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601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지붕'은 '집'의 '위'란 뜻

  집이 있으면 '지붕'이 있게 미련이지요. 이 '지붕'은 분명히 '집+웅'으로 분석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집'의 뜻은 알겠지만, '웅'이 무엇인지 이해하시기 어려울 것입니다.
   이 '지붕'은 옛말에서는 '집 우(히읗 받침이 있습니다)'이었습니다. '우'는 '위'라는 뜻입니다. '우'는 소위 '히읗 종성체언'이라고 하는 단어입니다. 이렇게 '히읗'을 가지고 있던 단어가  '이응'으로 변한 단어들이 꽤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오늘날은 '종이'라고 하는 단어는 옛말에서는 '조(모이 '요'임)희'였지요. 그리고 지난 번에 말씀드린 '바위'는 '바회'였었는데, '방구'라는 말로 변한 방언도 있습니다.

  '지붕'은 '집'의 '위'란 뜻입니다.  옛날에는, 아니 제가 어렸을 때에도 이가 빠지면 이를 지붕에 던졌었는데, 오늘날 아파트에 살고 계신 분은 던질 지붕도 없지 않을까요?  워낙 지붕이 높아서 어디 던질 생각이나 내겠습니까?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1. No Image 21Nov
    by 風磬
    2006/11/21 by 風磬
    Views 4477 

    '참꽃'은 사람이 먹을 수 있는 진달래꽃

  2. No Image 01Nov
    by 風磬
    2006/11/01 by 風磬
    Views 3960 

    '찌개'는 '디히개 > 디이개> 지이개 > 지개 > 찌개'로 변화한 말

  3. No Image 19Nov
    by 風磬
    2006/11/19 by 風磬
    Views 4697 

    '집사람'은 본래 '가족'이란 뜻

  4. No Image 23Jan
    by 바람의종
    2007/01/23 by 바람의종
    Views 4405 

    '지치다'는 원래 '설사하다'라는 의미

  5. No Image 20Jan
    by 風磬
    2007/01/20 by 風磬
    Views 4771 

    '지아비' '지어미'의 '지'는 '집'...곧 '집아비, 집어미'의 뜻

  6. No Image 28Oct
    by 風磬
    2006/10/28 by 風磬
    Views 4601 

    '지붕'은 '집'의 '위'란 뜻

  7. No Image 13Nov
    by 風磬
    2006/11/13 by 風磬
    Views 3809 

    '지렁이'란 단어를 분석하면...

  8. No Image 31Oct
    by 風磬
    2006/10/31 by 風磬
    Views 4848 

    '장아찌'의 어원이 무엇인지 아십니까?

  9. No Image 07Sep
    by 風磬
    2006/09/07 by 風磬
    Views 4849 

    '자유'는 일본어에서 온 말이 아니라 중국의 '백화문'에서 온 말

  10. No Image 20Dec
    by 風磬
    2006/12/20 by 風磬
    Views 3626 

    '원숭이'를 '잔나비'라고 하는 까닭을 아셔요?

  11. No Image 19Dec
    by 風磬
    2006/12/19 by 風磬
    Views 3675 

    '우물'은 '움물'에서 나온 말. 곧 '움'에서 나오는 '물'

  12. No Image 05Dec
    by 風磬
    2006/12/05 by 風磬
    Views 4263 

    '우두머리'는 옛날에는 비칭이 아니라 평칭이었습니다.

  13. No Image 13Dec
    by 風磬
    2006/12/13 by 風磬
    Views 4653 

    '옛날 옛적 고리짝에'는 '옛날 옛적 고려 적에'의 뜻

  14. No Image 03Jan
    by 風磬
    2007/01/03 by 風磬
    Views 3817 

    '여자무당' -> '임금의 선생님' -> '스승'으로 의미 변화

  15. No Image 21Jan
    by 風磬
    2007/01/21 by 風磬
    Views 6535 

    '얼우-'+'는'(성교하다) --> '얼운'...'어른'은 혼인한 사람

  16. No Image 10Dec
    by 風磬
    2006/12/10 by 風磬
    Views 4862 

    '양치질'은 양지(버드나무 가지)에 접미사 '질'이 붙은 것

  17. No Image 11Dec
    by 風磬
    2006/12/11 by 風磬
    Views 4278 

    '양말'의 ‘말’은 한자의 '버선 말'자...여기에 '서양 양'이 붙은 것입니다.

  18. No Image 09Nov
    by 風磬
    2006/11/09 by 風磬
    Views 3994 

    '알타리무'의 표준어는 '총각무'

  19. No Image 26Oct
    by 風磬
    2006/10/26 by 風磬
    Views 4454 

    '아깝다'와 '아끼다'는 연관된 단어

  20. No Image 07Sep
    by 風磬
    2006/09/07 by 風磬
    Views 4800 

    '씨름'은 옛말 '힐후다'에서 나온 말

  21. No Image 02Jan
    by 風磬
    2007/01/02 by 風磬
    Views 3433 

    '시냇물'은 '실'+'내'+'물'이 합쳐서 생긴 말

  22. No Image 27Dec
    by 風磬
    2006/12/27 by 風磬
    Views 3865 

    '숨바꼭질'의 '숨'은 '숨 쉬다'의 '숨'...'숨 + 바꿈 + 질'

  23. No Image 07Sep
    by 風磬
    2006/09/07 by 風磬
    Views 4693 

    '수저'는 '숫가락'과 '젓가락'이 쳐진 말

  24. No Image 17Jan
    by 風磬
    2007/01/17 by 風磬
    Views 3731 

    '성냥'은 원래 한자어...'석뉴황'이 음운변화를 겪은 것

  25. No Image 11Nov
    by 風磬
    2006/11/11 by 風磬
    Views 4613 

    '새'는 '동쪽'의 의미...'샛별'은 동쪽에 제일 먼저 뜨는 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