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706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대리다' '대리미'는 전북 지방의 방언입니다.

  어린 시절, 어머님께서 옷을 다리시는 모습을 생각해 보면, 지금과는  많은 차이가  있었습니다. 웬만하면 다림질을 하지 않고, 그냥  풀을 입혀 밟거나 다듬잇돌에 놓고 두드려서 입는 게 일반적이었습니다.   지금은 전기 다리미가 있어서 참 편리합니다. 온도도 자동으로  맞추어 주고, 물도 자동으로 뿜어 주니 힘이 들지  않습니다. 우리 전북 지방에서는 '다리미'를 '대리미'라고 말합니다. 이런 현상은 '옷을 다린다'를 '옷을 대린다'고 말하는 데서 연유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다리다'의 '리'의 '이'모음이 앞에 나오는 '아' 모음에 영향을 주어서 일어난 현상으로 이모음 역행동화, 또는 움라우트라고 합니다.

  그런데, 표준어에서는  이런 이모음 역행동화를 거의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대리미'는 방언형이고 표준어는 '다리미'가 됩니다. 요즘은 바쁘다는 핑계로 세탁소에 맡기는 일이 잦습니다만,  옷을 다리는 일은 정성이라고 생각합니다.   출근하는 남편의 바지나 손수건을  다려주는 일은 남편을 신나게 하는 일일 것입니다.  미루지만 말고 직접 다리시는게 어떨까요?

       " 여보, 바지허고 손수건허고 좀 대려줘요."
       " 대리미좀 찾아줘요. 내가 그냥 대려 입고 갈게."
        '대리다', '대리미'는 전북 지방의 방언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1 우리말의 상상력 2 - 4. 새와 산, 태양 숭배의 고리 바람의종 2010.04.03 14606
270 우리말의 상상력 2 - 죽음의 소리 보람 1 바람의종 2010.03.23 13218
269 우리말의 상상력 2 - 4. 바람의 노래 - 풍요(風謠) 바람의종 2010.04.02 12768
268 우리말의 상상력 2 - 굴살이와 굿 바람의종 2010.03.22 12035
267 우리말의 상상력 2 - 4. 나라 사랑의 꽃, 무궁화여 바람의종 2010.03.30 11672
266 우리말의 상상력 2 - 들온 말 쓰기와 말글 한 누리 바람의종 2010.03.12 11205
265 우리말의 상상력 2 - 술과 푸닥거리, 꽃 이바지 바람의종 2010.03.16 10828
264 우리말의 상상력- 4. 원왕생(願往生)의 그리움 바람의종 2010.03.03 10620
263 우리말의 상상력- 4. 금란굴과 지모신(地母神) 바람의종 2010.02.28 10492
262 우리말의 상상력- 3. 고향의 봄은 어디에 바람의종 2010.02.25 10381
261 우리말의 상상력2 - 4. 고리모양의 어우름, 한라산 바람의종 2010.03.10 10096
260 우리말의 상상력- 4. 원망(怨望)의 노래와 잣나무 바람의종 2010.03.08 10077
259 우리말의 상상력2 - 4. 마음의 귀, 처용의 노래 바람의종 2010.03.02 9875
258 우리말의 상상력2 - 4. 경덕왕과 찬기파랑가 바람의종 2010.03.06 9573
257 우리말의 상상력 2 - 웃으면 젊어진다고 바람의종 2010.03.15 9404
256 우리말의 상상력2 - 4. 도솔가의 뒤안 바람의종 2010.03.05 9290
255 우리말의 상상력2 - 4. 먼 눈 뜨기와 천수관음(千手觀音) 바람의종 2010.03.09 9236
254 우리말의 상상력2 - 4. 돌아 간 누이를 위한 노래, 제망매가 바람의종 2010.03.07 9189
253 우리말의 상상력 2 - 빌면 무쇠도 녹는다, 믿음의 소리갈 바람의종 2010.03.19 9188
252 우리말의 상상력2 - 4. 길 쓸 별의 노래 바람의종 2010.03.04 8802
251 '학독'은 원래 '확독' 風磬 2006.11.26 7646
250 '얼우-'+'는'(성교하다) --> '얼운'...'어른'은 혼인한 사람 風磬 2007.01.21 6452
249 '성가시다'는 원래 '파리하다, 초췌하다'는 뜻 風磬 2007.01.12 6000
248 19. '물 한 모금 마시고'의 '모금'은 '먹다'와 연관된 단어 風磬 2006.10.08 5569
247 18. '뚜렷하다' '또렷하다'는 원래 '둥글다'는 뜻 風磬 2006.10.07 555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