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037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다니다'는 원래 '달려 간다'는 뜻

  어느 곳에 일정한 목적을 가지고 왔다 갔다 하는 것을 다닌다고 하지요. 그런데 이 말은 달려 간다는 뜻이었다가 이러한 뜻으로 변화한 것입니다. 이 말은 '닫다'(달릴 주)와 '니다'(갈 행)의 어간들인 '닫-'과 '니-'가 합쳐진 합성어입니다. 그래서 '닫니다'는 '달려간다'는 뜻이었는데,  이것이 '단니다'로 변하고 다시 '다니다'로 변했습니다. 뜻이 엉뚱하게 변한 것 중의 하나이지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1 '원숭이'를 '잔나비'라고 하는 까닭을 아셔요? 風磬 2006.12.20 3508
70 명절, 절후 용어 2 - 한가위, 수릿날 아으 동동다리 바람의종 2008.04.04 3508
69 된소리 현상 - 꿍따리 싸바라 빠빠빠 바람의종 2008.05.10 3506
68 언어코드로 보는 '돼지'의 다양한 의미 風磬 2007.01.03 3496
67 음식 이름 - 족발, 주물럭,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05.06 3496
66 수원고 화산 - 아버지를 그리는 효심의 물골 바람의종 2008.08.08 3496
65 우리말의 상상력 1 - 1. 언어적 상상력의 바탕 (2/2) 바람의종 2009.05.01 3495
64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치악의 말미암음 바람의종 2009.12.14 3494
63 '클랙션'(경적)도 상표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風磬 2006.12.26 3485
62 우리말의 상상력 2 - 2. 팔공산은 믿음의 터 바람의종 2009.10.07 3479
61 공주와 금강 - 곰나루와 백마강 전설 바람의종 2008.08.28 3468
60 우리말의 상상력 1 - 4. 돌과 원운동 (1/2) 바람의종 2009.05.17 3460
59 우리의 미의식 1 - 작은 것, 아름다운 것 바람의종 2008.04.17 3452
58 영일과 호미동 - 호랑이꼬리에서의 해맞이 바람의종 2008.09.07 3440
57 '바바리 코트'는 상표에서 나온 말 風磬 2006.12.22 3433
56 김포와 휴전선 - 애기봉에 울려퍼지는 어울림의 합창 바람의종 2008.07.29 3428
55 우리말의 상상력 2 - 2. '해'의 소리 상징, 말하는 남생이 바람의종 2010.01.23 3424
54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지리산과 파랑새 꿈 바람의종 2010.01.20 3423
53 우리말의 상상력 2 - 1. 두만강과 조선왕조, 대동강과 한겨레 바람의종 2009.07.16 3417
52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4/4) 바람의종 2009.05.09 3413
51 우리말의 상상력 1 - 3. 3-1. 싹과 사이 (1/2) 바람의종 2009.05.12 3402
50 우리말의 상상력 1 - 9. 겨레와 분화 (2/2) 바람의종 2009.06.16 3401
49 막가파 용어 - 전쟁과 파괴의 시대 바람의종 2008.05.23 3385
48 '메리야스'(내의)는 어디에서 나온 말일까요? 風磬 2006.12.23 3383
47 우리말의 상상력 1 - 8. 힘과 해 (2/2) 바람의종 2009.06.12 33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