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611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48. '학독'이란 단어의 뜻을 아십니까?

  김치를 담그기 위하여 맨 처음 하는 일은 고추를 가는 일입니다. 지금은 동네 구멍가게에 가서 몇 백원만 주면 고추와 양념을 갈아 주기 때문에 김치 담그는 일이 전보다 훨씬 쉬워졌습니다.  중,고등학교 시절, 학교에 다녀오면 기다렸다는 듯이 어머니께서 고추를 갈아달라고 부탁을 하십니다. 김치를  담그려면 고추를 갈아야 하는데 고추 가는 일은 어머니께서 하시기에는 힘든 일이셨습니다.  고추를 돌확에 넣고 밥이나 풀을 쑤어 조금 넣고 마늘 등 양념을 넣은 뒤, 절굿공이로 약 20 분 정도 갈아야 했습니다. 그걸 갈고 나면 어깨에서 힘이 빠질 정도로 힘든 일이었습니다.  이렇게 담근 김치는 고추가루로 담근 김치보다 훨씬 맛이 있습니다.  김치를 다 버무리신 어머니께서는 김치 속을 하나 깨소금에 무쳐서 입에 넣어 주시면서 전라도 말로 말씀하십니다.

  "니가 고추를 학독으다가 잘 갈아주닝게 이렇게  짐치가 맛이 있는 거 아니냐?"

  저녁밥을 짓기 위하여 보리를 돌확에 넣고 물을 부어 놓습니다. 예전의 보리는 껄끄럽기 때문에 약간 불려서 갈아가지고 밥을 지어야  했습니다. 둥그런 돌로 돌확에 있는  보리를 갈면 보리가 부드러워져서  부드러운 보리밥을 먹을 수  있었습니다.  얼마 전만 해도 집집마다  이 '돌확'이 하나씩 있었는데, 지금은 기계로 하기 때문에 이 돌확은 볼 수 없습니다. 지금은 골동품이 되어서 가정에서 어항으로 쓰기도 하고, 정원에 장식품으로 놓기도 합니다.   전북 지역에서는 이 '돌확'을 '학독'이라고 부릅니다.

  " 아 시방은 학독이 다 없어졌지만 그전으는 학독으다 다 고추 갈아서 먹었지. 고추는 학독으로 다 갈아가꼬 짐치를 담어야 제맛이 나지."

  이 정도면 대답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앞으로 자주 이런 내용을 올려 드리겠습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1. 철원과 한탄강 - 큰 여울 줄기 따라 한탄의 전설이

    Date2008.07.31 By바람의종 Views4846
    Read More
  2. '장아찌'의 어원이 무엇인지 아십니까?

    Date2006.10.31 By風磬 Views4844
    Read More
  3. 몸짓 언어 3 - 입으로 하는 또다른 말

    Date2008.04.16 By바람의종 Views4822
    Read More
  4. 우리말의 속살 - 임신, 출산 용어 삼신 할머니는 노여움을 푸소서

    Date2008.03.16 By바람의종 Views4797
    Read More
  5. '씨름'은 옛말 '힐후다'에서 나온 말

    Date2006.09.07 By風磬 Views4793
    Read More
  6. 낭떠러지, 벼랑 & 칭송, 칭찬

    Date2006.09.14 By風磬 Views4784
    Read More
  7. 16. '무지개'는 '물'로 된 '문'이라는 뜻

    Date2006.10.05 By風磬 Views4772
    Read More
  8. '대리다' '대리미'는 전북 지방의 방언입니다.

    Date2006.11.07 By風磬 Views4767
    Read More
  9. '지아비' '지어미'의 '지'는 '집'...곧 '집아비, 집어미'의 뜻

    Date2007.01.20 By風磬 Views4765
    Read More
  10. '가물치'는 '검은 고기'라는 뜻

    Date2007.01.11 By風磬 Views4755
    Read More
  11. 동사는 사라지고 명사만 남은 '기침'의 어원

    Date2006.10.23 By風磬 Views4739
    Read More
  12. 17. '닭의알'-->'닭이알'-->'달걀'......'달걀'은 토박이말

    Date2006.10.06 By風磬 Views4730
    Read More
  13. "구실을 삼다"와 "사람 구실을 못한다"에서

    Date2006.10.25 By風磬 Views4728
    Read More
  14. 우리말의 상상력- 3. 울 안의 복숭아나무, 기다림의 미학(美學)

    Date2010.02.23 By바람의종 Views4721
    Read More
  15. 엄마, 아빠에서 "어이 어이"까지

    Date2008.03.19 By바람의종 Views4706
    Read More
  16. '집사람'은 본래 '가족'이란 뜻

    Date2006.11.19 By風磬 Views4697
    Read More
  17. '수저'는 '숫가락'과 '젓가락'이 쳐진 말

    Date2006.09.07 By風磬 Views4687
    Read More
  18. '노들강변'은 '노량진 나루터'를 말하는 고유명사 ...버드나무와 상관없어

    Date2007.01.18 By風磬 Views4666
    Read More
  19. 우리말의 상상력 1 - 11. 고움과 원형(圓形)

    Date2009.06.30 By바람의종 Views4656
    Read More
  20. '옛날 옛적 고리짝에'는 '옛날 옛적 고려 적에'의 뜻

    Date2006.12.13 By風磬 Views4653
    Read More
  21. '학독'이란 단어의 뜻을 아십니까?

    Date2006.11.10 By風磬 Views4611
    Read More
  22. '새'는 '동쪽'의 의미...'샛별'은 동쪽에 제일 먼저 뜨는 별

    Date2006.11.11 By風磬 Views4607
    Read More
  23. '지붕'은 '집'의 '위'란 뜻

    Date2006.10.28 By風磬 Views4595
    Read More
  24. "영낙없이 지 애비 탁했네" -> "영낙없이 지 애비 닮았네"

    Date2006.11.03 By風磬 Views4584
    Read More
  25. '먹거리'는 옳지 않은 말...그 까닭은?

    Date2007.01.19 By風磬 Views4573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