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678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대리다' '대리미'는 전북 지방의 방언입니다.

  어린 시절, 어머님께서 옷을 다리시는 모습을 생각해 보면, 지금과는  많은 차이가  있었습니다. 웬만하면 다림질을 하지 않고, 그냥  풀을 입혀 밟거나 다듬잇돌에 놓고 두드려서 입는 게 일반적이었습니다.   지금은 전기 다리미가 있어서 참 편리합니다. 온도도 자동으로  맞추어 주고, 물도 자동으로 뿜어 주니 힘이 들지  않습니다. 우리 전북 지방에서는 '다리미'를 '대리미'라고 말합니다. 이런 현상은 '옷을 다린다'를 '옷을 대린다'고 말하는 데서 연유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다리다'의 '리'의 '이'모음이 앞에 나오는 '아' 모음에 영향을 주어서 일어난 현상으로 이모음 역행동화, 또는 움라우트라고 합니다.

  그런데, 표준어에서는  이런 이모음 역행동화를 거의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대리미'는 방언형이고 표준어는 '다리미'가 됩니다. 요즘은 바쁘다는 핑계로 세탁소에 맡기는 일이 잦습니다만,  옷을 다리는 일은 정성이라고 생각합니다.   출근하는 남편의 바지나 손수건을  다려주는 일은 남편을 신나게 하는 일일 것입니다.  미루지만 말고 직접 다리시는게 어떨까요?

       " 여보, 바지허고 손수건허고 좀 대려줘요."
       " 대리미좀 찾아줘요. 내가 그냥 대려 입고 갈게."
        '대리다', '대리미'는 전북 지방의 방언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1. '학독'이란 단어의 뜻을 아십니까?

    Date2006.11.10 By風磬 Views4522
    Read More
  2. '노들강변'은 '노량진 나루터'를 말하는 고유명사 ...버드나무와 상관없어

    Date2007.01.18 By風磬 Views4569
    Read More
  3. '옛날 옛적 고리짝에'는 '옛날 옛적 고려 적에'의 뜻

    Date2006.12.13 By風磬 Views4580
    Read More
  4. "구실을 삼다"와 "사람 구실을 못한다"에서

    Date2006.10.25 By風磬 Views4588
    Read More
  5. 우리말의 상상력 1 - 11. 고움과 원형(圓形)

    Date2009.06.30 By바람의종 Views4607
    Read More
  6. 우리말의 상상력- 3. 울 안의 복숭아나무, 기다림의 미학(美學)

    Date2010.02.23 By바람의종 Views4611
    Read More
  7. 엄마, 아빠에서 "어이 어이"까지

    Date2008.03.19 By바람의종 Views4623
    Read More
  8. '집사람'은 본래 '가족'이란 뜻

    Date2006.11.19 By風磬 Views4632
    Read More
  9. '가물치'는 '검은 고기'라는 뜻

    Date2007.01.11 By風磬 Views4641
    Read More
  10. '수저'는 '숫가락'과 '젓가락'이 쳐진 말

    Date2006.09.07 By風磬 Views4649
    Read More
  11. '지아비' '지어미'의 '지'는 '집'...곧 '집아비, 집어미'의 뜻

    Date2007.01.20 By風磬 Views4653
    Read More
  12. 동사는 사라지고 명사만 남은 '기침'의 어원

    Date2006.10.23 By風磬 Views4662
    Read More
  13. 17. '닭의알'-->'닭이알'-->'달걀'......'달걀'은 토박이말

    Date2006.10.06 By風磬 Views4673
    Read More
  14. '대리다' '대리미'는 전북 지방의 방언입니다.

    Date2006.11.07 By風磬 Views4678
    Read More
  15. 낭떠러지, 벼랑 & 칭송, 칭찬

    Date2006.09.14 By風磬 Views4694
    Read More
  16. 16. '무지개'는 '물'로 된 '문'이라는 뜻

    Date2006.10.05 By風磬 Views4709
    Read More
  17. '자유'는 일본어에서 온 말이 아니라 중국의 '백화문'에서 온 말

    Date2006.09.07 By風磬 Views4711
    Read More
  18. '씨름'은 옛말 '힐후다'에서 나온 말

    Date2006.09.07 By風磬 Views4717
    Read More
  19. 우리말의 속살 - 임신, 출산 용어 삼신 할머니는 노여움을 푸소서

    Date2008.03.16 By바람의종 Views4738
    Read More
  20. 철원과 한탄강 - 큰 여울 줄기 따라 한탄의 전설이

    Date2008.07.31 By바람의종 Views4751
    Read More
  21. '장아찌'의 어원이 무엇인지 아십니까?

    Date2006.10.31 By風磬 Views4765
    Read More
  22. 몸짓 언어 3 - 입으로 하는 또다른 말

    Date2008.04.16 By바람의종 Views4775
    Read More
  23. 8. '보배'의 '배'는 한자음으로 '패'...즉 '조개 패'를 말합니다

    Date2006.09.27 By風磬 Views4789
    Read More
  24. '양치질'은 양지(버드나무 가지)에 접미사 '질'이 붙은 것

    Date2006.12.10 By風磬 Views4789
    Read More
  25. '곧다'와 '굳다'에서 나온 '꼿꼿하다'와 '꿋꿋하다'

    Date2006.10.22 By風磬 Views4792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