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라면은 살짝 끓여서 물을 버리고 다시 삶아 먹는 것이 좋다는군요.

  '라면'은 간식으로  많이 먹는 식품입니다. 어떤  어린이는 아침부터 라면을 먹는 아이도 있다고 합니다. 88 올림픽 때, 미국 선수들이 라면을 무척 즐겼다고 들었습니다.   이 '라면'은 흔히  일본어에서 온 것으로 알고들  있습니다만, 사전을 통해서 보면, 중국어에서 온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한자어로 '손  수 변'에 '설 입'자를 쓴 '랍'자에  '국수면'자를 써서 '랍면'으로 되어 있습니다. '납치하다'의 단어에서 쓰는 '납'자와 같습니다.

  이 한자어  '랍면'은 중국어로 'lamien'으로 읽습니다.  일본에서는 '라-멩'이라고 하는데, '라'를 발음할 때 길게 합니다. 이 발음 역시 중국어와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중국어에서 온 것으로 보입니다.  라면은 기름에 튀기는 음식이기 때문에 오래 지나면  기름이 부패하게 되어  건강에 좋지 않습니다. 끓여 드실 때,  살짝 끓여서 물을 버리고 다시 삶아 먹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조금 힘이 들지만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1. No Image 19Apr
    by 바람의종
    2008/04/19 by 바람의종
    Views 3787 

    우리의 미의식 2 - "안 미인"과 "못 미인"

  2. No Image 17Jan
    by 風磬
    2007/01/17 by 風磬
    Views 3791 

    '성냥'은 원래 한자어...'석뉴황'이 음운변화를 겪은 것

  3. No Image 02Jun
    by 바람의종
    2008/06/02 by 바람의종
    Views 3794 

    지명어의 작명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4. No Image 04Dec
    by 風磬
    2006/12/04 by 風磬
    Views 3808 

    '한 살'의 '살'과 '설날'의 '설'은 어떤 관계일까요?

  5. No Image 24Mar
    by 바람의종
    2008/03/24 by 바람의종
    Views 3828 

    생사용어 - 삶과 죽음의 언어

  6. No Image 06Oct
    by 바람의종
    2009/10/06 by 바람의종
    Views 3828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어머니와 곰신앙

  7. No Image 14Jul
    by 바람의종
    2009/07/14 by 바람의종
    Views 3829 

    우리말의 상상력 2 - 1. 가장 크고 좋은 강, 한강(韓江)

  8. No Image 27Mar
    by 바람의종
    2008/03/27 by 바람의종
    Views 3836 

    여성용 의상어 - 아얌과 배꼽티

  9. No Image 24Jul
    by 바람의종
    2008/07/24 by 바람의종
    Views 3838 

    어느 여인의 이름 - 최초로 이 땅에 시집 온 여인

  10. No Image 13Nov
    by 風磬
    2006/11/13 by 風磬
    Views 3842 

    '지렁이'란 단어를 분석하면...

  11. No Image 01Jan
    by 風磬
    2007/01/01 by 風磬
    Views 3851 

    식사 후 "양이 찼느냐?"에서 '양'은 '위장'의 '위'에 해당하는 토박이말

  12. No Image 03Jan
    by 風磬
    2007/01/03 by 風磬
    Views 3853 

    '여자무당' -> '임금의 선생님' -> '스승'으로 의미 변화

  13. No Image 30Oct
    by 風磬
    2006/10/30 by 風磬
    Views 3861 

    '낮다'의 어간 '낮'에 '-브다'가 붙어 생긴말 --> 나쁘다

  14. No Image 31Dec
    by 風磬
    2006/12/31 by 風磬
    Views 3864 

    '결혼하다'와 '혼인하다'는 본래 다른 뜻이었습니다

  15. No Image 15May
    by 바람의종
    2009/05/15 by 바람의종
    Views 3874 

    우리말의 상상력 1 - 3. 풀과 목숨 (2/2)

  16. No Image 28Apr
    by 바람의종
    2008/04/28 by 바람의종
    Views 3875 

    우리말 사랑 3 - 개화와 세계화

  17. No Image 26Apr
    by 바람의종
    2008/04/26 by 바람의종
    Views 3882 

    우리말 사랑 1 - 손때의 의미

  18. No Image 29Dec
    by 風磬
    2006/12/29 by 風磬
    Views 3887 

    '곶감'은 꼬챙이에 꽂아서 말린 감

  19. No Image 25May
    by 바람의종
    2009/05/25 by 바람의종
    Views 3891 

    우리말의 상상력 1 - 5. 물의 순환 (1/2)

  20. No Image 03Apr
    by 바람의종
    2008/04/03 by 바람의종
    Views 3900 

    명절, 절후 용어 1 - 어정 칠월 동동 팔월

  21. No Image 29May
    by 바람의종
    2008/05/29 by 바람의종
    Views 3914 

    지명 속담 - 보은 아가씨 추석비에 운다

  22. No Image 08May
    by 바람의종
    2008/05/08 by 바람의종
    Views 3918 

    가족 호칭어 - 며느리와 새아기

  23. No Image 09Feb
    by 바람의종
    2010/02/09 by 바람의종
    Views 3933 

    우리말의 상상력- 3. 목숨과 어우르기 / 술

  24. No Image 22Jan
    by 바람의종
    2007/01/22 by 바람의종
    Views 3938 

    '노래' '놀이' '노름'은 한 가지에서 나온 단어

  25. No Image 08Jul
    by 바람의종
    2009/07/08 by 바람의종
    Views 3953 

    우리말의 상상력 1 - 12. 울림과 진실 (3/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