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276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베개'를 전북지방에서는 '비개' '벼개'라고도 합니다.

  잠을 잘 때 베고 자는 것을 '베개'라고  합니다. 그 속에는 쌀겨나 볏짚을 넣어 만든 것이 대부분이었는데, 지금은 스펀지를 넣은 베개가 많습니다.  갓 태어나서 베개를  베기 시작할 때는 대개 조를  넣어 만든 베개를 사용하지만, 나이가 조금 들면 엄마의 팔베개가 더 좋아서 항상 엄마의 팔을 베개 삼아 잠들 때가 많습니다.  전북 지방에서는 이 '베개'를 '비개' 또는 '벼개'라고  하는 분이 많습니다.

        " 아가 비개 잘 비고 자거라이."
        " 비개를 잘 비고 자야지 그라느먼 목이 아푸당게."

  이처럼 '베개'를 '비개'라고 쓰는 이유는 '베다'라는 동사를 전북 지방에서는 '비다'라고 쓰기 때문입니다. 동사의 어간 '비-'에 명사를 만드는 접미사인 '-개'를 붙여 '비개'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베개를 베다'라고 하지 않고 '비개를 빈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표준어로는 '베개'가 맞습니다.  베개는 건강에 아주  중요한 물건입니다. 오늘 밤 베고 자는 '베개'가 몸에 비해 너무 높지 않은지 살펴 보십시오.  '비개'는 전북 방언이라는 사실도 잊지 마시고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6 우리말의 상상력 1 - 7. 아이와 알 바람의종 2009.05.30 3571
195 바느질 용어 - 깁고, 박고, 호고, 공그르고 바람의종 2008.03.25 3579
194 '무좀'의 '좀'은 벌레이름...'좀도둑'의 '좀'은 '조금'의 준말 風磬 2006.12.30 3587
193 우리말의 상상력 1 - 8. 힘과 해 (1/2) 바람의종 2009.05.31 3595
192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임과 해우러름 바람의종 2009.10.27 3598
191 식기 용어 - 뚝배기보다는 장맛 바람의종 2008.03.28 3599
190 '원숭이'를 '잔나비'라고 하는 까닭을 아셔요? 風磬 2006.12.20 3603
189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2/4) 바람의종 2009.05.04 3616
188 우리말의 상상력 1 - 5. 물의 순환 (2/2) 바람의종 2009.05.26 3619
187 우리말의 상상력 2 - 1. 금강(錦江), 그 영원한 어머니 바람의종 2009.07.10 3620
186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스승은 거룩한 교황 바람의종 2009.10.28 3623
185 '눈꼽'의 '꼽'은 원래 '곱'...'곱'은 '기름'이란 뜻 風磬 2006.10.19 3624
184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옛 조선의 맥, 춘천 바람의종 2009.11.03 3629
183 여성의 이름 - 언년이, 영자, 정숙, 한송이 바람의종 2008.07.21 3631
182 '마땅하다'는 고유어에 한자어가 붙어서 생긴 말 바람의종 2007.01.24 3645
181 '우물'은 '움물'에서 나온 말. 곧 '움'에서 나오는 '물' 風磬 2006.12.19 3657
180 우리말의 상상력- 3. 밥이 하늘 바람의종 2010.02.12 3658
179 우리말의 상상력- 3. 옷이 날개인가 / 겨레와 한 몸 되기 바람의종 2010.02.15 3661
178 우리말의 상상력 1 - 12. 울림과 진실 (1/3) 바람의종 2009.07.06 3666
177 우리말의 상상력 2 - 2. 달홀(達忽)과 가라홀(加羅忽)의 어우름 바람의종 2010.01.26 3668
176 우리말의 상상력 2 - 1. 낙동강과 가야 바람의종 2009.07.13 3670
175 말의 어원 - "말"이라는 말의 뿌리 바람의종 2008.04.21 3674
174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조선의 소리 보람 바람의종 2009.11.08 3674
173 '성냥'은 원래 한자어...'석뉴황'이 음운변화를 겪은 것 風磬 2007.01.17 3694
172 우리의 미의식 2 - "안 미인"과 "못 미인" 바람의종 2008.04.19 369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