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175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여기 멀국/말국 좀 주셔요"가 무슨 말인지 아셔요?

  요즘처럼 추운 날씨에는 아침 밥상에 따끈한 국물이 있어야 제격입니다. 콩나물국에 새우젓을 푼 국물도 괜찮고,  김치에 돼지고기를 몇 점  넣은 국물도 시원합니다.  김장하고 남은 시래기를 총총 썰어 매운 고추를 몇 쪽 넣은 국물맛도 아침 밥상에 알맞습니다.  전날 저녁 술을  과음한 남편을 위하여 끓여주시는 시원한 북어국이나 오징어국도 그 국물이 참 맛있습니다. 고기가 귀한 시절에는 큰 가마솥에다 미역을 넣고 닭고기를 넣어 끓인 국이 있었는데, 고기는  어쩌다가 찾아볼 수 있었지만 그 국물맛만은 너무 맛있었습니다.  이런 국을 맛있게 먹다가, 국물이 떨어지면 우리  전북 지방에서는 대체로 이렇게 말합니다.

           " 여기 멀국좀 더 주세요."
           " 여그 말국좀 더 주세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 '시냇물'은 '실'+'내'+'물'이 합쳐서 생긴 말 風磬 2007.01.02 3371
45 보은과 속리산 - 속세가 산을 떠나 있네 바람의종 2008.09.02 3366
44 농경 생활 용어 2 - 바람의 고유 이름 바람의종 2008.04.07 3365
43 과메기 바람의종 2008.03.22 3364
42 남원과 춘향 - 여성의 절개, 남성의 절개 바람의종 2008.09.18 3359
41 우리말의 상상력 2 - 1. 백마강, 강릉 바람의종 2009.09.21 3351
40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소리란 무엇인가 바람의종 2010.01.22 3335
39 마산과 무학산 - 가고파의 바다가 보이는 마잿골 바람의종 2008.09.23 3329
38 잃어버린 지명 - 아름다운 이름, 보은단, 고운담 바람의종 2008.06.03 3322
37 우리말의 상상력 1 - 10. 막다른 골목 (1/2) 바람의종 2009.06.17 3313
36 '사냥'은 원래 한자어 風磬 2006.11.14 3311
35 모어에 대한 인식 2 - 낮은 목소리, 짧은 표현 바람의종 2008.04.24 3310
34 안동과 하회 마을 - 제비연에서 물도리동까지 바람의종 2008.09.04 3307
33 몸짓 언어 2 - 가슴으로 하는 말 바람의종 2008.04.15 3305
32 우리말의 애매성 - 너무나 인간적인 언어 바람의종 2008.04.30 3302
31 우리말의 상상력 1 - 9. 겨레와 분화 (1/2) 바람의종 2009.06.15 3301
30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죽령(竹嶺)과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 바람의종 2010.01.19 3301
29 음료수 용어 1 - 꽃 꺽어 산 놓으며 드사이다. 바람의종 2008.03.30 3300
28 우리말 숫자관 - 닫히고 열리기가 골백번 바람의종 2008.04.01 3300
27 상거래 용어 - 에누리와 디스카운트 바람의종 2008.04.02 3298
26 명절, 절후 용어 3 - 외래 명절과 고유 명절 바람의종 2008.04.05 3292
25 농경 생활 용어 1 - 북돋워 주고 헹가래치고 바람의종 2008.04.06 3288
24 음료수 용어 2 - 차 한잔의 여유와 향기 바람의종 2008.03.31 3280
23 농경 생활 용어 3 - 사계의 고유 이름 바람의종 2008.04.08 3279
22 우리말의 상상력 2 - 2. 곰신앙과 땅이름 바람의종 2010.02.07 327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