09 3527
218 우리의 미의식 1 - 작은 것, 아름다운 것 바람의종 2008.04.17 3529
217 '바바리 코트'는 상표에서 나온 말 風磬 2006.12.22 3534
216 우리말의 상상력 1 - 3. 3-1. 싹과 사이 (1/2) 바람의종 2009.05.12 3541
215 우리말의 상상력 1 - 4. 돌과 원운동 (1/2) 바람의종 2009.05.17 3544
214 우리말의 상상력 1 - 9. 겨레와 분화 (2/2) 바람의종 2009.06.16 3544
213 공주와 금강 - 곰나루와 백마강 전설 바람의종 2008.08.28 3554
212 '클랙션'(경적)도 상표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風磬 2006.12.26 3560
211 김포와 휴전선 - 애기봉에 울려퍼지는 어울림의 합창 바람의종 2008.07.29 3563
210 언어코드로 보는 '돼지'의 다양한 의미 風磬 2007.01.03 3566
209 된소리 현상 - 꿍따리 싸바라 빠빠빠 바람의종 2008.05.10 3573
208 영일과 호미동 - 호랑이꼬리에서의 해맞이 바람의종 2008.09.07 3582
207 명절, 절후 용어 2 - 한가위, 수릿날 아으 동동다리 바람의종 2008.04.04 3592
206 우리말의 상상력 1 - 4. 돌과 원운동 (2/2) 바람의종 2009.05.20 3598
205 우리말의 상상력 2 - 2. 팔공산은 믿음의 터 바람의종 2009.10.07 3598
204 우리말의 상상력 2 - 1. 영산강과 용, 섬진강과 두꺼비 바람의종 2009.09.01 3605
203 우리말의 상상력 1 - 1. 언어적 상상력의 바탕 (2/2) 바람의종 2009.05.01 3608
202 선산과 금오산 - 복사골에서 솟는 불도의 샘 바람의종 2008.09.06 3615
201 바느질 용어 - 깁고, 박고, 호고, 공그르고 바람의종 2008.03.25 3622
200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치악의 말미암음 바람의종 2009.12.14 3625
199 음식 이름 - 족발, 주물럭,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05.06 3629
198 우리말의 상상력 1 - 7. 아이와 알 바람의종 2009.05.30 3629
197 수원고 화산 - 아버지를 그리는 효심의 물골 바람의종 2008.08.08 36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