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014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전북에서는 '생강'을 '시앙/새앙'이라고 말합니다.

  감기가 극성을 부립니다. 겨울철 건강을 생각하셔서 생강차를 끓여 드시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커피에 길들여진 우리 입맛을 우리차로 바꾸는 계기도 되겠지요.  생강으로는 생강엿을 만들기도 하고 식혜를 만들기도 합니다. 겨울 밤이 이슥할 때, 속이 출출할 때, 뒷마당에서 떠온한 사발의 식혜, 그 차갑고 달콤한 맛은 상상만 해도 즐겁습니다.  전북 완주군  봉동읍은 생강 주산지입니다. 이 지역에서는 생강을 '시앙' 또는 '새앙'이라고 말합니다.

  " 아이, 시방 시앙 한 근에 얼마썩 가? "
  " 뭔 새앙값이 이르케 싸대야? "

  전북 지방에서 쓰는 '시앙'은 이 지역  방언입니다. 표준어로는 '생강, 새앙,  생'이라고 써야 합니다. 이 지역에서 쓰던 '새앙'이란 말은 표준어가 된 것입니다.

   " 요즘 새앙(생강) 한 근에 얼맙니까? "
   " 예, 생강 한 근에 이천원입니다. "

   " 겨울철에는 생엿이 참 맛있습니다. "

새앙 한 근 사다가 따끈한 생강차를 끓여 가족끼리 오손도손 이야기를 나누면 어떨까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 '김치'는 한자어...'짠지'는 토박이말 風磬 2006.11.18 5029
20 '귀고리'는 귀에 거는 '고리'...'귀거리'는 틀린 말 風磬 2007.01.10 4066
19 '곶감'은 꼬챙이에 꽂아서 말린 감 風磬 2006.12.29 3839
18 '곶감'은 꼬챙이에 꽂아서 말린 감 바람의종 2007.01.25 4232
17 '곰보'는 '곪다'의 '곪-'에 접미사 '-보'가 붙어서 된 말 風磬 2007.01.14 4258
16 '곰'과 '팡이'의 어원을 아셔요? 風磬 2006.10.21 4202
15 '곧다'와 '굳다'에서 나온 '꼿꼿하다'와 '꿋꿋하다' 風磬 2006.10.22 4943
14 '곡식 한 말을 수확할 수 있는 땅' --> '한 마지기' 風磬 2006.10.20 4073
13 '고주망태'의 '고주'는 원래 토박이말...그 뜻은? 風磬 2006.11.22 5232
12 '고독'이란 말을 함부로 말씀하지 마셔요. 風磬 2006.12.21 5574
11 '결혼하다'와 '혼인하다'는 본래 다른 뜻이었습니다 風磬 2006.12.31 3801
10 '거지'의 어원은 무엇일까요? 風磬 2006.12.12 5202
9 '값이 싸다'는 원래 '값이 적당하다'는 뜻 風磬 2006.10.24 3974
8 '감기'는 옛날에 '고뿔'이라고 불렀습니다. 곧 '코에 불(열)이 난다는 뜻 風磬 2006.12.14 4327
7 '가물치'는 '검은 고기'라는 뜻 風磬 2007.01.11 4760
6 '가게'는 널판지로 만든 시렁에 물건을 진열하여 놓고 파는 곳 風磬 2006.12.18 4170
5 "영낙없이 지 애비 탁했네" -> "영낙없이 지 애비 닮았네" 風磬 2006.11.03 4613
4 "똥뀐 녀석이 성낸다"는 말에 얽힌 재미있는 이야기 風磬 2006.11.17 4253
3 "구실을 삼다"와 "사람 구실을 못한다"에서 風磬 2006.10.25 4750
2 '설겆이'에서 '설겆'은 무엇일까? 風磬 2006.09.07 5551
1 '성가시다'는 원래 '파리하다, 초췌하다'는 뜻 風磬 2007.01.12 608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