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860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장아찌'의 어원이 무엇인지 아십니까?

  먼저 '지'를 말씀드려서 '지'를 아셨으니, 이젠 '장아찌'를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이 '장아찌'는 옛날부터 쓰이던 것이었는데, 이때의 '찌'가 무엇인지는 위의 설명에서 이미 아셨을 것입니다.  즉 '간에  저린 채소'를 '디히'라고 했는데,  이것이 '지'로 변하고, 이 '지'가 된소리로 되면 '찌'가 됨은 잘 아실 것입니다. 그러면 '장아'는 무엇일까요?

  이때의 '장아'는 한자어입니다. 옛날 문헌에는 '장아찌'를 '장앳디히'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니까 '장' + 애(처소를 나타내는 처격 조사, 오늘날의 '-에'에  해당합니다) + 시옷'으로 되어 있는 것이었지요. 그래서 그 뜻은 '장(간장, 된장, 고추장)에 담근 채소'를 말하는 것입니다. 이  '장앳디히'가 변화하여서 '장앗디히, 장앗지이'로 되고  이것이 오늘날 '장아찌'가 된 것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1. '곰'과 '팡이'의 어원을 아셔요?

    Date2006.10.21 By風磬 Views4192
    Read More
  2. '곧다'와 '굳다'에서 나온 '꼿꼿하다'와 '꿋꿋하다'

    Date2006.10.22 By風磬 Views4939
    Read More
  3. 동사는 사라지고 명사만 남은 '기침'의 어원

    Date2006.10.23 By風磬 Views4747
    Read More
  4. '값이 싸다'는 원래 '값이 적당하다'는 뜻

    Date2006.10.24 By風磬 Views3974
    Read More
  5. "구실을 삼다"와 "사람 구실을 못한다"에서

    Date2006.10.25 By風磬 Views4746
    Read More
  6. '아깝다'와 '아끼다'는 연관된 단어

    Date2006.10.26 By風磬 Views4462
    Read More
  7. 생식기 근처에 난 털을 뭐라고 하는지 아셔요?

    Date2006.10.27 By風磬 Views4418
    Read More
  8. '지붕'은 '집'의 '위'란 뜻

    Date2006.10.28 By風磬 Views4609
    Read More
  9. '낮다'의 어간 '낮'에 '-브다'가 붙어 생긴말 --> 나쁘다

    Date2006.10.30 By風磬 Views3805
    Read More
  10. '장아찌'의 어원이 무엇인지 아십니까?

    Date2006.10.31 By風磬 Views4860
    Read More
  11. '찌개'는 '디히개 > 디이개> 지이개 > 지개 > 찌개'로 변화한 말

    Date2006.11.01 By風磬 Views3963
    Read More
  12. '사냥'의 어원에 대한 부연설명

    Date2006.11.02 By風磬 Views4043
    Read More
  13. "영낙없이 지 애비 탁했네" -> "영낙없이 지 애비 닮았네"

    Date2006.11.03 By風磬 Views4604
    Read More
  14. 라면은 살짝 끓여서 물을 버리고 다시 삶아 먹는 것이 좋다는군요.

    Date2006.11.04 By風磬 Views3935
    Read More
  15. '베개'를 전북지방에서는 '비개' '벼개'라고도 합니다.

    Date2006.11.05 By風磬 Views4330
    Read More
  16. '멀국/말국'은 전라도 방언...'국물'이 표준어

    Date2006.11.06 By風磬 Views4231
    Read More
  17. '대리다' '대리미'는 전북 지방의 방언입니다.

    Date2006.11.07 By風磬 Views4776
    Read More
  18. 전북에서는 '생강'을 '시앙/새앙'이라고 말합니다.

    Date2006.11.08 By風磬 Views4008
    Read More
  19. '알타리무'의 표준어는 '총각무'

    Date2006.11.09 By風磬 Views4005
    Read More
  20. '학독'이란 단어의 뜻을 아십니까?

    Date2006.11.10 By風磬 Views4635
    Read More
  21. '새'는 '동쪽'의 의미...'샛별'은 동쪽에 제일 먼저 뜨는 별

    Date2006.11.11 By風磬 Views4614
    Read More
  22. '지렁이'란 단어를 분석하면...

    Date2006.11.13 By風磬 Views3812
    Read More
  23. '사냥'은 원래 한자어

    Date2006.11.14 By風磬 Views3391
    Read More
  24. 아기들이 차는 '기저귀'의 어원은 무엇일까요?

    Date2006.11.15 By風磬 Views4563
    Read More
  25. '다니다'는 원래 '달려 간다'는 뜻

    Date2006.11.16 By風磬 Views4135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