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537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48. '학독'이란 단어의 뜻을 아십니까?

  김치를 담그기 위하여 맨 처음 하는 일은 고추를 가는 일입니다. 지금은 동네 구멍가게에 가서 몇 백원만 주면 고추와 양념을 갈아 주기 때문에 김치 담그는 일이 전보다 훨씬 쉬워졌습니다.  중,고등학교 시절, 학교에 다녀오면 기다렸다는 듯이 어머니께서 고추를 갈아달라고 부탁을 하십니다. 김치를  담그려면 고추를 갈아야 하는데 고추 가는 일은 어머니께서 하시기에는 힘든 일이셨습니다.  고추를 돌확에 넣고 밥이나 풀을 쑤어 조금 넣고 마늘 등 양념을 넣은 뒤, 절굿공이로 약 20 분 정도 갈아야 했습니다. 그걸 갈고 나면 어깨에서 힘이 빠질 정도로 힘든 일이었습니다.  이렇게 담근 김치는 고추가루로 담근 김치보다 훨씬 맛이 있습니다.  김치를 다 버무리신 어머니께서는 김치 속을 하나 깨소금에 무쳐서 입에 넣어 주시면서 전라도 말로 말씀하십니다.

  "니가 고추를 학독으다가 잘 갈아주닝게 이렇게  짐치가 맛이 있는 거 아니냐?"

  저녁밥을 짓기 위하여 보리를 돌확에 넣고 물을 부어 놓습니다. 예전의 보리는 껄끄럽기 때문에 약간 불려서 갈아가지고 밥을 지어야  했습니다. 둥그런 돌로 돌확에 있는  보리를 갈면 보리가 부드러워져서  부드러운 보리밥을 먹을 수  있었습니다.  얼마 전만 해도 집집마다  이 '돌확'이 하나씩 있었는데, 지금은 기계로 하기 때문에 이 돌확은 볼 수 없습니다. 지금은 골동품이 되어서 가정에서 어항으로 쓰기도 하고, 정원에 장식품으로 놓기도 합니다.   전북 지역에서는 이 '돌확'을 '학독'이라고 부릅니다.

  " 아 시방은 학독이 다 없어졌지만 그전으는 학독으다 다 고추 갈아서 먹었지. 고추는 학독으로 다 갈아가꼬 짐치를 담어야 제맛이 나지."

  이 정도면 대답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앞으로 자주 이런 내용을 올려 드리겠습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6 탄천과 동방삭 - 수청과 탄천 바람의종 2008.08.04 3895
95 수원고 화산 - 아버지를 그리는 효심의 물골 바람의종 2008.08.08 3496
94 황지와 태백산 - 밝은 뫼에서 솟는 시원의 샘 바람의종 2008.08.19 4025
93 공주와 금강 - 곰나루와 백마강 전설 바람의종 2008.08.28 3486
92 보은과 속리산 - 속세가 산을 떠나 있네 바람의종 2008.09.02 3372
91 진안과 마이산 - 난달래골에 내려온 신선 부부 바람의종 2008.09.03 4351
90 안동과 하회 마을 - 제비연에서 물도리동까지 바람의종 2008.09.04 3323
89 선산과 금오산 - 복사골에서 솟는 불도의 샘 바람의종 2008.09.06 3529
88 영일과 호미동 - 호랑이꼬리에서의 해맞이 바람의종 2008.09.07 3447
87 경주와 남산 - 서라벌의 탄생 신화 바람의종 2008.09.09 3221
86 남원과 춘향 - 여성의 절개, 남성의 절개 바람의종 2008.09.18 3363
85 목포와 몽탄강 - 유달산과 삼학도의 노래 바람의종 2008.09.18 3245
84 영암과 월출산 - 달래골에서 만나는 두 성인 바람의종 2008.09.19 3929
83 지리산과 섬진강 - 노고단 밑으로 달래강이 흐르고 바람의종 2008.09.20 3827
82 마산과 무학산 - 가고파의 바다가 보이는 마잿골 바람의종 2008.09.23 3332
81 동래와 영도 - 새울이뫼에서 고마뫼로 바람의종 2008.09.24 3249
80 해남과 두륜산 - 종착지가 아닌 시발지 바람의종 2008.09.25 3918
79 제주와 한라산 - 한라산 철쭉은 왜 붉은가 바람의종 2008.09.26 4031
78 우리말의 상상력 1 - 1. 언어적 상상력의 바탕 (1/2) 바람의종 2009.04.14 3122
77 우리말의 상상력 1 - 1. 언어적 상상력의 바탕 (2/2) 바람의종 2009.05.01 3495
76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바람의종 2009.05.02 3178
75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2/4) 바람의종 2009.05.04 3571
74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3/4) 바람의종 2009.05.09 3158
73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4/4) 바람의종 2009.05.09 3432
72 우리말의 상상력 1 - 3. 3-1. 싹과 사이 (1/2) 바람의종 2009.05.12 340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