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970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알타리무'의 표준어는 '총각무'

  김장철이 다가옵니다. 시장에 나가면 배추와 무가 많이 나와 있습니다.  '무'는 시원한  맛때문에 김치와 반찬  재료로 즐겨 사용합니다.  전라도 지방에서는 '무'를 '무수' 또는 '무시'라고 부릅니다. 그래서 '무수김치, 열무수, 알타리무수'라는 말을 자주 사용합니다. 그러나 표준어로는 '무'라고 한 마디로 된 단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발음을 길게 하는 '무:'로 바뀌었습니다.  이 '무'의 종류에는 흔히 '알타리무'라고 부르는 품종이 있는데, '알타리무'라는 말은 표준어가 아닙니다. 이에 해당하는 표준어는 '총각무'입니다.  제가 어려서 즐겨 먹었던 밥 중에 '무'를 넣어 삶은 밥이 있었는데, 우리는 그때 그 밥을 '무수밥',  '무시밥'이라고 불렀습니다. 지금이야 배고픔을 달래려고 먹는게 아니라 별미로 먹는 실정입니다만, 만일오늘 우리가 그 밥을 다시 먹는다면 '무밥'이라고 불러야 할 것입니다. 전라도 말의  '무수' 또는 '무시'는 표준어로 '무'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1. 23. '낭떠러지'와 '벼랑'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Date2006.10.18 By風磬 Views3867
    Read More
  2. '노래' '놀이' '노름'은 한 가지에서 나온 단어

    Date2007.01.22 By바람의종 Views3872
    Read More
  3. 우리말의 상상력 1 - 12. 울림과 진실 (3/3)

    Date2009.07.08 By바람의종 Views3877
    Read More
  4. 라면은 살짝 끓여서 물을 버리고 다시 삶아 먹는 것이 좋다는군요.

    Date2006.11.04 By風磬 Views3881
    Read More
  5. 미각어의 다양성 - 달짝지근하고 달콤새콤하고

    Date2008.04.20 By바람의종 Views3911
    Read More
  6. '찌개'는 '디히개 > 디이개> 지이개 > 지개 > 찌개'로 변화한 말

    Date2006.11.01 By風磬 Views3933
    Read More
  7. '값이 싸다'는 원래 '값이 적당하다'는 뜻

    Date2006.10.24 By風磬 Views3934
    Read More
  8. 탄천과 동방삭 - 수청과 탄천

    Date2008.08.04 By바람의종 Views3945
    Read More
  9. 해남과 두륜산 - 종착지가 아닌 시발지

    Date2008.09.25 By바람의종 Views3954
    Read More
  10. 전북에서는 '생강'을 '시앙/새앙'이라고 말합니다.

    Date2006.11.08 By風磬 Views3960
    Read More
  11. 서울의 어원

    Date2009.08.01 By바람의종 Views3960
    Read More
  12. '알타리무'의 표준어는 '총각무'

    Date2006.11.09 By風磬 Views3970
    Read More
  13. 우리말의 상상력 2 - 1. 압록강과 오리

    Date2009.07.12 By바람의종 Views3979
    Read More
  14. 모어에 대한 인식 3 - 언어와 민족, 그리고 문화

    Date2008.04.25 By바람의종 Views3982
    Read More
  15. 영암과 월출산 - 달래골에서 만나는 두 성인

    Date2008.09.19 By바람의종 Views3982
    Read More
  16. '사냥'의 어원에 대한 부연설명

    Date2006.11.02 By風磬 Views3994
    Read More
  17. 망나니 호칭 - 지존이 무상하다

    Date2008.05.12 By바람의종 Views4005
    Read More
  18. 부위별 고기 명칭 - 아롱사태의 그 은밀한 맛

    Date2008.03.29 By바람의종 Views4014
    Read More
  19. 우리말의 상상력 2 - 1. 횡성, 금호

    Date2009.09.27 By바람의종 Views4014
    Read More
  20. '곡식 한 말을 수확할 수 있는 땅' --> '한 마지기'

    Date2006.10.20 By風磬 Views4023
    Read More
  21. '귀고리'는 귀에 거는 '고리'...'귀거리'는 틀린 말

    Date2007.01.10 By風磬 Views4026
    Read More
  22. 우리말 사랑 4 - 신토불이와 토사구팽

    Date2008.04.29 By바람의종 Views4043
    Read More
  23. 황지와 태백산 - 밝은 뫼에서 솟는 시원의 샘

    Date2008.08.19 By바람의종 Views4052
    Read More
  24. 전철역의 이름 - 향토색 짙은 서울 역명

    Date2008.06.24 By바람의종 Views4063
    Read More
  25. 제주와 한라산 - 한라산 철쭉은 왜 붉은가

    Date2008.09.26 By바람의종 Views4064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