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007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전북에서는 '생강'을 '시앙/새앙'이라고 말합니다.

  감기가 극성을 부립니다. 겨울철 건강을 생각하셔서 생강차를 끓여 드시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커피에 길들여진 우리 입맛을 우리차로 바꾸는 계기도 되겠지요.  생강으로는 생강엿을 만들기도 하고 식혜를 만들기도 합니다. 겨울 밤이 이슥할 때, 속이 출출할 때, 뒷마당에서 떠온한 사발의 식혜, 그 차갑고 달콤한 맛은 상상만 해도 즐겁습니다.  전북 완주군  봉동읍은 생강 주산지입니다. 이 지역에서는 생강을 '시앙' 또는 '새앙'이라고 말합니다.

  " 아이, 시방 시앙 한 근에 얼마썩 가? "
  " 뭔 새앙값이 이르케 싸대야? "

  전북 지방에서 쓰는 '시앙'은 이 지역  방언입니다. 표준어로는 '생강, 새앙,  생'이라고 써야 합니다. 이 지역에서 쓰던 '새앙'이란 말은 표준어가 된 것입니다.

   " 요즘 새앙(생강) 한 근에 얼맙니까? "
   " 예, 생강 한 근에 이천원입니다. "

   " 겨울철에는 생엿이 참 맛있습니다. "

새앙 한 근 사다가 따끈한 생강차를 끓여 가족끼리 오손도손 이야기를 나누면 어떨까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1. '귀고리'는 귀에 거는 '고리'...'귀거리'는 틀린 말

    Date2007.01.10 By風磬 Views4064
    Read More
  2. 우리말 사랑 4 - 신토불이와 토사구팽

    Date2008.04.29 By바람의종 Views4060
    Read More
  3. 부위별 고기 명칭 - 아롱사태의 그 은밀한 맛

    Date2008.03.29 By바람의종 Views4045
    Read More
  4. '사냥'의 어원에 대한 부연설명

    Date2006.11.02 By風磬 Views4043
    Read More
  5. 우리말의 상상력 2 - 1. 횡성, 금호

    Date2009.09.27 By바람의종 Views4035
    Read More
  6. 우리말의 상상력 2 - 1. 압록강과 오리

    Date2009.07.12 By바람의종 Views4020
    Read More
  7. 망나니 호칭 - 지존이 무상하다

    Date2008.05.12 By바람의종 Views4018
    Read More
  8. 영암과 월출산 - 달래골에서 만나는 두 성인

    Date2008.09.19 By바람의종 Views4018
    Read More
  9. 전북에서는 '생강'을 '시앙/새앙'이라고 말합니다.

    Date2006.11.08 By風磬 Views4007
    Read More
  10. 모어에 대한 인식 3 - 언어와 민족, 그리고 문화

    Date2008.04.25 By바람의종 Views4005
    Read More
  11. '알타리무'의 표준어는 '총각무'

    Date2006.11.09 By風磬 Views4004
    Read More
  12. 해남과 두륜산 - 종착지가 아닌 시발지

    Date2008.09.25 By바람의종 Views3999
    Read More
  13. 서울의 어원

    Date2009.08.01 By바람의종 Views3986
    Read More
  14. 탄천과 동방삭 - 수청과 탄천

    Date2008.08.04 By바람의종 Views3985
    Read More
  15. '값이 싸다'는 원래 '값이 적당하다'는 뜻

    Date2006.10.24 By風磬 Views3974
    Read More
  16. '찌개'는 '디히개 > 디이개> 지이개 > 지개 > 찌개'로 변화한 말

    Date2006.11.01 By風磬 Views3962
    Read More
  17. 미각어의 다양성 - 달짝지근하고 달콤새콤하고

    Date2008.04.20 By바람의종 Views3948
    Read More
  18. 라면은 살짝 끓여서 물을 버리고 다시 삶아 먹는 것이 좋다는군요.

    Date2006.11.04 By風磬 Views3935
    Read More
  19. 23. '낭떠러지'와 '벼랑'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Date2006.10.18 By風磬 Views3917
    Read More
  20. 우리말의 상상력 1 - 12. 울림과 진실 (3/3)

    Date2009.07.08 By바람의종 Views3900
    Read More
  21. 지리산과 섬진강 - 노고단 밑으로 달래강이 흐르고

    Date2008.09.20 By바람의종 Views3895
    Read More
  22. '노래' '놀이' '노름'은 한 가지에서 나온 단어

    Date2007.01.22 By바람의종 Views3887
    Read More
  23. 우리말의 상상력- 3. 목숨과 어우르기 / 술

    Date2010.02.09 By바람의종 Views3879
    Read More
  24. 우리말의 상상력 1 - 5. 물의 순환 (1/2)

    Date2009.05.25 By바람의종 Views3877
    Read More
  25. 가족 호칭어 - 며느리와 새아기

    Date2008.05.08 By바람의종 Views3874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