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651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48. '학독'이란 단어의 뜻을 아십니까?

  김치를 담그기 위하여 맨 처음 하는 일은 고추를 가는 일입니다. 지금은 동네 구멍가게에 가서 몇 백원만 주면 고추와 양념을 갈아 주기 때문에 김치 담그는 일이 전보다 훨씬 쉬워졌습니다.  중,고등학교 시절, 학교에 다녀오면 기다렸다는 듯이 어머니께서 고추를 갈아달라고 부탁을 하십니다. 김치를  담그려면 고추를 갈아야 하는데 고추 가는 일은 어머니께서 하시기에는 힘든 일이셨습니다.  고추를 돌확에 넣고 밥이나 풀을 쑤어 조금 넣고 마늘 등 양념을 넣은 뒤, 절굿공이로 약 20 분 정도 갈아야 했습니다. 그걸 갈고 나면 어깨에서 힘이 빠질 정도로 힘든 일이었습니다.  이렇게 담근 김치는 고추가루로 담근 김치보다 훨씬 맛이 있습니다.  김치를 다 버무리신 어머니께서는 김치 속을 하나 깨소금에 무쳐서 입에 넣어 주시면서 전라도 말로 말씀하십니다.

  "니가 고추를 학독으다가 잘 갈아주닝게 이렇게  짐치가 맛이 있는 거 아니냐?"

  저녁밥을 짓기 위하여 보리를 돌확에 넣고 물을 부어 놓습니다. 예전의 보리는 껄끄럽기 때문에 약간 불려서 갈아가지고 밥을 지어야  했습니다. 둥그런 돌로 돌확에 있는  보리를 갈면 보리가 부드러워져서  부드러운 보리밥을 먹을 수  있었습니다.  얼마 전만 해도 집집마다  이 '돌확'이 하나씩 있었는데, 지금은 기계로 하기 때문에 이 돌확은 볼 수 없습니다. 지금은 골동품이 되어서 가정에서 어항으로 쓰기도 하고, 정원에 장식품으로 놓기도 합니다.   전북 지역에서는 이 '돌확'을 '학독'이라고 부릅니다.

  " 아 시방은 학독이 다 없어졌지만 그전으는 학독으다 다 고추 갈아서 먹었지. 고추는 학독으로 다 갈아가꼬 짐치를 담어야 제맛이 나지."

  이 정도면 대답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앞으로 자주 이런 내용을 올려 드리겠습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1 바느질 용어 - 깁고, 박고, 호고, 공그르고 바람의종 2008.03.25 3626
70 선산과 금오산 - 복사골에서 솟는 불도의 샘 바람의종 2008.09.06 3620
69 우리말의 상상력 1 - 1. 언어적 상상력의 바탕 (2/2) 바람의종 2009.05.01 3618
68 우리말의 상상력 2 - 1. 영산강과 용, 섬진강과 두꺼비 바람의종 2009.09.01 3612
67 우리말의 상상력 1 - 4. 돌과 원운동 (2/2) 바람의종 2009.05.20 3602
66 우리말의 상상력 2 - 2. 팔공산은 믿음의 터 바람의종 2009.10.07 3600
65 명절, 절후 용어 2 - 한가위, 수릿날 아으 동동다리 바람의종 2008.04.04 3598
64 영일과 호미동 - 호랑이꼬리에서의 해맞이 바람의종 2008.09.07 3583
63 된소리 현상 - 꿍따리 싸바라 빠빠빠 바람의종 2008.05.10 3576
62 언어코드로 보는 '돼지'의 다양한 의미 風磬 2007.01.03 3569
61 '클랙션'(경적)도 상표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風磬 2006.12.26 3563
60 김포와 휴전선 - 애기봉에 울려퍼지는 어울림의 합창 바람의종 2008.07.29 3563
59 공주와 금강 - 곰나루와 백마강 전설 바람의종 2008.08.28 3560
58 우리말의 상상력 1 - 3. 3-1. 싹과 사이 (1/2) 바람의종 2009.05.12 3550
57 우리말의 상상력 1 - 9. 겨레와 분화 (2/2) 바람의종 2009.06.16 3549
56 우리말의 상상력 1 - 4. 돌과 원운동 (1/2) 바람의종 2009.05.17 3546
55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4/4) 바람의종 2009.05.09 3540
54 '바바리 코트'는 상표에서 나온 말 風磬 2006.12.22 3538
53 우리의 미의식 1 - 작은 것, 아름다운 것 바람의종 2008.04.17 3529
52 우리말의 상상력 2 - 2. '해'의 소리 상징, 말하는 남생이 바람의종 2010.01.23 3518
51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지리산과 파랑새 꿈 바람의종 2010.01.20 3513
50 우리말의 상상력 1 - 8. 힘과 해 (2/2) 바람의종 2009.06.12 3511
49 우리말의 상상력 2 - 1. 두만강과 조선왕조, 대동강과 한겨레 바람의종 2009.07.16 3489
48 보은과 속리산 - 속세가 산을 떠나 있네 바람의종 2008.09.02 3487
47 막가파 용어 - 전쟁과 파괴의 시대 바람의종 2008.05.23 34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