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735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낮다'의 어간 '낮'에 '-브다'가 붙어 생긴말 --> 나쁘다

  '좋다'에 대립어로 쓰고 있는 '나쁘다'는  어떻게 생겼을까요? 어디 어림짐작이라도 해 보시지요? 아마 생각이 나지 않으실 겁니다. 왜냐 하면 옛날의 형태에 비해 너무 많이 변했거든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나쁘다'는 '높다'의 대립어인 '낮다'의 어간 '낮'에 접미사인 '-브다'가 붙어서 생긴 말입니다. 그러니까 '낮 + 브다'가  '낫브다'로  쓰이다가  이것이 '낫'의 '시옷' 때문에 '비읍'이 된소리가 되어서 '나쁘다'가 된 것입니다.

  원래의  뜻은 '부족하다'는  뜻이었습니다. '좋지  않다'는 뜻으로 변화한 것은 18세기 이후입니다. 17세기까지만  하더라도, '부족하다'는 뜻으로  사용되었었지요. 그래서 '잠이 낫브다, 옷 과 밥이 낫브다' 등으로 쓰이었던 것입니다.

  이렇게 접미사 '-브다'가   붙어서 된 단어가  여럿 있습니다. '예쁘다,  '예쁘다, 바쁘다,  가쁘다, 어여쁘다,  누우쁘다, 기쁘다,  미쁘다' 등이  여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1. No Image 22Jun
    by 바람의종
    2008/06/22 by 바람의종
    Views 3685 

    신도시의 이름 - 일산과 김정숙군

  2. No Image 02Jun
    by 바람의종
    2008/06/02 by 바람의종
    Views 3698 

    지명어의 작명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3. No Image 27Apr
    by 바람의종
    2008/04/27 by 바람의종
    Views 3704 

    우리말 사랑 2 - 부끄러움이 자랑스러움으로

  4. No Image 14Jul
    by 바람의종
    2009/07/14 by 바람의종
    Views 3726 

    우리말의 상상력 2 - 1. 가장 크고 좋은 강, 한강(韓江)

  5. No Image 30Oct
    by 風磬
    2006/10/30 by 風磬
    Views 3735 

    '낮다'의 어간 '낮'에 '-브다'가 붙어 생긴말 --> 나쁘다

  6. No Image 04Dec
    by 風磬
    2006/12/04 by 風磬
    Views 3736 

    '한 살'의 '살'과 '설날'의 '설'은 어떤 관계일까요?

  7. No Image 24Mar
    by 바람의종
    2008/03/24 by 바람의종
    Views 3737 

    생사용어 - 삶과 죽음의 언어

  8. No Image 13Nov
    by 風磬
    2006/11/13 by 風磬
    Views 3741 

    '지렁이'란 단어를 분석하면...

  9. No Image 06Oct
    by 바람의종
    2009/10/06 by 바람의종
    Views 3741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어머니와 곰신앙

  10. No Image 27Mar
    by 바람의종
    2008/03/27 by 바람의종
    Views 3744 

    여성용 의상어 - 아얌과 배꼽티

  11. No Image 31Dec
    by 風磬
    2006/12/31 by 風磬
    Views 3747 

    '결혼하다'와 '혼인하다'는 본래 다른 뜻이었습니다

  12. No Image 15May
    by 바람의종
    2009/05/15 by 바람의종
    Views 3756 

    우리말의 상상력 1 - 3. 풀과 목숨 (2/2)

  13. No Image 24Jul
    by 바람의종
    2008/07/24 by 바람의종
    Views 3758 

    어느 여인의 이름 - 최초로 이 땅에 시집 온 여인

  14. No Image 28Apr
    by 바람의종
    2008/04/28 by 바람의종
    Views 3762 

    우리말 사랑 3 - 개화와 세계화

  15. No Image 01Jan
    by 風磬
    2007/01/01 by 風磬
    Views 3775 

    식사 후 "양이 찼느냐?"에서 '양'은 '위장'의 '위'에 해당하는 토박이말

  16. No Image 03Jan
    by 風磬
    2007/01/03 by 風磬
    Views 3778 

    '여자무당' -> '임금의 선생님' -> '스승'으로 의미 변화

  17. No Image 25May
    by 바람의종
    2009/05/25 by 바람의종
    Views 3781 

    우리말의 상상력 1 - 5. 물의 순환 (1/2)

  18. No Image 26Apr
    by 바람의종
    2008/04/26 by 바람의종
    Views 3788 

    우리말 사랑 1 - 손때의 의미

  19. No Image 29Dec
    by 風磬
    2006/12/29 by 風磬
    Views 3789 

    '곶감'은 꼬챙이에 꽂아서 말린 감

  20. No Image 29May
    by 바람의종
    2008/05/29 by 바람의종
    Views 3821 

    지명 속담 - 보은 아가씨 추석비에 운다

  21. No Image 18Oct
    by 風磬
    2006/10/18 by 風磬
    Views 3825 

    23. '낭떠러지'와 '벼랑'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22. No Image 03Apr
    by 바람의종
    2008/04/03 by 바람의종
    Views 3825 

    명절, 절후 용어 1 - 어정 칠월 동동 팔월

  23. No Image 20Sep
    by 바람의종
    2008/09/20 by 바람의종
    Views 3838 

    지리산과 섬진강 - 노고단 밑으로 달래강이 흐르고

  24. No Image 27Dec
    by 風磬
    2006/12/27 by 風磬
    Views 3840 

    '숨바꼭질'의 '숨'은 '숨 쉬다'의 '숨'...'숨 + 바꿈 + 질'

  25. No Image 09Feb
    by 바람의종
    2010/02/09 by 바람의종
    Views 3846 

    우리말의 상상력- 3. 목숨과 어우르기 / 술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