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235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여기 멀국/말국 좀 주셔요"가 무슨 말인지 아셔요?

  요즘처럼 추운 날씨에는 아침 밥상에 따끈한 국물이 있어야 제격입니다. 콩나물국에 새우젓을 푼 국물도 괜찮고,  김치에 돼지고기를 몇 점  넣은 국물도 시원합니다.  김장하고 남은 시래기를 총총 썰어 매운 고추를 몇 쪽 넣은 국물맛도 아침 밥상에 알맞습니다.  전날 저녁 술을  과음한 남편을 위하여 끓여주시는 시원한 북어국이나 오징어국도 그 국물이 참 맛있습니다. 고기가 귀한 시절에는 큰 가마솥에다 미역을 넣고 닭고기를 넣어 끓인 국이 있었는데, 고기는  어쩌다가 찾아볼 수 있었지만 그 국물맛만은 너무 맛있었습니다.  이런 국을 맛있게 먹다가, 국물이 떨어지면 우리  전북 지방에서는 대체로 이렇게 말합니다.

           " 여기 멀국좀 더 주세요."
           " 여그 말국좀 더 주세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1. '곰'과 '팡이'의 어원을 아셔요?

    Date2006.10.21 By風磬 Views4202
    Read More
  2. '곧다'와 '굳다'에서 나온 '꼿꼿하다'와 '꿋꿋하다'

    Date2006.10.22 By風磬 Views4939
    Read More
  3. 동사는 사라지고 명사만 남은 '기침'의 어원

    Date2006.10.23 By風磬 Views4749
    Read More
  4. '값이 싸다'는 원래 '값이 적당하다'는 뜻

    Date2006.10.24 By風磬 Views3974
    Read More
  5. "구실을 삼다"와 "사람 구실을 못한다"에서

    Date2006.10.25 By風磬 Views4750
    Read More
  6. '아깝다'와 '아끼다'는 연관된 단어

    Date2006.10.26 By風磬 Views4466
    Read More
  7. 생식기 근처에 난 털을 뭐라고 하는지 아셔요?

    Date2006.10.27 By風磬 Views4420
    Read More
  8. '지붕'은 '집'의 '위'란 뜻

    Date2006.10.28 By風磬 Views4616
    Read More
  9. '낮다'의 어간 '낮'에 '-브다'가 붙어 생긴말 --> 나쁘다

    Date2006.10.30 By風磬 Views3807
    Read More
  10. '장아찌'의 어원이 무엇인지 아십니까?

    Date2006.10.31 By風磬 Views4865
    Read More
  11. '찌개'는 '디히개 > 디이개> 지이개 > 지개 > 찌개'로 변화한 말

    Date2006.11.01 By風磬 Views3963
    Read More
  12. '사냥'의 어원에 대한 부연설명

    Date2006.11.02 By風磬 Views4047
    Read More
  13. "영낙없이 지 애비 탁했네" -> "영낙없이 지 애비 닮았네"

    Date2006.11.03 By風磬 Views4606
    Read More
  14. 라면은 살짝 끓여서 물을 버리고 다시 삶아 먹는 것이 좋다는군요.

    Date2006.11.04 By風磬 Views3935
    Read More
  15. '베개'를 전북지방에서는 '비개' '벼개'라고도 합니다.

    Date2006.11.05 By風磬 Views4332
    Read More
  16. '멀국/말국'은 전라도 방언...'국물'이 표준어

    Date2006.11.06 By風磬 Views4235
    Read More
  17. '대리다' '대리미'는 전북 지방의 방언입니다.

    Date2006.11.07 By風磬 Views4781
    Read More
  18. 전북에서는 '생강'을 '시앙/새앙'이라고 말합니다.

    Date2006.11.08 By風磬 Views4008
    Read More
  19. '알타리무'의 표준어는 '총각무'

    Date2006.11.09 By風磬 Views4007
    Read More
  20. '학독'이란 단어의 뜻을 아십니까?

    Date2006.11.10 By風磬 Views4637
    Read More
  21. '새'는 '동쪽'의 의미...'샛별'은 동쪽에 제일 먼저 뜨는 별

    Date2006.11.11 By風磬 Views4619
    Read More
  22. '지렁이'란 단어를 분석하면...

    Date2006.11.13 By風磬 Views3816
    Read More
  23. '사냥'은 원래 한자어

    Date2006.11.14 By風磬 Views3396
    Read More
  24. 아기들이 차는 '기저귀'의 어원은 무엇일까요?

    Date2006.11.15 By風磬 Views4572
    Read More
  25. '다니다'는 원래 '달려 간다'는 뜻

    Date2006.11.16 By風磬 Views4135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