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763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28. 동사는 사라지고 명사만 남은 '기침'의 어원

  감기가 심하게  들면 고통스럽지요. 저는 늘 감기 때문에 고생을 한답니다. 감기하고  같이 살지요.  그래서 제 처가 걱정을 태산같이 합니다. 제  처는 농담으로, 저에게 이혼당할까 전전긍긍 한다고  합니다. 제가 감기하고  혼인을 할까 보아서 하는 소리입니다. 감기가 혼인식은 안 했지만, 꼭  저하고 동거하고 있으니까요.  그것도 잠시도 저하고 떨어지려고 하지 않으니까 하는  농담입니다. 금년에는 꼭 감기하고 별거를 해야 하겠습니다. 

  객적은 소리 그만하고 이제 '기침'에 대해서 이야기하지요. '기침'은 옛말 '깃다'(치읓 받침 이하  아래의 모든 것에 해당)(이런 글자도 나오지 않는 완성형 한글 코드는 통신상에서 언제 없어지나?)에서 나온 말입니다.  지금은 사용되지 않는 이 '깃다'란 단어는 '기침하다' 란 뜻으로 사용되었습니다.  그런데 이 '깃다'는 동적 목적어를 취하는 동사이지요. 즉 '울음을  울다, 잠을자다, 꿈을  꾸다  '처럼 '기침을 깃다'로 사용되던 것이었지요. 물론 '울음을 울다,  꿈을 꾸다, 잠을 자다'에서 '울음, 꿈,  잠' 없이 '울다, 꾸다, 자다'   등으로 사용되는 것처럼 '깃다'도  목적어 없이 사용되기도 하였습니다.

  '기침'은 '깃다'의 어간  '깃-'에 명사형 접미사 '-으' 나 '-아'(아래 아)가 붙어서 '기츰'이나    '기참'('참'자는 아래 아자)으로 사용되다가,  그 음이 변화하여 '기침'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기츰을 깃다'로 사용되다가 17세기에서부터 '기츰하다' 등으로 사용되어 오늘날과 같이  '기침하다'나  '기침을  하다' 등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습니다. 동사는 사라지고 명사만 남은 셈이지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1 백령도와 심청 - 흰 새가 일러 준 기다림의 섬 바람의종 2008.07.26 3329
170 어느 여인의 이름 - 최초로 이 땅에 시집 온 여인 바람의종 2008.07.24 3793
169 여성의 이름 - 언년이, 영자, 정숙, 한송이 바람의종 2008.07.21 3679
168 고유어 인명 - 돌쇠면 어떻고 개똥이면 어떤가 바람의종 2008.07.19 4240
167 인명의 작명 - 이름을 불러 주는 의미 바람의종 2008.07.18 3187
166 서울과 한강 - "아리수"가의 새마을 바람의종 2008.07.12 3112
165 전철역의 이름 - 향토색 짙은 서울 역명 바람의종 2008.06.24 4114
164 신도시의 이름 - 일산과 김정숙군 바람의종 2008.06.22 3712
163 잃어버린 지명 - 아름다운 이름, 보은단, 고운담 바람의종 2008.06.03 3422
162 지명어의 작명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바람의종 2008.06.02 3756
161 지명 속담 - 보은 아가씨 추석비에 운다 바람의종 2008.05.29 3876
160 막가파 용어 - 전쟁과 파괴의 시대 바람의종 2008.05.23 3469
159 망나니 호칭 - 지존이 무상하다 바람의종 2008.05.12 4028
158 형벌 관련 욕설 - 오라질 년과 경칠 놈 바람의종 2008.05.11 4321
157 된소리 현상 - 꿍따리 싸바라 빠빠빠 바람의종 2008.05.10 3565
156 보은단 바람의종 2008.05.08 3226
155 가족 호칭어 - 며느리와 새아기 바람의종 2008.05.08 3894
154 음식 이름 - 족발, 주물럭,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05.06 3617
153 문래 바람의종 2008.05.05 3312
152 노름 용어 - 고스톱 왕국은 피바가지 바람의종 2008.05.05 3229
151 모주 바람의종 2008.05.03 4244
150 허망한 언사들 2 - 구호가 없는 사회 바람의종 2008.05.03 4222
149 허망한 언사들 1 - 별 볼일 있는 말 바람의종 2008.05.01 4364
148 우리말의 애매성 - 너무나 인간적인 언어 바람의종 2008.04.30 3371
147 우리말 사랑 4 - 신토불이와 토사구팽 바람의종 2008.04.29 40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