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609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아기들이 차는 '기저귀'의 어원은 무엇일까요?

  어린 아이들이 차는 기저귀를 잘 아실 것입니다. 이 단어는 도통 그 어원을 알기가 어렵다고 생각하시지  않습니까?  어떤 형태소들이 모여서 된 것일까 아무리 생각해도 생각이 잘 나지 않으실 것입니다. 그도 그럴 것이  옛말이 오늘날에는 변화를 겪어서 그것을 알 수가 없게 되었으니까요.

  이 단어는 '깆'이라는 명사에 '-어귀'라고  하는 접미사가 붙어서 된 단어입니다.  '깆'은 오늘날 '깃'으로 변화를  겪었습니다. '깆'이란 '옷깃, 양복 깃'의 '깃'입니다. '저고리나 웃옷의 목에 둘러 대어 앞으로 여미는 부분'이 '깃'이지요. '기저귀'가 그 모양과 같은 형태를 하고 있지 않던가요? 물론 이것은 천으로 되어 있는 것이지요.
  그리고  '-어귀'는 많이  쓰이는 접미사입니다.  음성모음 뒤에는 '-어귀'가, 그리고 양성모음 뒤에서는 '-아귀'가 쓰입니다. 예컨대 '손'에는 '-아귀'가 붙어서 '손아귀'가 되었지요.

  그리고  옛날에는 '기저귀'를  그냥 '깆'이라고도 했습니다. 그런데 오늘날에는 천으로 된 기저귀보다는 종이로 된 기저귀를 쓰니, 세상이 많이 변하기도 했습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1. 황지와 태백산 - 밝은 뫼에서 솟는 시원의 샘

    Date2008.08.19 By바람의종 Views4087
    Read More
  2. 혼사용어 - 풀보기, 자리보기, 댕기풀이

    Date2008.03.20 By바람의종 Views4323
    Read More
  3. 형벌 관련 욕설 - 오라질 년과 경칠 놈

    Date2008.05.11 By바람의종 Views4338
    Read More
  4. 허망한 언사들 2 - 구호가 없는 사회

    Date2008.05.03 By바람의종 Views4226
    Read More
  5. 허망한 언사들 1 - 별 볼일 있는 말

    Date2008.05.01 By바람의종 Views4380
    Read More
  6. 해남과 두륜산 - 종착지가 아닌 시발지

    Date2008.09.25 By바람의종 Views4028
    Read More
  7. 탄천과 동방삭 - 수청과 탄천

    Date2008.08.04 By바람의종 Views4036
    Read More
  8. 춘천과 의암 - 맥국의 맥이 흐르는 쇠머리골

    Date2008.08.03 By바람의종 Views5014
    Read More
  9. 철원과 한탄강 - 큰 여울 줄기 따라 한탄의 전설이

    Date2008.07.31 By바람의종 Views4883
    Read More
  10. 처녀들께서는 부끄럼 타지 말고 '총각김치'를 드셔요

    Date2006.12.08 By風磬 Views5013
    Read More
  11. 질병용어 - 든 병, 난 병, 걸린 병

    Date2008.03.22 By바람의종 Views4310
    Read More
  12. 진안과 마이산 - 난달래골에 내려온 신선 부부

    Date2008.09.03 By바람의종 Views4454
    Read More
  13. 지명어의 작명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Date2008.06.02 By바람의종 Views3758
    Read More
  14. 지명 속담 - 보은 아가씨 추석비에 운다

    Date2008.05.29 By바람의종 Views3886
    Read More
  15. 지리산과 섬진강 - 노고단 밑으로 달래강이 흐르고

    Date2008.09.20 By바람의종 Views3919
    Read More
  16. 주술적 용어 3 - "고시"는 가까이, 잡귀는 물러가라

    Date2008.04.13 By바람의종 Views4398
    Read More
  17. 주술적 용어 2 - 고마워하고 비는 기원의 말

    Date2008.04.10 By바람의종 Views4332
    Read More
  18. 주술적 용어 1 - 끼, 그 가능성의 유전자

    Date2008.04.09 By바람의종 Views4182
    Read More
  19. 제주와 한라산 - 한라산 철쭉은 왜 붉은가

    Date2008.09.26 By바람의종 Views4148
    Read More
  20. 전철역의 이름 - 향토색 짙은 서울 역명

    Date2008.06.24 By바람의종 Views4123
    Read More
  21. 전북에서는 '생강'을 '시앙/새앙'이라고 말합니다.

    Date2006.11.08 By風磬 Views4029
    Read More
  22. 전북 지방에서는 씀바귀를 '씸바구, 씸바구리'라고도 합니다.

    Date2006.09.07 By風磬 Views5522
    Read More
  23. 잃어버린 지명 - 아름다운 이름, 보은단, 고운담

    Date2008.06.03 By바람의종 Views3428
    Read More
  24. 인명의 작명 - 이름을 불러 주는 의미

    Date2008.07.18 By바람의종 Views3191
    Read More
  25. 음식 이름 - 족발, 주물럭, 닭도리탕

    Date2008.05.06 By바람의종 Views3622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