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103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냥'의 어원에 대한 부연설명

  사냥이라는 고유어가 있었는데, 이것을 견강부회식으로 한자의 산행으로 쓴 것에서, 곧잘 '사냥'을 '산행'에서 비롯되었다고 하는 설도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사냥'을 '사'(아래 아자)에다가 '양'이  붙은 것으로 보는 사람도  있습니다. 즉 즉 '산(아래 아자)'은 '사나이'를 말하고 '양'은  모양을 뜻하는 것이라는 그럴 듯한 말도 합니다.  만약에 '사냥'이  고유어로 쓰인 것이었다면, 문헌에 한번이라도 등장하여야 하겠는데, 제가 찾아 본 15-19세기의 문헌에서는 거의  대부분이 '산행'으로 되어 있고,  어휘자료집을 보면  역시 '산행'으로부터 비롯되었다는 글이 있습니다.  여기에 학술적으로 어렵게 써서, 여러 사람들이 국어의 어원풀이를 지겹다고 생각할까 보아서, 여기에서는 문헌자료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지 않고 있습니다. 한 가지  용비어천가 마지막 장에 '산행 가 이셔 하나빌 미드니잇가'라는 글을 연상하시기 바랍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1. 미각어의 다양성 - 달짝지근하고 달콤새콤하고

    Date2008.04.20 By바람의종 Views3976
    Read More
  2. '숨바꼭질'의 '숨'은 '숨 쉬다'의 '숨'...'숨 + 바꿈 + 질'

    Date2006.12.27 By風磬 Views3979
    Read More
  3. 23. '낭떠러지'와 '벼랑'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Date2006.10.18 By風磬 Views3983
    Read More
  4. 라면은 살짝 끓여서 물을 버리고 다시 삶아 먹는 것이 좋다는군요.

    Date2006.11.04 By風磬 Views3998
    Read More
  5. 지리산과 섬진강 - 노고단 밑으로 달래강이 흐르고

    Date2008.09.20 By바람의종 Views4001
    Read More
  6. '찌개'는 '디히개 > 디이개> 지이개 > 지개 > 찌개'로 변화한 말

    Date2006.11.01 By風磬 Views4009
    Read More
  7. '알타리무'의 표준어는 '총각무'

    Date2006.11.09 By風磬 Views4036
    Read More
  8. '값이 싸다'는 원래 '값이 적당하다'는 뜻

    Date2006.10.24 By風磬 Views4037
    Read More
  9. 서울의 어원

    Date2009.08.01 By바람의종 Views4044
    Read More
  10. 모어에 대한 인식 3 - 언어와 민족, 그리고 문화

    Date2008.04.25 By바람의종 Views4056
    Read More
  11. 탄천과 동방삭 - 수청과 탄천

    Date2008.08.04 By바람의종 Views4071
    Read More
  12. 전북에서는 '생강'을 '시앙/새앙'이라고 말합니다.

    Date2006.11.08 By風磬 Views4073
    Read More
  13. 우리말의 상상력 2 - 1. 횡성, 금호

    Date2009.09.27 By바람의종 Views4078
    Read More
  14. 망나니 호칭 - 지존이 무상하다

    Date2008.05.12 By바람의종 Views4080
    Read More
  15. 해남과 두륜산 - 종착지가 아닌 시발지

    Date2008.09.25 By바람의종 Views4083
    Read More
  16. 부위별 고기 명칭 - 아롱사태의 그 은밀한 맛

    Date2008.03.29 By바람의종 Views4084
    Read More
  17. 우리말의 상상력 2 - 1. 압록강과 오리

    Date2009.07.12 By바람의종 Views4086
    Read More
  18. '사냥'의 어원에 대한 부연설명

    Date2006.11.02 By風磬 Views4103
    Read More
  19. 영암과 월출산 - 달래골에서 만나는 두 성인

    Date2008.09.19 By바람의종 Views4103
    Read More
  20. '귀고리'는 귀에 거는 '고리'...'귀거리'는 틀린 말

    Date2007.01.10 By風磬 Views4146
    Read More
  21. 황지와 태백산 - 밝은 뫼에서 솟는 시원의 샘

    Date2008.08.19 By바람의종 Views4146
    Read More
  22. '곡식 한 말을 수확할 수 있는 땅' --> '한 마지기'

    Date2006.10.20 By風磬 Views4154
    Read More
  23. 우리말 사랑 4 - 신토불이와 토사구팽

    Date2008.04.29 By바람의종 Views4161
    Read More
  24. 전철역의 이름 - 향토색 짙은 서울 역명

    Date2008.06.24 By바람의종 Views4173
    Read More
  25. '다니다'는 원래 '달려 간다'는 뜻

    Date2006.11.16 By風磬 Views4179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