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032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알타리무'의 표준어는 '총각무'

  김장철이 다가옵니다. 시장에 나가면 배추와 무가 많이 나와 있습니다.  '무'는 시원한  맛때문에 김치와 반찬  재료로 즐겨 사용합니다.  전라도 지방에서는 '무'를 '무수' 또는 '무시'라고 부릅니다. 그래서 '무수김치, 열무수, 알타리무수'라는 말을 자주 사용합니다. 그러나 표준어로는 '무'라고 한 마디로 된 단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발음을 길게 하는 '무:'로 바뀌었습니다.  이 '무'의 종류에는 흔히 '알타리무'라고 부르는 품종이 있는데, '알타리무'라는 말은 표준어가 아닙니다. 이에 해당하는 표준어는 '총각무'입니다.  제가 어려서 즐겨 먹었던 밥 중에 '무'를 넣어 삶은 밥이 있었는데, 우리는 그때 그 밥을 '무수밥',  '무시밥'이라고 불렀습니다. 지금이야 배고픔을 달래려고 먹는게 아니라 별미로 먹는 실정입니다만, 만일오늘 우리가 그 밥을 다시 먹는다면 '무밥'이라고 불러야 할 것입니다. 전라도 말의  '무수' 또는 '무시'는 표준어로 '무'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 우리말의 상상력 1 - 10. 막다른 골목 (1/2) 바람의종 2009.06.17 3498
45 막가파 용어 - 전쟁과 파괴의 시대 바람의종 2008.05.23 3493
44 안동과 하회 마을 - 제비연에서 물도리동까지 바람의종 2008.09.04 3486
43 남원과 춘향 - 여성의 절개, 남성의 절개 바람의종 2008.09.18 3483
42 농경 생활 용어 2 - 바람의 고유 이름 바람의종 2008.04.07 3481
41 잃어버린 지명 - 아름다운 이름, 보은단, 고운담 바람의종 2008.06.03 3480
40 '메리야스'(내의)는 어디에서 나온 말일까요? 風磬 2006.12.23 3475
39 과메기 바람의종 2008.03.22 3463
38 우리말의 상상력 1 - 9. 겨레와 분화 (1/2) 바람의종 2009.06.15 3463
37 음료수 용어 1 - 꽃 꺽어 산 놓으며 드사이다. 바람의종 2008.03.30 3457
36 우리말의 상상력 2 - 1. 백마강, 강릉 바람의종 2009.09.21 3454
35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소리란 무엇인가 바람의종 2010.01.22 3451
34 '사냥'은 원래 한자어 風磬 2006.11.14 3444
33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죽령(竹嶺)과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 바람의종 2010.01.19 3441
32 음료수 용어 2 - 차 한잔의 여유와 향기 바람의종 2008.03.31 3434
31 마산과 무학산 - 가고파의 바다가 보이는 마잿골 바람의종 2008.09.23 3428
30 상거래 용어 - 에누리와 디스카운트 바람의종 2008.04.02 3418
29 우리말의 상상력 2 - 2. 곰신앙과 땅이름 바람의종 2010.02.07 3415
28 우리말 숫자관 - 닫히고 열리기가 골백번 바람의종 2008.04.01 3407
27 우리말의 상상력 1 - 6. 가루와 분절 바람의종 2009.05.28 3407
26 농경 생활 용어 1 - 북돋워 주고 헹가래치고 바람의종 2008.04.06 3402
25 우리말의 애매성 - 너무나 인간적인 언어 바람의종 2008.04.30 3400
24 모어에 대한 인식 2 - 낮은 목소리, 짧은 표현 바람의종 2008.04.24 3398
23 몸짓 언어 2 - 가슴으로 하는 말 바람의종 2008.04.15 3383
22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3/4) 바람의종 2009.05.09 337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