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155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다니다'는 원래 '달려 간다'는 뜻

  어느 곳에 일정한 목적을 가지고 왔다 갔다 하는 것을 다닌다고 하지요. 그런데 이 말은 달려 간다는 뜻이었다가 이러한 뜻으로 변화한 것입니다. 이 말은 '닫다'(달릴 주)와 '니다'(갈 행)의 어간들인 '닫-'과 '니-'가 합쳐진 합성어입니다. 그래서 '닫니다'는 '달려간다'는 뜻이었는데,  이것이 '단니다'로 변하고 다시 '다니다'로 변했습니다. 뜻이 엉뚱하게 변한 것 중의 하나이지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다니다'는 원래 '달려 간다'는 뜻 風磬 2006.11.16 4155
120 제주와 한라산 - 한라산 철쭉은 왜 붉은가 바람의종 2008.09.26 4165
119 우리말의 상상력 1 - 12. 울림과 진실 (2/3) 바람의종 2009.07.07 4172
118 주술적 용어 1 - 끼, 그 가능성의 유전자 바람의종 2008.04.09 4206
117 '가게'는 널판지로 만든 시렁에 물건을 진열하여 놓고 파는 곳 風磬 2006.12.18 4213
116 '마요네즈'는 스페인 항구도시 '마욘'의 특산품 風磬 2006.12.25 4223
115 우리말의 상상력 1 - 10. 막다른 골목 (2/2) 바람의종 2009.06.29 4227
114 '딴따라패'는 영어 'tantara'의 음을 빌려 온 것 風磬 2006.12.06 4232
113 '곰'과 '팡이'의 어원을 아셔요? 風磬 2006.10.21 4237
112 '멀국/말국'은 전라도 방언...'국물'이 표준어 風磬 2006.11.06 4258
111 우리말의 상상력 2 - 1. 한강의 뿌리, 우통수(于筒水) 바람의종 2009.07.15 4261
110 허망한 언사들 2 - 구호가 없는 사회 바람의종 2008.05.03 4263
109 고유어 인명 - 돌쇠면 어떻고 개똥이면 어떤가 바람의종 2008.07.19 4263
108 '박쥐'의 '박'은 '눈이 밝다'의 '밝-' 風磬 2006.12.09 4266
107 모주 바람의종 2008.05.03 4267
106 22. '온갖'은 '수적으로 전부의 종류'란 뜻 風磬 2006.10.11 4281
105 '곶감'은 꼬챙이에 꽂아서 말린 감 바람의종 2007.01.25 4282
104 '곰보'는 '곪다'의 '곪-'에 접미사 '-보'가 붙어서 된 말 風磬 2007.01.14 4302
103 '우두머리'는 옛날에는 비칭이 아니라 평칭이었습니다. 風磬 2006.12.05 4313
102 "똥뀐 녀석이 성낸다"는 말에 얽힌 재미있는 이야기 風磬 2006.11.17 4316
101 '양말'의 ‘말’은 한자의 '버선 말'자...여기에 '서양 양'이 붙은 것입니다. 風磬 2006.12.11 4334
100 주술적 용어 2 - 고마워하고 비는 기원의 말 바람의종 2008.04.10 4338
99 질병용어 - 든 병, 난 병, 걸린 병 바람의종 2008.03.22 4344
98 혼사용어 - 풀보기, 자리보기, 댕기풀이 바람의종 2008.03.20 4345
97 '마누라'는 원래 '임금이나 왕후를 일컫는 극존칭' 風磬 2006.11.30 434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