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956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냥'의 어원에 대한 부연설명

  사냥이라는 고유어가 있었는데, 이것을 견강부회식으로 한자의 산행으로 쓴 것에서, 곧잘 '사냥'을 '산행'에서 비롯되었다고 하는 설도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사냥'을 '사'(아래 아자)에다가 '양'이  붙은 것으로 보는 사람도  있습니다. 즉 즉 '산(아래 아자)'은 '사나이'를 말하고 '양'은  모양을 뜻하는 것이라는 그럴 듯한 말도 합니다.  만약에 '사냥'이  고유어로 쓰인 것이었다면, 문헌에 한번이라도 등장하여야 하겠는데, 제가 찾아 본 15-19세기의 문헌에서는 거의  대부분이 '산행'으로 되어 있고,  어휘자료집을 보면  역시 '산행'으로부터 비롯되었다는 글이 있습니다.  여기에 학술적으로 어렵게 써서, 여러 사람들이 국어의 어원풀이를 지겹다고 생각할까 보아서, 여기에서는 문헌자료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지 않고 있습니다. 한 가지  용비어천가 마지막 장에 '산행 가 이셔 하나빌 미드니잇가'라는 글을 연상하시기 바랍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6 우리말 사랑 3 - 개화와 세계화 바람의종 2008.04.28 3721
145 우리말 사랑 2 - 부끄러움이 자랑스러움으로 바람의종 2008.04.27 3668
144 우리말 사랑 1 - 손때의 의미 바람의종 2008.04.26 3758
143 모어에 대한 인식 3 - 언어와 민족, 그리고 문화 바람의종 2008.04.25 3935
142 모어에 대한 인식 2 - 낮은 목소리, 짧은 표현 바람의종 2008.04.24 3283
141 모어에 대한 인식 1 - 말 속에 담긴 것 바람의종 2008.04.23 3221
140 글의 어원 - "긋다"에서 그리움까지 바람의종 2008.04.22 3233
139 말의 어원 - "말"이라는 말의 뿌리 바람의종 2008.04.21 3633
138 미각어의 다양성 - 달짝지근하고 달콤새콤하고 바람의종 2008.04.20 3858
137 우리의 미의식 2 - "안 미인"과 "못 미인" 바람의종 2008.04.19 3660
136 우리의 미의식 1 - 작은 것, 아름다운 것 바람의종 2008.04.17 3430
135 몸짓 언어 3 - 입으로 하는 또다른 말 바람의종 2008.04.16 4764
134 몸짓 언어 2 - 가슴으로 하는 말 바람의종 2008.04.15 3286
133 몸짓 언어 1 - 눈으로 하는 말 바람의종 2008.04.14 3186
132 주술적 용어 3 - "고시"는 가까이, 잡귀는 물러가라 바람의종 2008.04.13 4284
131 주술적 용어 2 - 고마워하고 비는 기원의 말 바람의종 2008.04.10 4200
130 주술적 용어 1 - 끼, 그 가능성의 유전자 바람의종 2008.04.09 4082
129 농경 생활 용어 3 - 사계의 고유 이름 바람의종 2008.04.08 3267
128 농경 생활 용어 2 - 바람의 고유 이름 바람의종 2008.04.07 3361
127 농경 생활 용어 1 - 북돋워 주고 헹가래치고 바람의종 2008.04.06 3276
126 명절, 절후 용어 3 - 외래 명절과 고유 명절 바람의종 2008.04.05 3262
125 명절, 절후 용어 2 - 한가위, 수릿날 아으 동동다리 바람의종 2008.04.04 3479
124 명절, 절후 용어 1 - 어정 칠월 동동 팔월 바람의종 2008.04.03 3788
123 상거래 용어 - 에누리와 디스카운트 바람의종 2008.04.02 3266
122 우리말 숫자관 - 닫히고 열리기가 골백번 바람의종 2008.04.01 32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