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789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대리다' '대리미'는 전북 지방의 방언입니다.

  어린 시절, 어머님께서 옷을 다리시는 모습을 생각해 보면, 지금과는  많은 차이가  있었습니다. 웬만하면 다림질을 하지 않고, 그냥  풀을 입혀 밟거나 다듬잇돌에 놓고 두드려서 입는 게 일반적이었습니다.   지금은 전기 다리미가 있어서 참 편리합니다. 온도도 자동으로  맞추어 주고, 물도 자동으로 뿜어 주니 힘이 들지  않습니다. 우리 전북 지방에서는 '다리미'를 '대리미'라고 말합니다. 이런 현상은 '옷을 다린다'를 '옷을 대린다'고 말하는 데서 연유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다리다'의 '리'의 '이'모음이 앞에 나오는 '아' 모음에 영향을 주어서 일어난 현상으로 이모음 역행동화, 또는 움라우트라고 합니다.

  그런데, 표준어에서는  이런 이모음 역행동화를 거의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대리미'는 방언형이고 표준어는 '다리미'가 됩니다. 요즘은 바쁘다는 핑계로 세탁소에 맡기는 일이 잦습니다만,  옷을 다리는 일은 정성이라고 생각합니다.   출근하는 남편의 바지나 손수건을  다려주는 일은 남편을 신나게 하는 일일 것입니다.  미루지만 말고 직접 다리시는게 어떨까요?

       " 여보, 바지허고 손수건허고 좀 대려줘요."
       " 대리미좀 찾아줘요. 내가 그냥 대려 입고 갈게."
        '대리다', '대리미'는 전북 지방의 방언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 '곧다'와 '굳다'에서 나온 '꼿꼿하다'와 '꿋꿋하다' 風磬 2006.10.22 4959
45 춘천과 의암 - 맥국의 맥이 흐르는 쇠머리골 바람의종 2008.08.03 5006
44 처녀들께서는 부끄럼 타지 말고 '총각김치'를 드셔요 風磬 2006.12.08 5007
43 '보신탕'은 이승만 정권 시절에 생긴 말...그 이전에는 '개장국' 風磬 2006.09.16 5015
42 '김치'는 한자어...'짠지'는 토박이말 風磬 2006.11.18 5039
41 우리말의 상상력- 3. 금 캐는 마동(薯童) 바람의종 2010.02.22 5092
40 13. 설화에 의하면 '베짱이'는 베를 짜고 노래를 부르는 곤충. 風磬 2006.10.02 5096
39 10. 가루처럼 내리는 비가 '가랑비'이고 이슬처럼 내리는 비가 '이슬비' 風磬 2006.09.29 5102
38 15. '방구'(가죽피리)는 고유어가 아니라 한자어 風磬 2006.10.04 5127
37 '거지'의 어원은 무엇일까요? 風磬 2006.12.12 5213
36 우리말의 속살 - 요람기의 용어 어화둥둥 금자둥아, 얼싸둥둥 은자둥아 바람의종 2008.03.16 5231
35 '고주망태'의 '고주'는 원래 토박이말...그 뜻은? 風磬 2006.11.22 5256
34 11. '노닐다'는 '놀다 + 닐다의 합성어...'닐다'는 '가다'의 뜻 風磬 2006.09.30 5266
33 다방의 '레지'는 영어의 'register'에서 온 말 風磬 2006.12.01 5286
32 14. '벽'의 사투리인 '베름빡'에 관하여 風磬 2006.10.03 5321
31 우리말의 상상력- 3. 집과 수풀 바람의종 2010.02.21 5395
30 12. '고양이'를 왜 '나비야!'하고 부를까요? 風磬 2006.10.01 5441
29 20. '만나다'는 '맞나다'에서 온말 風磬 2006.10.09 5449
28 전북 지방에서는 씀바귀를 '씸바구, 씸바구리'라고도 합니다. 風磬 2006.09.07 5505
27 '설겆이'에서 '설겆'은 무엇일까? 風磬 2006.09.07 5562
26 '고독'이란 말을 함부로 말씀하지 마셔요. 風磬 2006.12.21 5590
25 19. '물 한 모금 마시고'의 '모금'은 '먹다'와 연관된 단어 風磬 2006.10.08 5642
24 18. '뚜렷하다' '또렷하다'는 원래 '둥글다'는 뜻 風磬 2006.10.07 5644
23 '성가시다'는 원래 '파리하다, 초췌하다'는 뜻 風磬 2007.01.12 6094
22 '얼우-'+'는'(성교하다) --> '얼운'...'어른'은 혼인한 사람 風磬 2007.01.21 65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