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176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다니다'는 원래 '달려 간다'는 뜻

  어느 곳에 일정한 목적을 가지고 왔다 갔다 하는 것을 다닌다고 하지요. 그런데 이 말은 달려 간다는 뜻이었다가 이러한 뜻으로 변화한 것입니다. 이 말은 '닫다'(달릴 주)와 '니다'(갈 행)의 어간들인 '닫-'과 '니-'가 합쳐진 합성어입니다. 그래서 '닫니다'는 '달려간다'는 뜻이었는데,  이것이 '단니다'로 변하고 다시 '다니다'로 변했습니다. 뜻이 엉뚱하게 변한 것 중의 하나이지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6 '숨바꼭질'의 '숨'은 '숨 쉬다'의 '숨'...'숨 + 바꿈 + 질' 風磬 2006.12.27 3975
145 미각어의 다양성 - 달짝지근하고 달콤새콤하고 바람의종 2008.04.20 3976
144 23. '낭떠러지'와 '벼랑'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風磬 2006.10.18 3983
143 라면은 살짝 끓여서 물을 버리고 다시 삶아 먹는 것이 좋다는군요. 風磬 2006.11.04 3994
142 지리산과 섬진강 - 노고단 밑으로 달래강이 흐르고 바람의종 2008.09.20 4000
141 '찌개'는 '디히개 > 디이개> 지이개 > 지개 > 찌개'로 변화한 말 風磬 2006.11.01 4004
140 '알타리무'의 표준어는 '총각무' 風磬 2006.11.09 4036
139 '값이 싸다'는 원래 '값이 적당하다'는 뜻 風磬 2006.10.24 4037
138 서울의 어원 바람의종 2009.08.01 4043
137 모어에 대한 인식 3 - 언어와 민족, 그리고 문화 바람의종 2008.04.25 4056
136 탄천과 동방삭 - 수청과 탄천 바람의종 2008.08.04 4071
135 전북에서는 '생강'을 '시앙/새앙'이라고 말합니다. 風磬 2006.11.08 4073
134 우리말의 상상력 2 - 1. 횡성, 금호 바람의종 2009.09.27 4076
133 망나니 호칭 - 지존이 무상하다 바람의종 2008.05.12 4080
132 해남과 두륜산 - 종착지가 아닌 시발지 바람의종 2008.09.25 4080
131 부위별 고기 명칭 - 아롱사태의 그 은밀한 맛 바람의종 2008.03.29 4084
130 우리말의 상상력 2 - 1. 압록강과 오리 바람의종 2009.07.12 4086
129 '사냥'의 어원에 대한 부연설명 風磬 2006.11.02 4095
128 영암과 월출산 - 달래골에서 만나는 두 성인 바람의종 2008.09.19 4103
127 '귀고리'는 귀에 거는 '고리'...'귀거리'는 틀린 말 風磬 2007.01.10 4142
126 황지와 태백산 - 밝은 뫼에서 솟는 시원의 샘 바람의종 2008.08.19 4142
125 '곡식 한 말을 수확할 수 있는 땅' --> '한 마지기' 風磬 2006.10.20 4150
124 우리말 사랑 4 - 신토불이와 토사구팽 바람의종 2008.04.29 4161
123 전철역의 이름 - 향토색 짙은 서울 역명 바람의종 2008.06.24 4168
» '다니다'는 원래 '달려 간다'는 뜻 風磬 2006.11.16 417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