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171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다니다'는 원래 '달려 간다'는 뜻

  어느 곳에 일정한 목적을 가지고 왔다 갔다 하는 것을 다닌다고 하지요. 그런데 이 말은 달려 간다는 뜻이었다가 이러한 뜻으로 변화한 것입니다. 이 말은 '닫다'(달릴 주)와 '니다'(갈 행)의 어간들인 '닫-'과 '니-'가 합쳐진 합성어입니다. 그래서 '닫니다'는 '달려간다'는 뜻이었는데,  이것이 '단니다'로 변하고 다시 '다니다'로 변했습니다. 뜻이 엉뚱하게 변한 것 중의 하나이지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6 19. '물 한 모금 마시고'의 '모금'은 '먹다'와 연관된 단어 風磬 2006.10.08 5701
245 '설겆이'에서 '설겆'은 무엇일까? 風磬 2006.09.07 5655
244 전북 지방에서는 씀바귀를 '씸바구, 씸바구리'라고도 합니다. 風磬 2006.09.07 5574
243 12. '고양이'를 왜 '나비야!'하고 부를까요? 風磬 2006.10.01 5511
242 20. '만나다'는 '맞나다'에서 온말 風磬 2006.10.09 5496
241 우리말의 상상력- 3. 집과 수풀 바람의종 2010.02.21 5470
240 14. '벽'의 사투리인 '베름빡'에 관하여 風磬 2006.10.03 5408
239 11. '노닐다'는 '놀다 + 닐다의 합성어...'닐다'는 '가다'의 뜻 風磬 2006.09.30 5360
238 '고주망태'의 '고주'는 원래 토박이말...그 뜻은? 風磬 2006.11.22 5317
237 다방의 '레지'는 영어의 'register'에서 온 말 風磬 2006.12.01 5310
236 '거지'의 어원은 무엇일까요? 風磬 2006.12.12 5301
235 우리말의 속살 - 요람기의 용어 어화둥둥 금자둥아, 얼싸둥둥 은자둥아 바람의종 2008.03.16 5284
234 15. '방구'(가죽피리)는 고유어가 아니라 한자어 風磬 2006.10.04 5206
233 13. 설화에 의하면 '베짱이'는 베를 짜고 노래를 부르는 곤충. 風磬 2006.10.02 5174
232 10. 가루처럼 내리는 비가 '가랑비'이고 이슬처럼 내리는 비가 '이슬비' 風磬 2006.09.29 5165
231 우리말의 상상력- 3. 금 캐는 마동(薯童) 바람의종 2010.02.22 5155
230 '김치'는 한자어...'짠지'는 토박이말 風磬 2006.11.18 5129
229 '보신탕'은 이승만 정권 시절에 생긴 말...그 이전에는 '개장국' 風磬 2006.09.16 5112
228 춘천과 의암 - 맥국의 맥이 흐르는 쇠머리골 바람의종 2008.08.03 5070
227 처녀들께서는 부끄럼 타지 말고 '총각김치'를 드셔요 風磬 2006.12.08 5055
226 '곧다'와 '굳다'에서 나온 '꼿꼿하다'와 '꿋꿋하다' 風磬 2006.10.22 5035
225 21. '꽁치'의 어원에 관한 유력한 설이 있습니다 風磬 2006.10.10 4993
224 8. '보배'의 '배'는 한자음으로 '패'...즉 '조개 패'를 말합니다 風磬 2006.09.27 4977
223 '양치질'은 양지(버드나무 가지)에 접미사 '질'이 붙은 것 風磬 2006.12.10 4932
222 철원과 한탄강 - 큰 여울 줄기 따라 한탄의 전설이 바람의종 2008.07.31 49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