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052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전북에서는 '생강'을 '시앙/새앙'이라고 말합니다.

  감기가 극성을 부립니다. 겨울철 건강을 생각하셔서 생강차를 끓여 드시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커피에 길들여진 우리 입맛을 우리차로 바꾸는 계기도 되겠지요.  생강으로는 생강엿을 만들기도 하고 식혜를 만들기도 합니다. 겨울 밤이 이슥할 때, 속이 출출할 때, 뒷마당에서 떠온한 사발의 식혜, 그 차갑고 달콤한 맛은 상상만 해도 즐겁습니다.  전북 완주군  봉동읍은 생강 주산지입니다. 이 지역에서는 생강을 '시앙' 또는 '새앙'이라고 말합니다.

  " 아이, 시방 시앙 한 근에 얼마썩 가? "
  " 뭔 새앙값이 이르케 싸대야? "

  전북 지방에서 쓰는 '시앙'은 이 지역  방언입니다. 표준어로는 '생강, 새앙,  생'이라고 써야 합니다. 이 지역에서 쓰던 '새앙'이란 말은 표준어가 된 것입니다.

   " 요즘 새앙(생강) 한 근에 얼맙니까? "
   " 예, 생강 한 근에 이천원입니다. "

   " 겨울철에는 생엿이 참 맛있습니다. "

새앙 한 근 사다가 따끈한 생강차를 끓여 가족끼리 오손도손 이야기를 나누면 어떨까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1 '설겆이'에서 '설겆'은 무엇일까? 風磬 2006.09.07 5618
270 전북 지방에서는 씀바귀를 '씸바구, 씸바구리'라고도 합니다. 風磬 2006.09.07 5558
269 '수저'는 '숫가락'과 '젓가락'이 쳐진 말 風磬 2006.09.07 4758
268 '씨름'은 옛말 '힐후다'에서 나온 말 風磬 2006.09.07 4849
267 '자유'는 일본어에서 온 말이 아니라 중국의 '백화문'에서 온 말 風磬 2006.09.07 4888
266 낭떠러지, 벼랑 & 칭송, 칭찬 風磬 2006.09.14 4825
265 '보신탕'은 이승만 정권 시절에 생긴 말...그 이전에는 '개장국' 風磬 2006.09.16 5058
264 8. '보배'의 '배'는 한자음으로 '패'...즉 '조개 패'를 말합니다 風磬 2006.09.27 4945
263 9. 남자 생식기 '불X'의 '불'은 무엇을 뜻하는 말로부터 온 것일까요? 風磬 2006.09.28 4538
262 10. 가루처럼 내리는 비가 '가랑비'이고 이슬처럼 내리는 비가 '이슬비' 風磬 2006.09.29 5138
261 11. '노닐다'는 '놀다 + 닐다의 합성어...'닐다'는 '가다'의 뜻 風磬 2006.09.30 5337
260 12. '고양이'를 왜 '나비야!'하고 부를까요? 風磬 2006.10.01 5486
259 13. 설화에 의하면 '베짱이'는 베를 짜고 노래를 부르는 곤충. 風磬 2006.10.02 5144
258 14. '벽'의 사투리인 '베름빡'에 관하여 風磬 2006.10.03 5365
257 15. '방구'(가죽피리)는 고유어가 아니라 한자어 風磬 2006.10.04 5186
256 16. '무지개'는 '물'로 된 '문'이라는 뜻 風磬 2006.10.05 4846
255 17. '닭의알'-->'닭이알'-->'달걀'......'달걀'은 토박이말 風磬 2006.10.06 4782
254 18. '뚜렷하다' '또렷하다'는 원래 '둥글다'는 뜻 風磬 2006.10.07 5668
253 19. '물 한 모금 마시고'의 '모금'은 '먹다'와 연관된 단어 風磬 2006.10.08 5673
252 20. '만나다'는 '맞나다'에서 온말 風磬 2006.10.09 5484
251 21. '꽁치'의 어원에 관한 유력한 설이 있습니다 風磬 2006.10.10 4948
250 22. '온갖'은 '수적으로 전부의 종류'란 뜻 風磬 2006.10.11 4284
249 23. '낭떠러지'와 '벼랑'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風磬 2006.10.18 3953
248 '눈꼽'의 '꼽'은 원래 '곱'...'곱'은 '기름'이란 뜻 風磬 2006.10.19 3693
247 '곡식 한 말을 수확할 수 있는 땅' --> '한 마지기' 風磬 2006.10.20 41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