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707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낮다'의 어간 '낮'에 '-브다'가 붙어 생긴말 --> 나쁘다

  '좋다'에 대립어로 쓰고 있는 '나쁘다'는  어떻게 생겼을까요? 어디 어림짐작이라도 해 보시지요? 아마 생각이 나지 않으실 겁니다. 왜냐 하면 옛날의 형태에 비해 너무 많이 변했거든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나쁘다'는 '높다'의 대립어인 '낮다'의 어간 '낮'에 접미사인 '-브다'가 붙어서 생긴 말입니다. 그러니까 '낮 + 브다'가  '낫브다'로  쓰이다가  이것이 '낫'의 '시옷' 때문에 '비읍'이 된소리가 되어서 '나쁘다'가 된 것입니다.

  원래의  뜻은 '부족하다'는  뜻이었습니다. '좋지  않다'는 뜻으로 변화한 것은 18세기 이후입니다. 17세기까지만  하더라도, '부족하다'는 뜻으로  사용되었었지요. 그래서 '잠이 낫브다, 옷 과 밥이 낫브다' 등으로 쓰이었던 것입니다.

  이렇게 접미사 '-브다'가   붙어서 된 단어가  여럿 있습니다. '예쁘다,  '예쁘다, 바쁘다,  가쁘다, 어여쁘다,  누우쁘다, 기쁘다,  미쁘다' 등이  여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1. '새'는 '동쪽'의 의미...'샛별'은 동쪽에 제일 먼저 뜨는 별

    Date2006.11.11 By風磬 Views4520
    Read More
  2. '학독'이란 단어의 뜻을 아십니까?

    Date2006.11.10 By風磬 Views4524
    Read More
  3. '알타리무'의 표준어는 '총각무'

    Date2006.11.09 By風磬 Views3949
    Read More
  4. 전북에서는 '생강'을 '시앙/새앙'이라고 말합니다.

    Date2006.11.08 By風磬 Views3912
    Read More
  5. '대리다' '대리미'는 전북 지방의 방언입니다.

    Date2006.11.07 By風磬 Views4687
    Read More
  6. '멀국/말국'은 전라도 방언...'국물'이 표준어

    Date2006.11.06 By風磬 Views4185
    Read More
  7. '베개'를 전북지방에서는 '비개' '벼개'라고도 합니다.

    Date2006.11.05 By風磬 Views4250
    Read More
  8. 라면은 살짝 끓여서 물을 버리고 다시 삶아 먹는 것이 좋다는군요.

    Date2006.11.04 By風磬 Views3836
    Read More
  9. "영낙없이 지 애비 탁했네" -> "영낙없이 지 애비 닮았네"

    Date2006.11.03 By風磬 Views4529
    Read More
  10. '사냥'의 어원에 대한 부연설명

    Date2006.11.02 By風磬 Views3967
    Read More
  11. '찌개'는 '디히개 > 디이개> 지이개 > 지개 > 찌개'로 변화한 말

    Date2006.11.01 By風磬 Views3924
    Read More
  12. '장아찌'의 어원이 무엇인지 아십니까?

    Date2006.10.31 By風磬 Views4765
    Read More
  13. '낮다'의 어간 '낮'에 '-브다'가 붙어 생긴말 --> 나쁘다

    Date2006.10.30 By風磬 Views3707
    Read More
  14. '지붕'은 '집'의 '위'란 뜻

    Date2006.10.28 By風磬 Views4496
    Read More
  15. 생식기 근처에 난 털을 뭐라고 하는지 아셔요?

    Date2006.10.27 By風磬 Views4331
    Read More
  16. '아깝다'와 '아끼다'는 연관된 단어

    Date2006.10.26 By風磬 Views4384
    Read More
  17. "구실을 삼다"와 "사람 구실을 못한다"에서

    Date2006.10.25 By風磬 Views4595
    Read More
  18. '값이 싸다'는 원래 '값이 적당하다'는 뜻

    Date2006.10.24 By風磬 Views3896
    Read More
  19. 동사는 사라지고 명사만 남은 '기침'의 어원

    Date2006.10.23 By風磬 Views4676
    Read More
  20. '곧다'와 '굳다'에서 나온 '꼿꼿하다'와 '꿋꿋하다'

    Date2006.10.22 By風磬 Views4796
    Read More
  21. '곰'과 '팡이'의 어원을 아셔요?

    Date2006.10.21 By風磬 Views4092
    Read More
  22. '곡식 한 말을 수확할 수 있는 땅' --> '한 마지기'

    Date2006.10.20 By風磬 Views3954
    Read More
  23. '눈꼽'의 '꼽'은 원래 '곱'...'곱'은 '기름'이란 뜻

    Date2006.10.19 By風磬 Views3552
    Read More
  24. 23. '낭떠러지'와 '벼랑'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Date2006.10.18 By風磬 Views3794
    Read More
  25. 22. '온갖'은 '수적으로 전부의 종류'란 뜻

    Date2006.10.11 By風磬 Views4152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